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여름야생화인 게시물 표시

며느리밥풀,Cow-wheat,紅車軸草,ヤマクワガタ,꽃며느리밥풀

이미지
👉 “꽃며느리밥풀”이라고 흔히 부르지만, 식물도감에 기록된 정식 이름은 ‘며느리밥풀’입니다. 즉, ‘며느리밥풀 = 표준명’, ‘꽃며느리밥풀 = 민간에서 부르는 별칭’으로 구분됩니다. 바른 이름 : 며느리밥풀 다른 이름(이명): 꽃며느리밥풀, 노루발풀, 노루발 등 며느리밥풀 영문명 Rosy Cow-wheat (가장 일반적인 표기) Rose Cow-wheat (지역/자료에 따라 사용) Melampyrum roseum (학명 그대로 표기하기도 함) 👉 여기서 Cow-wheat은 Melampyrum 속 식물들을 통틀어 부르는 이름. 이는 “소(cow)가 잘 먹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지만, 실제로는 방목지에서 잡초로 취급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정리하면, 학명: Melampyrum roseum, 영문명(일반명): Rosy Cow-wheat 며느리밥풀,Cow-wheat,紅車軸草,ヤマクワガタ,꽃며느리밥풀 며느리밥풀 ,Rosy Cow-wheat,ヤマクワガタ,紅車軸草 꽃며느리밥풀 개요 한국에서 여름 풀꽃인  며느리밥풀 꽃은 이름에서 느끼듯 과거 며느리의 설움이 얼마나 심했는가를 보여주는 꽃입니다.며느리 밥풀 꽃사진과 함께 이 식물정보를 알아 봅니다. 학명: Melampyrum roseum 과(科): 현삼과(Scrophulariaceae) 또는 최근 분류에서는 쓰촨풀과(Orobanchaceae) 한국명: 꽃며느리밥풀 다른 이름: 며느리밥풀, 노루발풀(지역 방언) 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 국화군 ⇨ 꿀풀목 ⇨열당과 ⇨꽃며느리밥풀속 ⇨꽃며느리밥풀 학명:Melampyrum roseum Maxim. (1859)

버들마편초 숙근버베라, 말초리풀 Verbena officinalis

이미지
  버들마편초 숙근버베라, 말초리풀  Verbena officinalis 1. 개요 버들마편초(Vervain) 또는 숙근버베라 (Verbena officinalis)는 국화과(Compositae) 또는 마편초과(Verbenaceae) 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이 식물은 특유의 가느다란 잎과 작은 자주색 또는 보라색 꽃을 자랑하며, 고대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온 약용 식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말초리풀 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여러 문화에서 중요한 약리적 특성을 가진 식물로 여겨졌습니다.  버들마편초 숙근버베라, 말초리풀 Verbena officinalis 2. 원산지 및 분포지역 버들마편초는 유럽과 아시아 가 원산지로, 특히 지중해 지역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하지만 현재는 북미, 아시아, 유럽 전역 을 포함해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주로 풀밭이나 길가, 숲속의 빈터, 들판 등에 자생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귀화하여 자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3. 꽃말과 연유 버들마편초의 꽃말은 " 평화와 안녕 "입니다. 이 꽃말은 버들마편초가 고대부터 신성한 풀로 여겨지며, 치유와 평화를 가져다주는 역할을 했던 전통적인 사용법에서 유래합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신을 기리기 위해 버들마편초를 사용했으며, 신탁을 받기 위해 이 풀을 기념품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로마 군인들이 전쟁에서 승리할 때 이 풀을 던져 승리를 기념했다고 전해집니다. 4. 한국 귀화 시점 버들마편초는 조선시대 에 이미 귀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는 약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그 후 자생적인 특성 덕분에 지금까지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5. 약용 성분 및 효능 버들마편초는 약용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약리적 성분 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주요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 터페노이드 , 알칼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