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나무(비파수琵琶樹)Loquat 총 정리

비파나무(琵琶樹),비파열매(枇杷),비파잎(枇杷葉)의 약용 및 효능

비파나무 개요,원산지,분포지역,약용성분,약용부위,효능,동의보감 원문+ 해설 등

비파(枇杷)의 기원과 전래

비파는 중국 남부가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나, 삼국시대 이전에 이미 한반도 남부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직접적인 비파 언급은 없지만, 통일신라 시기 이후 당과의 교류를 통해 남방 과수들이 많이 도입된 기록이 있습니다.

이 무렵 경남,전남 해안 지방에 비파가 재배되기 시작했고, 조선 후기에는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토착화되었습니다.


비파나무(琵琶樹),비파열매(枇杷),비파잎(枇杷葉)의 약용 및 효능
비파나무(琵琶樹),비파열매(枇杷),비파잎(枇杷葉)의 약용 및 효능



비파나무(枇杷樹, Loquat Tree) 에 대한 종합 정리.

학술자료,동의보감, 현대 한의학 문헌을 바탕으로 구성했습니다.

비파나무(枇杷樹, Loquat Tree)

학명: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영명: Loquat tree
한자명: 枇杷樹 (비파수)
과명: 장미과 (Rosaceae)

형태: 상록 소교목. 잎은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겨울에 흰색~담황색의 향기 있는 꽃이 핌. 열매는 5~6월경 황색으로 익음.


비파나무(枇杷樹, Loquat Tree) 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장미목
장미과
비파나무속
종: 비파나무

학명: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1821

비파나무(枇杷樹, Loquat Tree) 원산지 및 분포지역

원산지: 중국 남부(廣東, 福建, 雲南 등지)
분포지역:아시아: 한국(남부 해안, 제주도), 일본, 중국, 대만, 인도 등

기타: 지중해 연안, 중남미, 미국 캘리포니아 등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

비파나무(枇杷樹, Loquat Tree) 약용 부위

잎: 비파엽(枇杷葉) 성숙한 잎을 채취, 털 제거 후 건조 사용
열매: 비파(枇杷) 여름철 채취, 식용 및 약용
씨 :비파핵(枇杷核) 성숙한 열매의 종자를 말린 것
꽃: 비파화(枇杷花) 드물게 사용, 호흡기 질환 완화

비파나무(枇杷樹, Loquat Tree)꽃 꽃말

비파(枇杷, Loquat)의 꽃말은 여러 문화권에서 조금씩 다르지만, 우리나라와 동양권에서는 겨울에 피는 희귀한 꽃이라는 점 때문에 희망, 인내, 영원한 사랑 같은 상징으로 해석됩니다.

아래에 정리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파꽃(枇杷花)의 꽃말

비파(枇杷, Loquat)의 꽃말은 여러 문화권에서 조금씩 다르지만, 우리나라와 동양권에서는 겨울에 피는 희귀한 꽃이라는 점 때문에 희망, 인내, 영원한 사랑 같은 상징으로 해석됩니다.

한국 : 인내, 희망,
기다림 한겨울 추위 속에서도 향기로운 꽃을 피우기 때문에 ‘고난을 이겨내는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짐
중국 : 정절(貞節), 은혜(恩惠)
겨울에도 푸른 나무’로, 절개와 고마움을 뜻함
일본 : 사랑의 예감(恋の予感)
초겨울에 은은한 향을 내는 꽃에서 연정을 상징하는 의미로 발전

서양(영문권) : Endurance, Eternal love.
꽃말은 인내와 희망 — 겨울에도 피는 따스한 용기의 상징.

종합
추운 계절에 피는 꽃으로, 끈질긴 생명력과 영원한 사랑을 상징


비파(枇杷, Loquat)의 주요 약용 성분

비파잎 (비파엽):
Amygdalin (시안배당체) → 진해, 거담 작용
Ursolic acid → 항염, 항산화
Triterpenoids, Flavonoids → 항암, 면역조절
Tannin, Saponin

비파 열매 (비파):

Carotene, Vitamin A, C → 항산화, 피부건강
Pectin, Organic acids → 소화 촉진, 변비 완화


비파(枇杷, Loquat)의 약리 효능(한의학,현대의학)

효능/ 내용

진해거담 : 기침, 가래, 천식, 폐열로 인한 인후통 완화
폐열청열: 폐의 열을 내려 폐렴·기관지염 완화
위열완화 : 위열로 인한 구토, 메스꺼움, 갈증 완화
피부 진정 : 항염 및 항산화 작용으로 아토피·여드름 완화
소화기계 개선 : 열매는 식욕 증진, 변비 개선, 위 기능 강화


비파(枇杷, Loquat) 동의보감 원문 (탕액편 / 과부)

 枇杷 

味酸平 無毒。治咳嗽上氣,和中,下氣止嘔。
葉,苦平。治肺熱咳嗽,吐逆上氣,胃熱呑酸,口渴。

해설

“맛은 시고 평하며, 독이 없다.” → 체질 구분 없이 사용 가능.
“기침과 상기(氣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증상)에 좋고, 위를 조화시켜 구토를 멎게 한다.”
→ 폐열·위열을 동시에 다스림.

잎은 쓰고 평하다. 폐열로 인한 기침, 구토, 위열로 인한 신트림·갈증에 효능이 있다.
→ 비파엽의 주요 효능은 ‘폐열청열, 진해거담, 위열제거’.

비파(枇杷, Loquat)의 현대 의학적 연구

항염·항산화 작용: 플라보노이드, 우르솔산 등으로 염증 억제.
항암 효과: triterpenoid계 화합물이 일부 암세포 성장 억제.
혈당 조절: 비파엽 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 완화에 도움.
면역조절: 다당류 성분이 면역세포 활성화.


비파(枇杷, Loquat)의 복용 형태

비파엽차: 잎을 깨끗이 씻어 털 제거 후 건조, 끓여 차로 복용.
비파엽탕제: 감기, 기침, 기관지염 시 감초·길경 등과 배합.
비파엽 외용: 염증성 피부질환 시 달인 물을 세정제로 사용.


비파(枇杷, Loquat)의  주의사항

잎에 아미그달린(시안 배당체) 성분이 있으므로 과다 복용 금지.
임신부, 어린이는 전문가 상담 후 사용.
생잎을 직접 달여 마시는 것은 위험할 수 있음 (독성 가능).
원하신다면, 다음 중 하나로 확장해드릴 수 있습니다:


비파(枇杷, Loquat)의 동의보감에 나오는 비파 관련 처방 목록

비파(枇杷) / 비파엽(枇杷葉) 주요 한방 처방


처방명/주요 구성약재/ 효능 / 적응증/ 비고

청폐탕(淸肺湯) 비파엽, 길경, 감초, 맥문동, 상백피, 지골피 등 폐열로 인한 기침, 가래, 인후통 완화 비파엽이 폐열을 식히고 기침 억제

청폐음(淸肺飮) 비파엽, 황금, 상백피, 길경, 패모, 감초 등 폐열, 기침, 가래, 인후 건조 기관지염, 인후염

비파엽탕(枇杷葉湯) 비파엽, 오미자, 길경, 감초 폐열성 해수, 구토, 기침 폐열·위열 겸증 시 사용

비파엽전(枇杷葉煎) 비파엽, 맥문동, 감초, 진피, 반하 해수, 구역, 위열로 인한 메스꺼움 『동의보감』 수록 유사방

비파청(枇杷淸) 비파열매, 꿀, 감초, 대추 인후통, 기침 완화용 음청(飮淸) 현대 한방 음료형

맥문동탕(麥門冬湯) 맥문동, 반하, 인삼, 대조, 감초, 갱미, 비파엽(가미) 폐음허로 인한 마른기침, 가래 없음 변형 시 비파엽 추가

비파엽지각탕(枇杷葉枳殼湯) 비파엽, 지각, 반하, 길경, 진피, 감초 담열기침, 구토, 위열 위기 불화(胃氣不和) 개선

비파엽전가감방(枇杷葉煎加減方) 비파엽, 길경, 감초, 천패모, 상엽 열성 기침, 천식 폐열로 인한 만성기침

비파엽환(枇杷葉丸) 비파엽, 반하, 맥문동, 진피, 인삼 해수, 담다(痰多), 구역 『방약합편』 변방

비파엽청폐탕(枇杷葉淸肺湯) 비파엽, 상엽, 지골피, 패모, 길경, 감초 폐열·기침·가래 현대 처방 (청폐탕 변형)

비파 열매(枇杷果, Loquat fruit) 중심 정리.

비파나무 전체 중 열매는 식용·약용 두 방면에서 모두 귀한 재료로 평가됩니다.

🍊 비파열매 개요

한글명: 비파열매 / 비파
한자명: 枇杷果, 枇杷
학명: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영명: Loquat fruit
과명: 장미과 (Rosaceae)
결실 시기: 5~6월경 황금빛으로 익음

형태: 타원형 또는 구형의 노란색 열매, 과피는 부드럽고 과육은 달콤하면서 약간 신맛이 있음.


🌏 원산지 및 분포

원산지: 중국 남부 (광둥, 푸젠, 윈난 등)
분포 지역:
한국(남부지방, 제주도), 일본, 대만, 베트남
지중해 연안, 인도, 중남미, 미국 캘리포니아 등
→ 온난한 지역에서 재배

💊 주요 약용 성분

주요성분/ 작용
Carotene (베타카로틴) : 항산화, 시력 보호, 면역력 강화
Vitamin A, C : 피부 건강, 면역 강화, 피로 회복
Pectin (펙틴) : 장내 환경 개선, 변비 완화
Organic acids : (구연산, 사과산) 피로 회복, 소화 촉진
Potassium, Calcium : 혈압 조절, 근육·신경 안정
Flavonoids : 항산화, 항염, 혈당 조절

⚕️ 약용 부위와 성질

약용부위: 성숙한 열매 (果)
성질(性味): 감(甘), 산(酸), 평(平)
귀경(歸經): 폐경(肺), 위경(胃)


💠 비파 효능 요약

효능 / 설명

폐열청열(肺熱淸熱) : 열로 인한 기침, 가래, 인후통 완화
생진지갈(生津止渴) : 구갈(입마름), 갈증 해소
완화구토(緩和嘔吐) : 위열, 담열로 인한 구토 완화
소화기 개선 : 소화불량, 식욕 부진 완화
피부 미용 : 항산화 작용으로 노화 예방, 피부 보호
진정 작용 : 더위, 열로 인한 갈증과 흥분 진정

동의보감 원문 (탕액편 / 과부 枇杷)

枇杷

味酸平 無毒。治咳嗽上氣,和中,下氣止嘔。


해설

“맛은 시고 평하며, 독이 없다.”→ 체질에 크게 구애받지 않음.“기침, 상기(氣가 위로 오르는 증상), 위를 조화시키고 구토를 멎게 한다.”

→ 폐열이나 위열로 인한 기침, 구역, 트림 등에 효과.


현대 의학적 연구

연구 분야 / 주요 내용

항산화 효과 : 카로틴, 폴리페놀 성분이 활성산소 제거 → 노화 억제
간 보호 작용 : 비파 추출물의 triterpenoid가 간 손상 억제
혈당 강하 작용 : polysaccharide, flavonoid가 혈당 조절에 도움
항염 작용 : 기관지염, 천식 등 염증 억제 효과 보고
면역 강화 : 비타민 C·폴리페놀 복합 작용


🍵 섭취 및 활용


형태 / 내용
생식(신선한 과일) / 여름철 갈증 해소, 소화 촉진
비파즙 / 비파청 폐열,기침 완화용, 감기 시 따뜻하게 복용
비파주(枇杷酒) / 열매를 담근 약주, 혈액순환 및 피로회복
비파잼,시럽  / 당질과 산미 조화로 소화에 도움


⚠️ 주의사항

씨(핵) 부분에는 아미그달린(amygdalin) 성분이 있어 생식 금지 (시안화합물 독성 가능).
당분이 높아 당뇨 환자는 과량 섭취 주의.
과숙된 과일은 위가 약한 사람에게 체기 유발 가능.


비파(열매)요약 정리표

항목 / 내용

한자명 : 枇杷果
성질/맛 : 평(平), 감(甘), 산(酸)
귀경 : 폐(肺), 위(胃)
주요 효능 : 기침 완화, 갈증 해소, 소화촉진, 피부건강
동의보감 효능 : “治咳嗽上氣,下氣止嘔” (기침, 구토 완화)
주성분 : 카로틴, 비타민 A·C, 펙틴, 유기산
주의사항 : 씨앗 생식 금지, 과량 섭취 주의


비파나무의 열매(果) 즉 비파는 한의학에서 ‘비파(枇杷)’ 라는 고유 한약명(漢藥名)으로 불립니다.

비파(枇杷)의 한약명 정리

비파나무(琵琶樹),비파열매(枇杷),비파잎(枇杷葉)의 약용 및 효능
비파나무(琵琶樹),비파열매(枇杷),비파잎(枇杷葉)의 약용 및 효능

구분 / 한약명(漢藥名) / 한글명 / 사용부위 / 성질,맛 귀경 / 주요 효능

열매 : 枇杷 (비파) 비파열매 성숙한 과실 감(甘), 산(酸), 평(平) 폐(肺), 위(胃) 폐열로 인한 기침 완화, 갈증 해소, 구토 억제, 소화 촉진

잎 : 枇杷葉 (비파엽) 비파잎 성숙한 잎 고(苦), 평(平) 폐(肺), 위(胃) 청폐지해(淸肺止咳), 위열구토 완화

씨앗 : 枇杷核 (비파핵) 비파씨 열매의 종자 고(苦), 평(平), 소독 폐(肺), 간(肝) 기침, 흉통, 담적 완화 (※ 생식 금지, 독성 있음)


동의보감 및 고의서 표기

동의보감·탕액편:

“枇杷 味酸平 無毒 治咳嗽上氣 和中 下氣止嘔”

→ 비파는 맛이 시고 평하며, 독이 없다. 기침과 상기(氣가 위로 오르는 증상)를 치료하고, 위를 조화시키며, 구토를 멎게 한다.


본초강목(李時珍):

“枇杷,潤肺止咳,和胃下氣。”

→ 폐를 윤택하게 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위를 조화시키고 기를 내린다.


비파열매 요약

한약명 : 枇杷 (비파)
학명 :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한약 부위 분류 : 枇杷果(과실), 枇杷葉(엽), 枇杷核(씨)
성질,맛 : 감산평(甘酸平)
귀경 : 폐(肺), 위(胃)
효능 : 청폐지해(淸肺止咳), 생진지갈(生津止渴), 화위지구(和胃止嘔)
독성 없음(果), 단 씨앗은 아미그달린 독성 有


이름 정리 정리

비파 열매의 한약명은 ‘枇杷(비파)’,
잎은 ‘枇杷葉(비파엽)’,
씨는 ‘枇杷核(비파핵)’입니다.


비파(枇杷, loquat) 의 이명 총정리

본명(本名) : 枇杷(비파)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 기본 명칭. 잎 모양이 악기 ‘비파(琵琶)’와 닮아서 붙은 이름.

이명(異名) : 琵琶果(비파과) 『본초강목』 비파나무의 열매를 구체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

枇杷樹(비파수) :『당본초』 등 비파나무 자체를 의미.
琵琶樹(비파수) : 민간 명칭 樹(수)자를 써서 나무 자체를 가리킴.
루과(蘆橘) :『구황본초』 중국 남방 지방에서 부르던 옛 이름.
낙과(樂果) : 민간명 ‘기쁜 열매’라는 뜻으로 길상 의미.
비파자(枇杷子) :『중약대사전』 비파나무의 씨앗을 가리킴. (한약명은 枇杷核)
비파엽(枇杷葉) :『동의보감』 비파의 잎. 잎을 약재로 쓸 때의 명칭.

로쿼트(Loquat) : 영어명 일본어 biwa에서 유래된 국제 표기.



🪶 이름의 유래 (이명과 연관)

“枇杷得名,以其葉似樂器琵琶也。”
— 『本草綱目(본초강목)』

“비파(枇杷)”라는 이름은 잎 모양이 악기 ‘비파(琵琶)’와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짐.
또한 과실이 달고 향기로워 ‘락과(樂果)’, ‘선과(仙果)’ 등으로 불리기도 함.


🍑 약용 부위별 이명 요약


열매 枇杷 (비파) 琵琶果, 樂果 폐열·갈증 완화, 구토 억제
잎 枇杷葉 (비파엽) 琵琶葉, 비파나무잎 진해·거담, 폐열 해소
씨앗 枇杷核 (비파핵) 枇杷子, 琵琶仁 기침, 흉통 완화 (독성 주의)
나무 枇杷樹 (비파수) 琵琶樹 식물 전체를 지칭


본 포스팅 참고 문헌 출처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과부(果部)
본초강목(本草綱目) 枇杷條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구황본초(救荒本草)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후대 주석 포함)


이상 요약
비파(枇杷)는 『본초강목』에서 이름이 **악기 비파(琵琶)**의 잎 모양에서 유래되었고,
열매는 비파과(琵琶果), 잎은 비파엽(枇杷葉), 씨는 비파핵(枇杷核),
나무 전체는 **비파수(枇杷樹)**라 불립니다.
민간에서는 락과(樂果), 선과(仙果) 등의 이름으로도 불렸습니다.



#비파 #비파잎 #비파 #비파열매 #비파효능 #비파꽃말 #비파원산지 #Loquat #비파동의보감 #동의보감비파 


비파나무(琵琶樹),비파열매(枇杷),비파잎(枇杷葉)의 약용 및 효능
비파나무(琵琶樹),비파열매(枇杷),비파잎(枇杷葉)의 약용 및 효능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향기좋은 약초 당귀(當歸) ,여성을 위한 성약(聖藥)

꽃이 예쁜 씀바귀(고거채)의 모든것

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의 모든것

바람에 흔들리던 키 큰 코스모스, 가을의 추억

붉은 토끼풀,Red Clover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