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장지뱀은 뱀목 장지뱀과에 속하는 파충류로, 길고 가는 몸과 꼬리가 특징인 도마뱀의 일종입니다. 한국에는 아무르장지뱀, 줄장지뱀, 표범장지뱀 등의 여러 종류가 서식합니다.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 장지뱀 주요 특징

긴 꼬리: 몸길이의 2/3 이상을 차지하는 긴 꼬리를 가졌습니다. 위험에 처하면 꼬리를 자르고 달아나는 습성이 있습니다.
서혜인공: 수컷의 사타구니에 있는 특수한 구멍으로, 페로몬을 분비해 짝짓기 상대를 유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마뱀과 장지뱀을 구별하는 주요 특징입니다.
피부: 몸의 비늘에는 광택이 없으며 융기가 있습니다.
움직임: 먹이를 사냥하거나 포식자를 피할 때 매우 민첩하게 움직입니다.
식성: 주로 거미, 귀뚜라미, 작은 곤충류, 지렁이 등을 잡아먹습니다. 


줄 장지뱀 서식지 및 생태

서식지: 햇볕이 잘 드는 능선이나 잡초가 우거진 도로 옆, 모래땅, 묵정밭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합니다.
활동: 주로 낮에 활동하며, 무더위나 밤에는 땅속이나 돌 밑에 숨어 휴식합니다.
번식: 56월경에 교미하고, 68월에 흙 속에 알을 낳습니다.
겨울잠: 4월경부터 동면에서 깨어나 활동을 시작합니다. 

대표적인 한국 장지뱀 종류
아무르장지뱀: 전국적으로 흔하게 발견되는 종입니다.
줄장지뱀: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 분포합니다.
표범장지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서해안과 남해안의 해안 사구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몸에 표범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장지뱀 보호 현황

일부 장지뱀 종은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 조치가 필요합니다.
특히 표범장지뱀은 하천 및 해안가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줄어들면서 멸종위기에 놓였으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에 속합니다.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줄장지뱀은 한국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마뱀류로, 등 양쪽에 뚜렷한 줄무늬가 있어 이름이 붙었습니다. 날렵한 체형과 긴 꼬리가 특징이며, 곤충을 잡아먹는 유익한 파충류입니다.


줄장지뱀 기본 정보

항목내용
국명줄장지뱀
학명Takydromus wolteri
영문명Korean Grass Lizard
분류파충강 → 유혈목 → 장지뱀과(Lacertidae)
보호등급일반종 (멸종위기종 아님)


줄장지뱀 형태적 특징

  • 몸길이 약 18~25cm, 꼬리가 몸의 2~3배로 매우 길다.
  • 등 양옆에 뚜렷한 흰색 또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음.
  • 비늘은 매끄럽고 약간의 광택이 있음.
  • 발끝에 예리한 발톱이 있으며, 흡착패드 없음.
  • 눈꺼풀이 있어 깜박임 가능.

줄장지뱀 서식과 생태

  • 활동성: 낮에 활동(주행성), 햇빛을 좋아함.
  • 서식지: 들판, 초지, 논둑, 돌담, 마을 주변 등.
  • 먹이: 곤충, 거미, 애벌레 등 작은 절지동물.
  • 번식: 5~7월 교미, 여름에 2~4개의 알 산란.
  • 겨울잠: 10월~3월 사이 돌틈이나 흙 속에서 동면.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 분포 지역

구분지역
국내한반도 전역 (특히 중부~남부 지역에 흔함)
해외중국 동북부, 러시아 연해주, 몽골, 일본 일부


줄장지뱀 유사종과의 구분

비교 대상구분 기준
한국 장지뱀줄무늬가 희미하고 꼬리 비율이 짧음
도마뱀붙이(집도마뱀)흡착판 있음, 야행성, 눈꺼풀 없음
줄장지뱀줄무늬 뚜렷, 꼬리 길고 예리한 발톱, 낮 활동


줄장지뱀 생태적 역할

줄장지뱀은 해충을 잡아먹는 자연 방제자로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새나 뱀의 먹이가 되어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 민속적 의미

시골에서는 “햇살 받는 장지뱀은 복이 온다”는 속담이 있었으며, 잘려도 다시 자라는 꼬리는 회복과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 관찰 팁

  • 맑은 날 오전~오후 초반에 논둑이나 돌담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음.
  • 매우 민첩하므로 조용히 접근해야 관찰 가능.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 요약

구분내용
서식지초지, 논둑, 돌담 등 따뜻한 지역
활동 시기
눈꺼풀있음
흡착패드없음 (발톱으로 벽을 오름)
줄무늬있음 (등 양쪽 뚜렷)
꼬리 길이몸의 2~3배
분포한국 전역, 중국, 러시아 연해주 등
먹이곤충, 거미, 애벌레 등
특징날렵한 체형, 빠른 움직임, 꼬리 재생 가능

© 자연생태 기록 | 자료참조: 국립생태원, 국립수목원, 한국양서파충류학회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정보 


장지뱀 vs 도마뱀붙이 비교표

구분장지뱀 (Scincidae)도마뱀붙이 (Gekkonidae / 집도마뱀)
몸 표면매끈하고 윤기 나는 비늘 (광택 있음)거칠고 무광택, 가죽질 느낌
발가락가늘고 뾰족함, 흡착판 없음발가락 끝에 넓은 흡착패드(접착판) 있음
움직임땅 위를 빠르게 달림벽, 천장 등 수직면을 자유롭게 기어오름
활동 시기낮 활동(주행성, 햇빛 좋아함)밤 활동(야행성, 빛 피함)
서식 장소들판, 숲속, 돌무더기 주변집 벽, 천장, 돌담, 따뜻한 건물 주변
눈 특징눈꺼풀 있음, 깜박임 가능눈꺼풀 없음, 혀로 눈을 핥음
꼬리매끈하며 잘 재생됨절단 가능하며 다시 자람, 때로는 무늬 달라짐
먹이작은 곤충, 거미, 애벌레 등모기, 날파리 등 작은 곤충 주식
대표 종 (한국)장지뱀 (Scincella modesta)집도마뱀 (Hemidactylus frenatus)
색깔갈색~청동색, 윤기회갈색~황갈색, 얼룩무늬 있음


도마뱀붙이 (Gekkonidae / 집도마뱀)
도마뱀붙이 (Gekkonidae / 집도마뱀)

#장지뱀 #장지뱀종류 #도마뱀붙이 #집도마뱀 #장지뱀구별 #도마뱀구별 #줄장지뱀 #도마뱀야행성 #줄장지뱀주행성 #장지뱀도마뱀구별방법 #도마뱀붙이흡착패드,장지뱀발톱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비파나무(비파수琵琶樹)Loquat 총 정리

꽃이 예쁜 씀바귀(고거채)의 모든것

향기좋은 약초 당귀(當歸) ,여성을 위한 성약(聖藥)

풀숲에 피는 예쁜 메꽃(야생나팔꽃),선화(旋花) 정보

배초향(排草香),방아꽃,Agastache 의 식뭃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