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구수 순위 시도 50위와 인구 문제 개요

South Korea's Population Ranking 50th and an Overview of Population Issues


한국의 인구수 순위 시도 50위 까지를 지명.인구수,하락중 혹은 상승중 ,도시특징등을 보여줍니다.
이 인구수 소멸지역과 증가,안정 지역의 희비(喜悲)와 그 의미는 현재 한국 사회의 지역 불균형, 지방소멸, 수도권 집중 문제를 통합적으로 짚을 수 있는 주제로서 누구도 함부로 해답을 내 놓을 수 없는 아픈 과제입니다.


한국의 인구수 순위 시도 50위와 인구 문제 개요
한국의 인구수 순위 시도 50위와 인구 문제 개요 

🌍 1. 인구 문제 개요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지금 인구 변동의 극심한 양극화 속에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청년층 유출과 고령화로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되고,다른 한쪽에서는 산업·교육·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인구가 증가 또는 안정세를 보입니다.
이 대비는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의 생존과 정체성에 직결된 문제입니다.

 


📉 2. 소멸위험 지역의 현실과 의미


행정안전부의 ‘지방소멸위험지수(15~64세 여성 인구 ÷ 65세 이상 고령 인구)’ 기준으로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1.0 미만이면 위험 지역으로 봅니다.

현재(2025년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절반 이상이 이 위험선 아래에 있습니다.
대표 지역: 전북 무주·진안, 경북 의성, 강원 인제 등.

의미:
경제적 침체: 일자리 감소 → 청년층 유출 → 소비 기반 붕괴
사회적 해체: 학교·병원·대중교통 폐쇄, 공동체 붕괴
정책적 도전: 지자체 유지 비용은 그대로인데 세수는 급감
 

📈 3. 인구 증가·안정 지역의 특징


반대로, 일부 지역은 인구가 늘거나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표 지역: 세종시, 화성시, 김포시, 창원 일부, 제주, 부산 해운대구 등.

이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도권 또는 광역시권 연계 교통망 확충
대기업·산업단지 유치, 신도시 개발
젊은 세대 중심의 일자리와 주거환경 조성

의미:
도시 집중 강화로 지역 격차가 더 벌어집니다.
정책의 집중 효과는 있으나 균형발전은 오히려 악화됩니다.

 
⚖️ 4. 지역 간 희비와 구조적 문제


인구 증가 지역의 ‘성공’은 그 자체로 반가운 일이지만,
이로 인해 다른 지역은 더욱 급속히 인구를 잃게 됩니다.

이것은 ‘제로섬 인구 경쟁’ 구조로, 한쪽의 성장 뒤에는 다른 지역의 소멸이 숨어 있습니다.

즉, 전국 인구 총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의 국지적 증가란  ‘이동’에 의한 증가이지 실질적인 인구 생산력 증가가 아닙니다.
 

🧭 5. 앞으로의 방향과 시사점


균형발전 재정비: 도로·철도만이 아닌, 지역 고유 산업·대학·문화 유지 지원
청년 유입정책 혁신: 단순 귀농귀촌 지원이 아니라, 원격 근무 기반 산업 유치
생활권 단위 연계: 소멸위험 지자체끼리 광역 생활권으로 묶는 협력형 자치
데이터 기반 대응: 출생률, 이동률, 주택 수요 등을 통합한 예측 행정 필요
 

🕊️ 6. 인구 문제의 결론적 설


인구의 증감은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지역의 생명선입니다.
누군가의 고향이 사라지는 일이며,다른 한편에서는 도시 집중으로 삶의 경쟁이 과열되는 일입니다.

지방의 소멸과 도시의 팽창이 교차하는 지금,우리가 진정 고민해야 할 것은 ‘인구 수’보다 사람이 머물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힘입니다.


7.대한민국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상위 20위 (2025년 9월 기준)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은 광역자치단체(시·도)와 그 하위의 기초자치단체(시·군·구)로 나뉘어 있습니다. 광역자치단체는 총 17개이므로, 20위까지의 순위를 보시려면 시·군·구를 포함하는 인구 순위로 확장해야 합니다.

가장 최근 자료를 기준으로 기초자치단체를 포함한 인구 순위 상위 20위를 정리하여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이 순위에는 경기도의 대규모 시(市)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자료로 사용 할 수없는 데이터임으로 인용하지 마십시오.


순위 지명 (시·군·구) 인구수 (명) 체크 기준 연월 인구 추이 도시 특징 (간략)

1 경기 수원시 약 120만 2025년 9월 안정/약간 하락 경기도청 소재지, 삼성전자 본사 위치, 교육 및 교통 중심지

2 경기 용인시 약 110만 2025년 9월 상승 중 대규모 신도시(수지, 기흥) 발달, 용인 에버랜드 등 관광/반도체 산업

3 경기 고양시 약 108만 2025년 9월 안정/약간 하락 일산 신도시 중심의 주거 지역, 방송 및 미디어 산업 시설 (킨텍스)

4 경남 창원시 약 102만 2025년 9월 하락 중 경상남도 도청 소재지, 대한민국 대표 중화학 공업 단지

5 경기 성남시 약 91만 2025년 9월 하락 중 분당/판교 신도시(IT/테크노밸리)와 구시가지가 혼재된 도시

6 경기 화성시 약 90만 2025년 9월 급격한 상승 중 삼성전자 등 대기업 산업단지, 동탄 신도시 중심의 젊은 인구 유입

7 경기 부천시 약 80만 2025년 9월 하락 중 서울 서부와 인접한 주거 밀집 도시, 문화 예술 및 영상 산업 발달

8 경기 남양주시 약 73만 2025년 9월 상승 중 별내, 다산 등 신도시 개발, 서울 동부와 인접한 주거 벨트

9 경기 안산시 약 69만 2025년 9월 하락 중 반월·시화 국가산업단지, 다문화 인구가 많은 공단 중심 도시

10 충북 청주시 약 68만 2025년 9월 상승 중 충청북도 도청 소재지, 바이오 및 반도체 산업 발전, 교통 요충지



11 경기 안양시 약 55만 2025년 9월 하락 중 서울 남부와 인접, 주거 및 상업 기능, 교통의 요지

12 경북 포항시 약 50만 2025년 9월 하락 중 대한민국 대표 철강 산업 도시 (포스코), 동해안 거점

13 경기 평택시 약 49만 2025년 9월 급격한 상승 중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주한미군 기지(캠프 험프리스), 항만 물류 중심

14 경기 시흥시 약 48만 2025년 9월 상승 중 시화 MTV 등 산업단지, 배곧 신도시 개발, 수도권 서남부 거점

15 경기 파주시 약 48만 2025년 9월 상승 중 통일 경제의 요충지, 운정 신도시 개발, 군사 및 출판 문화 도시

16 경남 김해시 약 47만 2025년 9월 상승 중 부산/창원 인접, 공업 및 주거 기능, 가야 문화 유적지

17 전북 전주시 약 46만 2025년 9월 하락 중 전북특별자치도 도청 소재지, 전통 문화(한옥마을) 및 관광 중심지

18 경북 구미시 약 40만 2025년 9월 하락 중 대한민국 전자 산업의 발상지, 공업 중심 도시

19 경남 양산시 약 36만 2025년 9월 상승 중 부산 및 울산의 인구 유입, 신도시 개발, 물류 및 산업단지

20 경기 광주시 약 35만 2025년 9월 상승 중 서울 및 성남 인접, 태전·고산 지구 등 신규 주택 개발



참고:

광역자치단체 순위는 17위로 종료되므로, 20위까지의 순위는 주로 인구가 많은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순위로 구성됩니다.
체크 기준 연월: 2025년 9월 주민등록 인구통계 및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인구 추이: 화성시, 평택시 등 수도권 남부의 산업단지 및 신도시가 위치한 지역은 인구 상승세가 두드러집니다. 반면, 일부 전통적인 대도시(수원, 성남 등)와 지방 공단 도시(구미 등)는 정체되거나 하락세를 보이는 곳이 많습니다.


순위 지명(시군구) 인구수 (명) 체크 기준 연월 인구 추이 도시 특징 (간략)

21 서울 송파구 약 65만 2025년 9월 하락 중 잠실, 올림픽공원, 롯데월드 등 서울 동남부의 주요 주거 및 상업 중심지
22 경기 김포시 약 50만 2025년 9월 상승 중 한강 신도시 개발, 서울 접근성 양호, 수도권 서부 주거 지역
23 경남 진주시 약 47만 2025년 9월 하락 중 서부 경남의 중심 도시, 혁신도시 개발, 항공우주 산업 육성
24 서울 강서구 약 57만 2025년 9월 하락 중 김포공항 위치, 마곡지구 개발(R&D), 서울 서부의 주요 주거 지역
25 제주 제주시 약 49만 2025년 9월 상승 중 제주도 행정 중심, 공항 소재, 관광 및 서비스업 발달
26 충남 천안시 약 67만 2025년 9월 상승 중 충남 북부 교통 요충지, 산업단지 발달, 수도권 및 대전의 기능 분담
27 경북 경산시 약 27만 2025년 9월 상승 중 대구광역시와 인접, 대규모 대학가 및 주거 단지
28 경기 광명시 약 29만 2025년 9월 하락 중 서울 서남부와 인접, KTX 광명역, 재개발 사업 진행
29 서울 노원구 약 48만 2025년 9월 하락 중 대단위 아파트 단지 밀집, 교육열 높은 서울 동북부 주거 지역


30 대전 서구 약 46만 2025년 9월 하락 중 대전광역시청 소재지, 정부청사, 주요 행정 및 금융 중심지
31 경기 군포시 약 26만 2025년 9월 하락 중 산본 신도시, 서울 남부 접근성 양호
32 서울 은평구 약 47만 2025년 9월 하락 중 서울 서북부 주거 지역, 뉴타운 개발로 인구 유입
33 부산 해운대구 약 38만 2025년 9월 하락 중 국제적인 관광 명소, 고급 주거 및 마린시티 등 신도시
34 전남 여수시 약 27만 2025년 9월 하락 중 여수국가산업단지(석유화학), 해양 관광 및 박람회 개최지
35 서울 강남구 약 53만 2025년 9월 하락 중 대한민국 최고 상업, 교육, 금융, 문화 중심지
36 서울 서초구 약 40만 2025년 9월 하락 중 법원/검찰청, 예술의전당 등 서울의 행정 및 문화 중심축
37 경북 경주시 약 25만 2025년 9월 하락 중 신라 천년의 고도(古都), 역사 문화 및 관광 중심지
38 충남 아산시 약 37만 2025년 9월 상승 중 삼성 디스플레이 등 산업단지, KTX 천안아산역, 배방/탕정 신도시
39 경기 의정부시 약 45만 2025년 9월 하락 중 경기 북부 행정 및 교통 거점, 서울 북부 인접
40 서울 영등포구 약 40만 2025년 9월 하락 중 금융(여의도), 상업, 교통 중심지, 서울 서남부의 핵심 지역
41 대구 달서구 약 53만 2025년 9월 하락 중 대구 최대 인구 구, 주거 밀집 지역
42 부산 북구 약 27만 2025년 9월 하락 중 부산 북부의 주거 중심지
43 광주 북구 약 42만 2025년 9월 하락 중 광주 최대 인구 구, 전남대학교 등 교육 중심지
44 서울 구로구 약 38만 2025년 9월 하락 중 구로디지털단지(G밸리), IT 산업, 주거 밀집 지역
45 부산 동래구 약 27만 2025년 9월 하락 중 부산의 전통적인 주거 중심지, 온천 및 상권 발달
46 경기 오산시 약 23만 2025년 9월 상승 중 동탄 신도시 인접, 교통 요지, 삼성전자 협력업체 다수
47 서울 양천구 약 44만 2025년 9월 하락 중 목동 신시가지, 높은 교육열의 주거 중심지
48 경남 거제시 약 23만 2025년 9월 하락 중 대형 조선소(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위치, 조선업 중심 도시
49 경기 이천시 약 22만 2025년 9월 상승 중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산업, 도자기 문화 및 쌀 생산지
50 전남 순천시 약 28만 2025년 9월 하락 중 전남 동부권 중심 도시, 순천만 국가정원 등 생태 관광 발달


#인구소멸지역 #인구감소지역 #인구안정지역 #인구증가지역 #인구문제 #인구증감시도50위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정보

벗풀,金蓮花(금련화) ,자고초(慈姑草),Korean Buttercup

비파나무(비파수琵琶樹)Loquat 총 정리

왕고들빼기,산와거(山萵苣),백용두(白龍頭)Lactuca indica 정보

헷갈리는 맞춤법 했듯이

두메부추(山韭산구),Allium senescens 의 모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