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의 모든것
두메부추(杜嵋韭,山韭) Allium thunbergii
가을 산행을 하다보면 양지바른 풀밭에서 가끔 만나는 두메 부추의 정보를 알아 봅니다.
두메부추(학명: Allium thunbergii)는 백합과(혹은 부추과, Amaryllid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산지나 들판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입니다. 다음은 두메부추의 개요입니다.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개요
학명: Allium thunbergii
분류: 백합과(Amaryllidaceae), 부추속(Allium)
형태: 여러해살이풀
꽃피는 시기: 8월~10월
분포 지역: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 지역
한자명: 두메부추(杜嵋韭)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생물 분류
목: 비짜루목
과: 수선화과
아과: 부추아과
속: 부추속
종: 부추
학명:Allium senescens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형태적 특징
두메부추는 일반 부추보다 잎이 가늘고 길며, 주로 산지나 바위틈 등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랍니다.
두메부추 뿌리줄기: 짧고 굵은 인경(鱗莖, 비늘줄기)을 가짐.
두메부추 잎: 원통형 또는 가는 선형, 길이 약 20~30cm 정도로 촘촘하게 모여 남.
두메부추 꽃: 붉은빛 또는 자주빛이 도는 작은 꽃이 산형(傘形)으로 모여 피며, 지름 약 2cm 정도.
두메부추 줄기: 곧게 서며 윗부분에 꽃차례를 이룸.
두메부추 생태 및 분포
두메부추 분포 한국: 전국 산지에서 자생 (특히 강원, 경기 북부, 울릉도 등)
두메부추 분포 해외: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사할린 등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이용 및 가치
두메부추 관상용: 늦가을까지 화려한 자주빛 꽃을 피워 정원용이나 화단용으로 인기가 높음.
두메부추 약용: 뿌리나 잎에는 부추와 비슷한 향과 효능이 있어, 혈액순환 개선, 피로 회복, 소화 촉진 등에 쓰이기도 함.
두메부추 식용: 어린잎은 부추처럼 나물로 먹을 수 있음.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꽃말
두메부추의 꽃말은 “끈질긴 사랑”, “인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척박한 산지에서도 뿌리를 내리고 늦가을까지 꽃을 피우는 생명력에서 유래합니다.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
두메부추(山韭산구) 기타 이름(이명)
야생부추
두메산부추
두메부추(Allium thunbergii)의 이명(異名, Synonyms) 은 학문적 지역적 차이, 혹은 분류 체계의 변화로 인해 생겨난 이름들입니다.
두메부추 이명 목록
Allium thunbergii G. Don — 현재 통용되는 정명(正名)
Allium virgunculae F. Maekawa
Allium thunbergii var. terauchii (Hara)
Allium thunbergii var. ternatum (Nakai)
Allium thunbergii subsp. terauchii (Hara)
Allium sacculiferum Maxim. — 일부 문헌에서 혼용된 적 있음
Allium taquetii H. Léveillé — 예전 울릉도 개체를 별종으로 구분할 때 사용된 이름
국내에서 통용되는 두메부추 이름
산부추
야산부추
두메산부추
야생부추
엄밀히는 산부추(Allium senescens) 와 두메부추(Allium thunbergii) 는 다른 종입니다.
두메부추는 꽃이 늦가을에 피고 잎이 더 가늘며, 산부추보다 더 고산성 환경에 잘 적응합니다.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
두메부추(Allium thunbergii)의 원산지와 분포국가
두메부추 원산지
동아시아 지역 자생종
주로 한반도,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한국이 주요 자생 중심지 중 하나입니다.
두메부추 분포 국가
🇰🇷 대한민국 : 전국 산지, 특히 강원도·경기도 북부·울릉도 등 고산지대 및 양지바른 바위틈
🇯🇵 일본 : 혼슈(本州)·시코쿠(四國)·규슈(九州) 등, 산지나 절벽 주변
🇨🇳 중국 : 동북 지방(요령성, 길림성, 흑룡강성) 일대
🇷🇺 러시아 : 연해주(Primorsky Krai), 사할린(Sakhalin) 등 극동 지역
🇰🇵 북한 : 개마고원, 백두산 일대 산지에서 자생 보고됨
두메부추 생육 환경
추위와 건조에 강하며, 배수가 잘 되는 곳을 선호함
토양이 척박해도 잘 자라는 강한 내성의 식물
요약하자면
두메부추는 한국을 중심으로 일본·중국 동북부·러시아 극동지역 등 동북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는 한대성(寒帶性) 부추속 식물입니다.
두메부추 한자명,약재명,동의보감 원문 해석
아래는 두메부추(Allium thunbergii) 의 한자명, 약재명, 그리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등장하는 관련 내용(즉, 부추류에 대한 언급)의 원문과 해석을 종합 정리한 것입니다.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
두메부추 (Allium thunbergii) 한약·문헌 개요
두메부추(杜嵋韭) — 문헌에서 직접 이 한자명은 드물며,
보통 부추류를 통칭하는 명칭인 구(韭) 또는 산구(山韭) 로 표기됩니다.
관련 표기:
韭 (구) : 부추의 한자 표기
山韭 (산구) : 산에서 자생하는 부추류(즉, 두메부추·산부추 등을 포함)
2. 두메부추(杜嵋韭) 약재명(藥材名)
약용 부위: 주로 잎, 뿌리(인경), 씨앗(韭子)
성미(性味):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달다(甘)
귀경(歸經): 간(肝), 신(腎)
두메부추(杜嵋韭) 효능:
양기를 돋우고 혈액순환을 촉진함냉증·복통·허약 체질에 사용
피로회복, 소화촉진, 기력회복에 도움
즉, 두메부추는 약효 면에서 일반 부추(Allium tuberosum)와 유사하며,
산지 자생종으로 약성이 좀 더 강한 것으로 전통적으로 여겨집니다.
3. 두메부추(杜嵋韭) 동의보감(東醫寶鑑) 원문 및 해석
韭菜 味辛溫無毒 主補腎壯陽明目 醫方集解云 能通血脈暖腰膝止腰痛下氣補虛勞令人能食久食益氣力止泄精
부추(구채)는 맛이 맵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
신장을 보하고 양기를 강하게 하며, 눈을 밝게 한다.
기를 내리고 허로를 보하며, 식욕을 돋우고 오래 먹으면 기와 힘이 생기며, 정액이 새는 것을 멎게 한다.”
4. 두메부추에의 적용
두메부추는 산지 자생 부추류로서 『동의보감』에 직접 이름이 등장하지 않지만,산부추(山韭) 나 야생 부추(野韭) 와 동일 계열의 약용식물로 취급됩니다.
즉,
“성질은 따뜻하고, 몸을 덥혀 양기를 돋우며, 혈액순환과 허약 개선에 좋다.”
는 약성이 적용됩니다.
5. 두메부추(杜嵋韭) 요약
두메부추(杜嵋韭) 한자명 杜嵋韭 (또는 山韭, 野韭)두메부추(杜嵋韭) 약재명 韭菜(구채), 山韭(산구), 野韭(야구)
두메부추(杜嵋韭) 성미 温(따뜻함), 辛甘(매운맛과 단맛)
두메부추(杜嵋韭) 효능 보신(補腎), 장양(壯陽), 활혈(活血), 거한(祛寒), 익기력(益氣力)
동의보감 관련 “보신장양, 명목, 통혈맥, 온요슬, 지요통, 하기, 보허로, 익기력, 지설정”
현대 적용 혈액순환 개선, 피로회복, 소화기능 강화, 남성 원기 회복
🌿 두메부추 이름의 유래
1. ‘두메부추’ 이름의 어원
‘두메부추’는 ‘두메(杜嵋)’ + ‘부추(韭)’ 로 이루어진 합성어입니다.우리말 고유어로 ‘깊은 산속, 외진 산골, 사람의 발길이 드문 곳’ 을 뜻합니다.
따라서 ‘두메부추’는 “깊은 산속에서 자라는 부추”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부추는 오랜 한자명으로 ‘구(韭)’ 라 하며,
고대 중국과 한국에서 모두 양기를 돋우고 장생을 상징하는 채소 로 여겨졌습니다.
👉 즉, ‘두메부추’ = 산속에 자생하는 야생 부추,자연환경에서 스스로 자라는 부추라는 뜻입니다.
2. 학명(學名)의 유래
학명: Allium thunbergii G. DonAllium → 라틴어로 “마늘”을 뜻하며, 부추·파·마늘 등 동속 식물의 속명
thunbergii → 18세기 스웨덴 식물학자 Carl Peter Thunberg(카를 툰베르크) 의 이름을 딴 종명
Thunberg는 일본과 한국 일부 지역의 식물을 서양에 소개한 인물로,
그가 수집한 표본 중에서 이 식물이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기려 Allium thunbergii 라 명명되었습니다.
3. 한자 표기 해석
杜嵋韭 (두메구 / 두메부추)杜嵋(두메) : ‘깊은 산골’, ‘두메산’이라는 뜻의 의역 표기
韭(구) : 부추를 의미
→ 산속 깊은 곳에 자생하는 부추
문헌에 따라 山韭(산구), 野韭(야구) 로 표기되기도 하며,
이는 모두 ‘들·산에서 자라는 부추’를 뜻하는 전통적 한자 표현입니다.
4. 민속적 의미
우리 조상들은 부추를 ‘기운을 돋우는 채소’, ‘양기를 보하는 식물’ 로 여겼습니다.그래서 산속에서도 살아남는 강한 생명력을 가진 두메부추는
“끈질김, 인내, 강한 생명력”을 상징하며, 꽃말도 그 뜻을 반영해 ‘끈질긴 사랑’ 으로 전해집니다.
두메부추(杜嵋韭) 요약
두메부추(杜嵋韭)이름 의미 ⇨ ‘깊은 산속(두메)’에 자생하는 ‘부추’두메부추(杜嵋韭)학명 유래 ⇨ 식물학자 카를 툰베르크(Thunberg)를 기려 명명
#Allium-senescens #구채 #두메산부추 #두메부추효능 #두메부추동의보감 #동의보감두메부추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