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풀,金蓮花(금련화)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벗풀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벗풀 개요,식물정보, 영어이름 한자이름,이명들,한방약재명,원산지,분포지역,용도,꽃말,약용정보,동의보감 원문과 해설등을 자세히 알아 봅니다.
아래는 벗풀(학명: Ranunculus japonicus Thunb.) 에 대한 종합 정리입니다.한글·영문·한자 표기, 약용정보, 동의보감 원문 및 해석까지 포함합니다.
벗풀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
🌿 벗풀 (Korean Buttercup / Ranunculus japonicus Thunb.)
한자명: 魚眼草(어안초), 金蓮花(금련화)
영문명: Japanese Buttercup, Field Buttercup
속명: Ranunculus (미나리아재비속)
과명: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1. 벗풀 魚眼草(어안초) 개요
벗풀은 한국 전역의 들이나 산기슭, 습지 주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생 초본식물입니다.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 식물 중 하나로, 봄철 노란색의 작고 선명한 꽃이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
벗풀은 늪, 물웅덩이, 논 등 습지에서 자라는 택사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입니다. 땅속줄기 끝에 덩이줄기가 생겨 이듬해 싹을 틔우며 번식합니다.
구분: 생김새가 비슷한 보풀과 헷갈릴 수 있지만, 벗풀은 땅속줄기 끝에 덩이줄기를 만드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보풀은 덩이줄기를 만들지 않음).
꽃: 6~8월에 길게 뻗은 꽃줄기(화경)에 흰색 꽃이 층층이 돌려가며 핍니다. 꽃은 암수가 한 그루에 피는데, 꽃줄기의 위쪽에 수꽃이, 아래쪽에 암꽃이 달립니다.
열매: 10월경에 거꿀달걀 모양의 수과(하나의 씨앗이 있는 마른 열매)가 익으며, 넓은 날개가 달려 있습니다.
벗풀은 늪, 물웅덩이, 논 등 습지에서 자라는 택사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입니다. 땅속줄기 끝에 덩이줄기가 생겨 이듬해 싹을 틔우며 번식합니다.
구분: 생김새가 비슷한 보풀과 헷갈릴 수 있지만, 벗풀은 땅속줄기 끝에 덩이줄기를 만드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보풀은 덩이줄기를 만들지 않음).
벗풀 魚眼草(어안초) 특징
잎: 뿌리에서 모여 나며, 잎자루가 길다. 어린잎은 가늘고 긴 선 모양이지만, 성장하면서 화살 모양으로 변합니다. 화살 모양의 잎은 윗부분이 뾰족하고, 양쪽 갈래 조각이 발달해 있습니다.꽃: 6~8월에 길게 뻗은 꽃줄기(화경)에 흰색 꽃이 층층이 돌려가며 핍니다. 꽃은 암수가 한 그루에 피는데, 꽃줄기의 위쪽에 수꽃이, 아래쪽에 암꽃이 달립니다.
열매: 10월경에 거꿀달걀 모양의 수과(하나의 씨앗이 있는 마른 열매)가 익으며, 넓은 날개가 달려 있습니다.
벗풀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
벗풀 魚眼草(어안초) 활용
식용: 덩이줄기는 쪄서 먹고, 연한 잎은 나물로 먹기도 합니다.약용: 해독, 소종(종기를 가라앉힘), 이뇨, 거풍 등에 효능이 있어 약재로 이용됩니다.
관상용: 습지에 심어 관상용으로 기르기도 합니다.
2. 벗풀 魚眼草(어안초) 식물 정보
형태: 높이 약 30~60cm,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잎: 근생엽은 긴 잎자루가 있고 3~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꽃: 4~6월경, 황색의 5판화로 직경 약 2cm 내외.
열매: 수과(瘦果), 둥근 집합과 형태로 모여 있음.
잎: 근생엽은 긴 잎자루가 있고 3~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꽃: 4~6월경, 황색의 5판화로 직경 약 2cm 내외.
열매: 수과(瘦果), 둥근 집합과 형태로 모여 있음.
벗풀 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택사목
택사과
보풀속
벗풀 (S. trifolia)
학명: Sagittaria trifolia L.
3. 벗풀 魚眼草(어안초) 원산지 및 분포
원산지: 동아시아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분포지역: 한국 전역, 일본, 중국 동부, 대만, 러시아 극동 일부 지역
서식지 및 분포
서식지: 주로 논이나 늪, 물웅덩이, 얕은 물가 등 습한 곳에 서식합니다.
분포지: 한국 전역에 분포하며, 아시아와 유럽의 습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분포지역: 한국 전역, 일본, 중국 동부, 대만, 러시아 극동 일부 지역
서식지 및 분포
서식지: 주로 논이나 늪, 물웅덩이, 얕은 물가 등 습한 곳에 서식합니다.
분포지: 한국 전역에 분포하며, 아시아와 유럽의 습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벗풀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
4. 벗풀 魚眼草(어안초) 이명(異名)
한자식 이름: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기타 이름: 벗나물, 벗꽃풀, 미나리풀
다른 이름
소귀나물, 쇠귀나물, 자고초(慈姑草), 전두초(箭頭草) 등으로도 불립니다
학명 동의어: Ranunculus japonicus var. glaber Maxim.
소귀나물, 쇠귀나물, 자고초(慈姑草), 전두초(箭頭草) 등으로도 불립니다
학명 동의어: Ranunculus japonicus var. glaber Maxim.
5. 벗풀 魚眼草(어안초) 한방 약재명
약재명: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사용 부위: 전초(全草)
채취 시기: 여름철 개화기 때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 사용
사용 부위: 전초(全草)
채취 시기: 여름철 개화기 때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 사용
6. 벗풀 魚眼草(어안초) 약용 정보
성미(性味) ⇨맵고 따뜻함(辛溫), 유독(有毒)
귀경(歸經) 간(肝), 심(心), 폐(肺)
주치(主治)⇨ 해독, 소종, 풍습 제거, 종기·옹종 치료
귀경(歸經) 간(肝), 심(心), 폐(肺)
주치(主治)⇨ 해독, 소종, 풍습 제거, 종기·옹종 치료
복용 주의 ⇨ 생식 시 점막 자극 강하므로 외용 위주로 사용
처방 예시 ⇨ 종기,피부염에는 생즙을 내어 환부에 도포
벗풀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
7. 벗풀 魚眼草(어안초) 꽃말
꽃말: “소박한 행복”, “맑은 마음”, “겸손한 사랑”(Buttercup 계열 전체의 상징에서 유래)
8. 벗풀 魚眼草(어안초)동의보감 원문
魚眼草
性辛溫 有毒 解毒消腫 破積聚治瘡腫 (出《本草綱目》)
“魚眼草辛溫有毒, 解毒消腫, 治瘡腫癰腫。”
性辛溫 有毒 解毒消腫 破積聚治瘡腫 (出《本草綱目》)
“魚眼草辛溫有毒, 解毒消腫, 治瘡腫癰腫。”
🪶 해설
벗풀은 맛이 맵고 따뜻하며, 독성이 있어 내복보다는 외용으로 쓰인다.
독을 풀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종기나 옹종, 종창(腫瘡) 등에 바르면 염증과 통증이 가라앉는다고 하였다.
본초강목에서는 “해독소종(解毒消腫)”을 주요 효능으로 기록하였다.
벗풀은 맛이 맵고 따뜻하며, 독성이 있어 내복보다는 외용으로 쓰인다.
독을 풀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종기나 옹종, 종창(腫瘡) 등에 바르면 염증과 통증이 가라앉는다고 하였다.
본초강목에서는 “해독소종(解毒消腫)”을 주요 효능으로 기록하였다.
벗풀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
9. 벗풀 魚眼草(어안초) 주요 용도
민간요법: 종기, 타박상, 뱀물림 등 외용제로 사용관상용: 봄철 들꽃 감상용
생태적 가치: 초기 봄 곤충류(벌, 나비)의 밀원식물
※벗풀 魚眼草(어안초) 요약표
구분 내용
국명 ⇨ 벗풀
국명 ⇨ 벗풀
학명 ⇨ Ranunculus japonicus Thunb.
영문명 ⇨Japanese Buttercup
한자명⇨ 魚眼草 / 金蓮花
이명 ⇨ 벗나물, 미나리풀
원산지⇨ 동아시아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약재명⇨ 어안초(魚眼草)
효능⇨ 해독, 소종, 종기 치료
꽃말⇨ 소박한 행복, 맑은 마음
비고⇨ 생식 금지 (유독성 있음)
벗풀 어안초(魚眼草), 금련화(金蓮花)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