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약용식물인 게시물 표시

향기 나는 약용식물,계수나무(Katsura tree) 총정리

이미지
향기로운 약용식물 달의 나무, 계수나무(桂樹木,Katsura tree)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는 우리나라 중부 이북 산지의 계곡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입니다. 심장 모양의 잎이 가을이면 노랗게 물들어 공원과 산책길을 화사하게 물들이는 나무. 껍질에서는 은은한 향이 나고, 낙엽에서는 달콤한 캐러멜 향이 나서 가을 풍경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달(月)속의 나무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계, 계수라 부르는 나무는 두 가지가 있어 혼동을 줍니다. 하나는 계수나무과의 계수나무이고, 다른 하나는 물푸레나무과의 목서(계화나무)입니다. 여기서 다루는 나무는 계수나무과의 계수나무입니다. 아래: 낙옆활엽교목 계수나무과의 계수나무 개요.원산지,분포지역,용도,약용성분+효능,동의보감 언급내용+효능, 관련 이야기 식물 정보 등 입니다. 계수나무(桂樹木) 원산지 & 분포지역 계수나무(桂樹木) 생물 분류 식물계(Plantae)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범의귀목(Saxifragales) ⇒ 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 ⇒ 계수나무속(Cercidiphyllum) ⇒ 종.  계수나무(C. japonicum) 계수나무(桂樹木) 개요 계수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계수나무과(Cercidiphyllaceae)에 속합니다. 잎은 심장 모양이며 가을에 노랗게 물들어 아름답습니다. 껍질은 회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좋은 향기가 은은하게 납니다. 계수나무(桂樹木) 원산지 & 분포지역 원산지: 한국, 일본, 중국 분포지역: 한국에서는 주로 중부 이북 산지의 계곡 주변에 자생하며, 강원도, 경기 북부, 평안도, 함경도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의 혼슈와 중국 중부에서도 발견됩니다. 생육환경: 수분이 많은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공원·정원 조경수로도 많이 식재됩니다. 계수나무의 이명(異名...

관상용 꽃과 열매 , 해당화(海棠花) 정보 완벽 가이드

이미지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カイドウ 정보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약용으로도 사용됩니다. 아래에 해당화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관상용 꽃과 열매 , 해당화(海棠花) 정보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개요 한자명:해당화(海棠花) 일본어명:カイドウ (海棠) 중국명:海棠 (Hǎitáng) 이명 해당목 (海棠木),해당나무 (海棠木),해당나무꽃 (海棠花)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 식물 정보 학명: Malus pumila 과: 장미과 (Rosaceae) 속: 사과속 (Malus)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 생물 분류 계:식물계 ⇨ 속씨식물군 ⇨ 진정쌍떡잎식물군 ⇨ 장미군목 ⇨ 장미목과 ⇨ 장미과속 ⇨ 장미속종 ⇨ 해당화학명 ⇨ Rosa rugosa var. rugosa 형태: 낙엽성 관목 높이: 약 3~5m 잎: 타원형 또는 도란형, 가장자리에 톱니 있음 꽃: 봄부터 여름에 분홍색 또는 흰색 꽃이 핌 열매: 가을에 붉거나 노란색의 작은 사과 모양 열매 관상용 꽃과 열매 , 해당화(海棠花) 정보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 원산지 및 분포 원산지: 중앙아시아, 특히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 분포지: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 재배되며,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됨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 꽃말 꽃말: "사랑의 고백", "순수한 사랑", "행복한 결혼"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 용도 관상용: 정원수, 공원수, 도로변 조경수 등으로 재배 약용: 전통 한의학에서 약재로 사용 식용: 열매를 이용한 잼, 음료, 디저트 등으로 활용 해당화(海棠花, Malus pumila)  약용 성분 주요 성분: 플라보노이드, 유기산, 사과산, 비타민 C, 유기산류 등 효능: 소화 촉진, 진정, 해열, 항산화 작용 등 해...

석류(石榴)의 효능, 동의보감에서 배운다.

이미지
석류(石榴, Pomegranate)의 모든것 석류(石榴, Pomegranate)의 개요, 식물정보,종류,원산지,주 분포지역,약용성분,효능,파생약품,동의보감 원문과 해석등 석류(石榴, Pomegranate)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석류 개요 한국어 이름: 석류 한자: 石榴 영어 이름: Pomegranate 학명: Punica granatum L.  석류(石榴, Pomegranate)의 모든것 석류(石榴, Pomegranate)식물 정보 학명 Punica granatumL. 진핵생물역(Eukaryota)⇨식물계(Plantae)⇨ 속씨식물군(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장미군(Rosids) ⇨도금양목(Myrtales)⇨부처꽃과(Lythraceae)⇨석류나무속(Punica)⇨ 석류 분류:속씨식물군 (Angiosperms), 부처꽃목(Myrtales)/혹은 도금양목(Myrtales) 계통, 부처꽃과 형태:낙엽성 작은 교목 혹은 관목. 보통 높이 5‑10m 정도 자랄 수 있음. 가지가 약간 가시를 형성하거나 끝이 뾰족함. 잎은 타원형,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함.  석류(石榴, Pomegranate)   꽃과 열매 꽃은 붉은색 계열, 양성화(암수 한 꽃에 있음), 보통 5~6월 무렵 피고, 열매는 둥글며 껍질이 단단하고 안에 과육과 많은 씨(종자)를 가지고 있음. 열매가 익으면 내부 종자가 잘 보이며 껍질이 불규칙하게 터지는 종도 있음. 익는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나 가을(9‑10월)인 경우가 많음.  석류(石榴, Pomegranate)의  종류 및 변종 Punica granatum이 가장 흔함. 다른 종으로 소코트라 석류 (Punica protopunica) 등이 있음.  열매 색에 따라 붉은색, 노란색, 황홍색(붉은빛 섞인 색) 등 여러 색깔 품종이 존재함.  원산지 및 주 분포 지역 원산지: 서아시아 지...

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이미지
여름꽃 부들레아 개요,원산지,분포지역,꽃말,용도,생육환경,약용성분 효능,동의보감 언급내용 원문과 해석,식물정보 및 다른이름 여름에 피는 부들레아(붓들레아, Buddleja davidii, 흔히 ‘나비나무’)에 대한 개요부터 전통 의학 기록까지 정리해 봅니다. 🌸 부들레아(Buddleja davidii) 개요 국명: 부들레아, 나비나무 학명: Buddleja davidii 영명: Butterfly bush 분류: 꿀풀목(Lamiales) → 마편초과(Scrophulariaceae) → 부들레아속(Buddleja) 형태: 낙엽 관목, 높이 13m. 가지 끝에서 원추꽃차례로 보라·자주·흰색 꽃이 여름초가을에 핌. 달콤한 향기로 나비와 벌을 유인. 🌍    부들레아   원산지와 분포지역 원산지: 중국 서부(쓰촨, 후베이, 윈난 등), 티베트. 분포지역: 현재는 원예용·조경용으로 전 세계 널리 퍼져 있음. 유럽, 북미,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관상수로 재배. 일부 지역에서는 귀화하여 야생화(침입종)로 번식. 부들레아꽃말 자유, 치유, 다시 만남 보라색 부들레아는 ‘평온’과 ‘영혼의 위로’, 흰색은 ‘순결’, 분홍색은 ‘사랑의 고백’을 의미. 부들레아 주요 용도 조경 : 여름철 화단·정원·가로수용 관목. 긴 개화 기간과 화려한 꽃으로 나비와 벌을 유인. 환경생태: 꿀벌·나비 서식지 제공 → 곤충 다양성 유지에 도움. 약용: 전통적으로 꽃과 잎이 약재로 쓰였음. 관상가치 : ‘버터플라이 부시(Butterfly bush)’라는 이름처럼 나비를 불러 모으는 식물로 인기. 부들레아, Buddleja davidii, 나비나무,목정화  부들레아 생육 환경 토양 : 배수가 잘되는 비옥한 토양 선호. 햇빛: 양지에서 잘 자람. 반그늘도 가능하나 개화량이 줄어듦. 내한성/내건성: 영하 -15℃까지 견딜 수 있으며 건조에도 강한 편. 관리: 전정이 필요. 겨울 전정 후 봄에 새 가지가 돋으며 여름에 개화. 부들레아 약용성분 및 효...

버들마편초 숙근버베라, 말초리풀 Verbena officinalis

이미지
  버들마편초 숙근버베라, 말초리풀  Verbena officinalis 1. 개요 버들마편초(Vervain) 또는 숙근버베라 (Verbena officinalis)는 국화과(Compositae) 또는 마편초과(Verbenaceae) 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이 식물은 특유의 가느다란 잎과 작은 자주색 또는 보라색 꽃을 자랑하며, 고대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온 약용 식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말초리풀 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여러 문화에서 중요한 약리적 특성을 가진 식물로 여겨졌습니다.  버들마편초 숙근버베라, 말초리풀 Verbena officinalis 2. 원산지 및 분포지역 버들마편초는 유럽과 아시아 가 원산지로, 특히 지중해 지역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하지만 현재는 북미, 아시아, 유럽 전역 을 포함해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주로 풀밭이나 길가, 숲속의 빈터, 들판 등에 자생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귀화하여 자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3. 꽃말과 연유 버들마편초의 꽃말은 " 평화와 안녕 "입니다. 이 꽃말은 버들마편초가 고대부터 신성한 풀로 여겨지며, 치유와 평화를 가져다주는 역할을 했던 전통적인 사용법에서 유래합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신을 기리기 위해 버들마편초를 사용했으며, 신탁을 받기 위해 이 풀을 기념품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로마 군인들이 전쟁에서 승리할 때 이 풀을 던져 승리를 기념했다고 전해집니다. 4. 한국 귀화 시점 버들마편초는 조선시대 에 이미 귀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는 약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그 후 자생적인 특성 덕분에 지금까지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5. 약용 성분 및 효능 버들마편초는 약용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약리적 성분 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주요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 터페노이드 , 알칼로이...

붉은 토끼풀,Red Clover 스토리

이미지
붉은 토끼풀, Red Clover의 약성과 효능 – 원산지부터 약효, 꽃말까지 한눈에 알아보는 붉은 토끼풀 이야기 – 붉은 토끼풀,Red Clover  초여름 들판을 걷다 보면, 잎이 세 갈래로 나뉘고 작고 붉은 꽃송이를 모아 피워내는 풀이 눈에 띕니다. 이름도 사랑스러운 붉은 토끼풀 , 영어로는 Red Clover 라고 불리는 이 식물은 단지 귀여운 외모만 가진 것이 아닙니다.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약초로 활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다양한 건강 기능성도 밝혀지며 다시 주목받고 있는 식물이죠. 하얀 클로버 꽃은 흔하지만 비교적 귀한 플꽃 붉은 토끼풀의 정체 , 꽃말 , 약리 효과 , 그리고 한의학적 시선 까지 살펴봅니다. 붉은 토끼풀,Red Clover의 약성과 효능 붉은 토끼풀의 원산지와 분포 붉은 토끼풀( Trifolium pratense )은 원래 유럽과 서아시아 에서 자생하던 식물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북미,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 등 전 세계 온대지역 에서 널리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국 들판과 도로변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입니다. 사료용 , 토양 개량용 , 약초 , 조경용 으로 활용되며, 꿀벌들이 좋아하는 밀원식물 이기도 합니다. 꽃말과 숨은 의미 붉은 토끼풀의 꽃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속 수줍음 행복한 추억 잎이 세 장으로 나뉘어 있으면서도 하나로 뭉쳐 있는 모습에서 ‘연결’, ‘하나됨’의 의미가 부여되었고, 둥글고 조심스럽게 모여 피는 붉은 꽃의 모습은 ‘수줍음’을 연상시킵니다. 또한, 목초지나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어 유년 시절의 추억 과도 연결되곤 합니다. 붉은 토끼풀,Red Clover의 약성과 효능 🧪 붉은 토끼풀의 약리 성분과 효능 붉은 토끼풀은 단순한 야생초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활성 성분 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건강 효과 를 갖고 있습니다: ✔ 주요 성분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등): 식물성 에스트로겐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살리실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