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정보
왕고들빼기는 키가 큰 고들빼기인데 가을철이 되면 늦게사 노란 꽃이 국과처럼 핍니다. 꽃모양은 흡사 봄에피는 개망초꽃 처럼 생겼는데 더 크고 색깔이 노란색입니다.
봄철엔 싸쌀한 맛이 나는 나물로 먹는 야채이기도 합니다.
왕고들빼기(학명: Lactuca indica)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두해살이풀로, 쌉싸름한 맛과 다양한 효능을 지녀 나물이나 김치 재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고들빼기 중에서 키가 1~2m까지 크게 자라나서 '왕'고들빼기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꽃 |
왕고들빼기,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특징
왕고들빼기생김새: 줄기가 곧게 서서 자라며, 어린 시절에는 뿌리에서 잎이 돋아난 로제트 형태로 있다가 자라면서 줄기잎이 어긋나게 납니다.왕고들빼기성장: 들판, 햇볕이 잘 드는 빈터, 경작지 주변의 풀밭에서 잘 자랍니다.
왕고들빼기분포: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합니다.
왕고들빼기채취: 34월에는 어린잎을, 1011월에는 뿌리를 채취하여 식용합니다.
왕고들빼기는 식용이 가능합니다. 쓴맛이 특징이며, 주로 봄철 어린순을 나물로 먹거나 김치를 담가 먹습니다. 쌉싸름한 맛이 입맛을 돋우고, 한의학에서는 몸의 열과 독소를 제거하고 소화력을 높이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왕고들빼기,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섭취 방법
나물: 부드러운 어린순을 데쳐서 양념에 무쳐 먹습니다.김치: 쓴맛을 활용해 김치를 담가 먹습니다.
기타: 밥이나 국에 넣어 먹기도 합니다.
왕고들빼기,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주의사항
왕고들빼기는 맛이 쓴 편이므로, 섭취 전에 소금물에 잠시 담가 쓴맛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생김새가 비슷한 다른 식물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노랑선씀바귀와 혼동할 수 있으므로, 잎과 모양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왕고들빼기가 몸의 열과 독소를 제거하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꽃 |
왕고들빼기,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활용법
나물 및 무침: 쌉쌀하면서 고소한 맛이 특징으로, 어린잎은 겉절이나 된장 무침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왕고들빼기김치: 가을에 채취한 왕고들빼기로는 특유의 쓴맛과 아삭한 식감이 살아있는 김치를 담글 수 있습니다.
왕고들빼기 쌈 채소: 생채로 쌈을 싸 먹거나 샐러드 재료로 활용됩니다.
왕고들빼기찜: 쪄서 양념장을 곁들여 먹기도 합니다.
왕고들빼기차: 뿌리부터 잎까지 전체를 말려 차로 마실 수 있습니다.
왕고들빼기김치: 가을에 채취한 왕고들빼기로는 특유의 쓴맛과 아삭한 식감이 살아있는 김치를 담글 수 있습니다.
왕고들빼기 쌈 채소: 생채로 쌈을 싸 먹거나 샐러드 재료로 활용됩니다.
왕고들빼기찜: 쪄서 양념장을 곁들여 먹기도 합니다.
왕고들빼기차: 뿌리부터 잎까지 전체를 말려 차로 마실 수 있습니다.
왕고들빼기 효능
항산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성분(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염증 완화: 편도선염, 자궁염, 인후염 등 각종 염증성 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화 및 장 건강: 소화불량에 도움이 되며, 장 건강에도 이로운 약초입니다.
당뇨 개선: 당뇨 환자에게 좋은 약초로 알려져 있으며, 해열, 양혈, 건위 등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왕고들빼기 이명(다른이름)
왕고들빼기는 맛이 쓰고 독특한 향이 있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한약재로도 귀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다른 이름 및 한자명
고채(苦菜): 쓴맛이 나는 나물이라는 뜻입니다.
산와거(山萵苣): 야생에서 자라는 상추 종류라는 의미입니다.
백용두(白龍頭): 뿌리의 모양이 용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토인삼(土人參): 뿌리가 인삼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별칭입니다.
야생채(野生菜): 야생에서 자라는 나물이라는 뜻입니다.
쓴풀: 쓴맛이 강하다는 점을 강조한 순우리말 이름입니다.
토끼밥, 씀바우: 토끼가 잘 먹는 풀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왕고들빼기 약재명
왕고들빼기는 주로 산와거(山萵苣) 또는 고채(苦菜)라는 약재명으로 불리며, 뿌리는 백용두(白龍頭)로 알려져 있습니다.
![]() |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꽃 |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 효능
왕고들빼기는 다양한 약리 작용을 하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방과 민간요법에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항산화 및 항염 효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세포 노화를 막고, 몸속 염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열감기, 편도선염, 인후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습니다.
소화 기능 증진: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돕는 건위 소화 작용을 합니다.
면역력 강화: 면역력을 높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해열 및 해독 작용: 몸의 열을 내리고 독소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부스럼이나 종기 등을 가라앉히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숙취 해소 및 혈액 순환: 숙취 해소와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암 작용: 암 예방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 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 진정쌍떡잎식물군
➡: 국화군
➡: 국화목
➡: 국화과
➡: 치커리아과
➡: 치커리족
➡: 왕고들빼기속
➡: 왕고들빼기
학명➡ Lactuca indica L. (1771)
학명이명 ➡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主熱毒腫瘍,喉痺,風癎。
散腫止痛,通乳。
一名山苦菜。
학명이명 ➡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 동의보감 원문
白龍頭
性寒味苦。無毒。主熱毒腫瘍,喉痺,風癎。
散腫止痛,通乳。
一名山苦菜。
🔹 요점 해설:
쓴맛과 찬 성질로 열독과 부기를 내리고, 젖이 잘 통하게 함.
피부의 염증성 종기, 인후통, 경련 등에 사용.
![]() |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꽃 |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 본초강목 원문(李時珍 著)
山苦菜
味苦,性寒,無毒。
治熱毒腫瘍,癰疽,喉痺,風熱頭痛,目赤腫痛,通乳汁,利小便。
一名白龍頭。生山野間。
其汁可解酒毒,亦治黃疸。
味苦,性寒,無毒。
治熱毒腫瘍,癰疽,喉痺,風熱頭痛,目赤腫痛,通乳汁,利小便。
一名白龍頭。生山野間。
其汁可解酒毒,亦治黃疸。
🔹 요점 해설:
청열해독(清熱解毒): 열독으로 인한 부기, 종기, 인후염 완화.
이뇨(利小便): 소변이 잘 나오게 하여 체내 열과 독 배출.
통유(通乳): 젖이 막힌 산모에게 효과.
해주(解酒): 술독 해소 및 황달 치료.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 현대적 통합 해석
해열·해독 작용 고열, 인후염, 염증 완화
소염·진통 효과 종기, 부기, 통증 완화
간·담 해독 황달, 간염 등 간 기능 개선
통유 작용 젖 분비 촉진, 젖몸살 완화
이뇨 작용 신장 및 방광의 열 제거, 소변불리 완화
왕고들빼기 산와거(山萵苣)에 대한 생각
동의보감에서는 열독 제거와 젖 분비 중심으로,본초강목에서는 청열해독 + 이뇨 + 해주(解酒) 효능까지 확장해 설명함.
두 문헌을 종합하면, “열독성 염증을 없애고 몸의 독기를 배출하는 해독초(解毒草)”로 볼 수 있습니다.
![]() |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꽃 |
왕고들빼기의 꽃말은 '모정'입니다.
꽃말 '모정' 인 이유 :
줄기나 잎에 상처가 나면 젖과 같은 흰 유액이 나오는데, 이 모습이 자식에게 젖을 물리는 어미의 사랑에 비유되어 모정이라는 꽃말이 붙여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번식력이 매우 강하고 키가 1~2m까지 크게 자라 다른 야생초들을 감싸는 모습에서도 '어머니의 사랑'을 연상케 한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의 탕액편 草部 白龍頭 와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채부(菜部) 山苦菜條에서 말하는 내용 비교
백용두(白龍頭) / 산고채(山苦菜) 비교 해설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 白龍頭)에 대한 동의보감 원문과 해설입니다.
구분 | 동의보감 | 본초강목 |
---|---|---|
명칭 | 白龍頭 (백용두) | 山苦菜 (산고채), 又名白龍頭 |
출전 위치 | 탕액편(湯液篇) 草部 | 채부(菜部) |
성미(性味) | 性寒, 味苦, 無毒 | 味苦, 性寒, 無毒 |
효능(主治) | 熱毒腫瘍, 喉痺, 風癎, 散腫止痛, 通乳 | 清熱解毒, 除風熱, 利小便, 消腫毒, 通乳汁 |
약용 부위 | 전초(全草) | 전초(全草), 잎과 줄기 사용 |
이명(異名) | 山苦菜(산고채) | 白龍頭, 山苦菜, 牛舌菜 등 |
약성 요약 | 열독 제거, 해열, 해독, 부기·종기 완화 | 해열, 해독, 이뇨, 유즙 분비 촉진, 열성 염증 완화 |
![]() |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꽃 |
왕고들빼기 (白龍頭, 백용두)
한자명: 白龍頭학명: Lactuca indica L. 또는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속명: 고들빼기속 (Lactuca)
영문명: Indian Lettuce, Wild Lettuce
속칭: 왕고들빼기, 산고들빼기, 고들빼기나물
동의보감 원문 (탕액편 草部)
白龍頭
性寒味苦。無毒。
主熱毒腫瘍,喉痺,風癎。
散腫止痛,通乳。
一名山苦菜。
왕고들빼기 (白龍頭, 백용두) 해설
1. 성미(性味)성질: 차다(寒)
맛: 쓰다(苦)
독: 없다(無毒)
→ 몸의 열을 내려주고 해독 작용이 강한 약초임을 뜻합니다.
2. 주치(主治) – 효능 해석
원문의미해설熱毒腫瘍 열독으로 인한 종기나 염증 피부나 림프에 열독이 쌓여 생긴 종기,부기,염증 완화
喉痺 인후염, 목의 붓고 막힌 증상 목이 붓고 아픈 증상, 편도염 등에 사용
風癎 풍으로 인한 간질성 경련 신경성 발작이나 경련 진정에 도움
散腫止痛 부기와 통증을 없앰 종기, 타박상, 염증의 통증 완화
通乳 젖이 잘 통하게 함 산모의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사용
![]() |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꽃 |
3. 이명(異名)
산고채(山苦菜) — 산에서 자라는 쓴풀이라는 뜻.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도 백용두(白龍頭)와 산고채를 같은 약재로 기록합니다.
4. 현대 약리 해석
항염, 해열, 진통, 간 해독 작용이 보고됨.
민간에서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종기나 부기, 간염, 위염, 인후통에 쓰임.
쓴맛이 강해 식욕 억제 효과가 있어 봄나물로도 이용됩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도 백용두(白龍頭)와 산고채를 같은 약재로 기록합니다.
4. 현대 약리 해석
항염, 해열, 진통, 간 해독 작용이 보고됨.
민간에서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종기나 부기, 간염, 위염, 인후통에 쓰임.
쓴맛이 강해 식욕 억제 효과가 있어 봄나물로도 이용됩니다.
5. 복용 및 응용
내복: 생즙 또는 달인 물을 하루 2~3회 마심.
외용: 찧어 붙이거나 즙을 상처 부위에 바름.
주의: 성질이 차므로 냉한 체질이나 위장이 약한 사람은 과용을 피해야 함.
왕고들빼기 (白龍頭, 백용두) 요약
구분내용 한자명 ➡白龍頭이명 ➡산고채 山苦菜
성미 ➡性寒味苦無毒
효능 ➡해열·해독·소종·지통·통유
주치 ➡열독종양, 인후염, 경련, 젖분비 장애
현대적 응용➡ 간 해독, 염증 완화, 해열 진통
주의사항 ➡ 냉한 체질 주의
왕고들빼기원산지 #왕고들빼기곷말 #왕고들빼기용도 #왕고들빼기생물분류 #왕고들빼기식물정보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