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ハマギク(浜菊),Aster tripolium subsp. pannonicus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

가을철 물가에 보면 파르스럼한 자주빛 도는 예쁜 꽃나무를 볼 수있습니다.
쑥부쟁이 꽃 같기도하고 구절초 같기도 하지만 약간 다른 꽃이지요.
갯가에 주로 핀다고해서 갯개미취인데요 그냥 물가에 피는 개미취입니다.

갯개미취 개요,식물정보,원산지,분포지,이명+하방야재명,꽃말,용도,약용성분 + 효능, 동의보감 원문+해설,영어이름+한자+일본어
갯개미취(Aster tripolium subsp. pannonicus / Tripolium pannonicum)에 대한 식물학적,약용,문화적 정보둥을 종합 정리 해 봅니다.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 갯개미취 (Aster tripolium subsp. pannonicus)

한자명: 海菊(해국) 또는 海燕菊
영문명: Sea Aster / Seaside Aster / Tripolium
일본명: ハマギク(浜菊, Hamagiku) 또는 シオギク(塩菊, Shiogiku)
학명: Tripolium pannonicum (Jacq.) Dobrocz.
이명(異名): 갯쑥부쟁이, 해국(海菊), 갯미국, 갯부쟁이
분류: 국화과(Asteraceae) / 국화속(Aster属)
한방약재명: 해국(海菊), 해미국(海薊)

갯개미취 개요 및 식물 정보

갯개미취는 바닷가 염습지나 갯벌 주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입니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30~60cm 정도 자라고, 잎은 길쭉하며 육질로 짠기를 조금 머금고 있습니다.
가을철(8~10월)에 보라색 또는 연보라색 꽃이 피며, 중심부는 노란색으로 국화과 특유의 화서 구조를 가집니다.

갯개미취 이명 약재명

갯개미취 이명 자완(紫菀)

갯자원갯벌에서 자라는 개미취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약재명갯개미취의 약재명은 일반적으로 갯개미취입니다.
주의: '자완(紫菀)'은 주로 개미취(Aster tataricus)의 뿌리줄기를 지칭하는 약재명이며, 갯개미취와는 구분됩니다.
갯개미취와 개미취를 혼동하여 약재로 사용할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참취(Aster scaber) 생물 분류

계: 식물계
👉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국화목- 국화과-국화아과- 참취족- 참취속(Aster) 종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참취속(Aster) 주요 종

까실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
단양쑥부쟁이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 )
섬갯쑥부쟁이 (Aster arenarius (Kitam.) Nemoto )
민쑥부쟁이 (Aster associatus Kitag. )
제주국화 (Aster chezuensis (Kitam.) Nakai )
옹굿나물 (Aster fastigiatus Fisch. )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F.Schmidt )
눈개쑥부쟁이 (Aster hayatae H.Lev. & Vaniot )
갯쑥부쟁이 (Aster hispidus Thunb. )
가새쑥부쟁이 (Aster incisus Fisch. )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
산쑥부쟁이 (Aster lautureanus (Debeaux) Franch. )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
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Y.N.Lee & C.S.Kim )
흰왕갯쑥부쟁이 ( Aster magnus for. albiflorus Y.N.Lee & C.)
개쑥부쟁이 (Aster meyendorfii (Regel & Maack) Voss )
우선국 (Aster novibelgii L. )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Hance) Chen )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
참취 (Aster scaber Thunb. )
한라참취 ( Aster scaber var. minor Yabe ex Nakai )
해국 (Aster sphathulifolius Maxim. )
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Michx. )
큰비짜루국화 (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G.Jon)
개미취 (Aster tataricus L.f. )
갯개미취 (Aster tripolium L. )
쑥부쟁이 (Aster yomena (Kitam.) Honda )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원산지 및 분포 지역

원산지: 유라시아 대륙의 해안 지역
분포지:
한국: 서해안과 남해안의 염습지, 갯벌, 간척지
세계: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연해주, 유럽의 해안 지대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 꽃말

꽃말: "위로", "기다림", "소박한 사랑"
거친 바닷가에서도 꿋꿋이 피는 모습에서 유래한 상징으로, 인내와 평안의 의미를 가집니다.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 용

관상용: 가을철 해안가를 장식하는 야생화로, 정원 식재나 생태복원용으로 사용됩니다.
식용: 어린잎을 데쳐 나물로 먹기도 하며, 약간 짠맛이 있습니다.
약용: 전초(全草)를 한약재로 사용하여 염증 완화, 해열, 간 기능 개선 등에 이용됩니다.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약용 성분 및 효능

주요 성분: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트리테르펜(triterpenes), 사포닌(saponins), 폴리페놀, 정유 성분 등

효능:해열 및 해독 작용
간 보호 및 피로 회복
이뇨 및 항염 작용
항산화 및 면역력 강화
상처 치유 보조
민간요법:잎과 줄기를 달여 감기, 인후통, 염증성 질환, 위장 트러블 등에 활용되었습니다.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 동의보감 원문 및 해설

원문:
海菊氣味苦寒無毒。主目痛,消腫,解毒。治癰疽腫毒,濕熱瘡。

해설:
해국(갯개미취)은 맛이 쓰고 성질이 차며 독이 없다.
눈의 통증을 완화하고, 종기를 가라앉히며, 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피부의 염증, 종기, 습열(濕熱)로 인한 창(瘡) 등에 사용되었다.

즉, 갯개미취는 소염·해독·피부질환 완화용 약초로 예로부터 쓰였습니다.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 생태적 특징

개화기: 8월~10월
서식환경: 염분이 많은 해안 습지, 간석지
번식: 종자 번식 (자연발아 가능)
내염성: 매우 강함 (해안식물의 대표종)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 영문 요약 (for reference)

Sea Aster (Tripolium pannonicum) is a perennial herb of the Asteraceae family, native to Eurasian coastal regions. It grows in salt marshes and blooms with lilac or violet flowers from August to October. Traditionally used in Korean and Chinese medicine as Haeguk (海菊), it possesses anti-inflammatory, detoxifying, and hepatoprotective properties.

해국(Tripolium pannonicum)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유라시아 연안 지역이 원산지입니다. 염습지에서 자라며 8월부터 10월까지 연보라색 또는 보라색 꽃을 피웁니다. 전통적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해국(海菊)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 해독, 간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 참취(Aster scaber) 간추린 요약표

항목내용
학명Tripolium pannonicum
한자명海菊(해국)
영어명Sea Aster / Seaside Aster
일본명ハマギク(浜菊), シオギク(塩菊)
분류국화과(Asteraceae)
개화기8~10월
분포한국, 중국, 일본, 유럽 해안
약효해열, 해독, 항염, 간 기능 보호
꽃말기다림, 위로, 인내
한방약재명해국(海菊)
이용관상, 식용, 약용



#갯개미취 , #海菊 #해국 #Sea-Aster #참취 #Aster-scaber #개미취 #자완 #ハマギク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ハマギク(浜菊),Aster tripolium subsp. pannonicus
갯개미취 ,海菊(해국),Sea Aster,ハマギク(浜菊),Aster tripolium subsp. pannonicus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정보

벗풀,金蓮花(금련화)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비파나무(비파수琵琶樹)Loquat 총 정리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정보

헷갈리는 맞춤법 했듯이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의 모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