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탐구
꼬리풀-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탐구
'꼬리풀 블루'는 파란색 꽃이 피는 꼬리풀 품종을 의미하며, 정원이나 화단에서 관상용으로 인기가 많은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학명인 '베로니카(Veronica)'로도 흔히 불립니다.“꼬리풀 블루”는 일반적으로 꼬리풀(학명: Veronicastrum sibiricum) 또는 그 원예 품종 중 푸른색 꽃을 가진 종류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꼬리풀 주요 품종 및 특징
이삭꼬리풀 '블루 카펫' (Veronica spicata 'Blue Carpet'): 땅을 덮듯이 낮게 자라는 왜성 품종으로, 지피 식물로 활용하기 좋습니다.꼬리풀 '로얄 블루' (Veronica 'Royal Blue'): 중형종으로, 비교적 큰 꽃이 특징입니다.
꼬리풀 '얼스터 블루 드와프' (Veronica 'Ulster Blue Dwarf'): 역시 왜성 품종으로, 진한 파란색 꽃이 매력적입니다.
베로니카 '블루 스카이워커' (Veronica 'Blue Skywalker'): 선명한 파란색을 자랑하는 품종입니다.
꼬리풀 학술적 생물 분류
냉초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진정쌍떡잎식물군⇒국화군
목: 꿀풀목
과: 질경이과
속: 냉초속
종: 냉초
학명⇒Veronicastrum sibiricum(L.) Pennell
꼬리풀 관리 방법
햇빛: 양지나 반양지에서 잘 자랍니다. 하루 6시간 이상의 햇빛이 드는 곳이 이상적입니다.토양: 배수가 잘 되면서도 촉촉한 토양을 선호합니다.
월동: 추위에 매우 강해 전국 노지 월동이 가능합니다 (내한성 zone 4, 영하 34도까지).
물 주기: 겉흙이 말랐을 때 충분히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습에 주의해야 합니다.
가지치기: 첫 번째 꽃이 진 후 시든 꽃대를 잘라주면 가을에 두 번째 꽃을 볼 수 있으며, 더 풍성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번식: 주로 뿌리나누기나 씨앗 파종을 통해 번식시킵니다.
'꼬리풀 블루'는 수천 송이의 작은 파란색 꽃이 꼬리 모양의 꽃차례로 모여 피는 모습이 아름다워 정원 연출에 인기가 높습니다.
꼬리풀 블루 기본 정보
이름: 꼬리풀 (Veronicastrum sibiricum)영문명: Culver’s root, Veronica spicata (비슷한 속 식물 포함)
한자명: 尾花草 또는 尾穗草
과: 질경이과 (Plantaginaceae)
원산지: 동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
개화기: 6월 ~ 9월
꽃색: 보라색·청자색·분홍색·흰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
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Blue Tower’ 등)
園藝(원예) 품종 중 특히 푸른색 계열 꽃을 가진 품종을 흔히 “꼬리풀 블루”라 부릅니다.
꽃색: 짙은 푸른빛 ~ 보랏빛
키: 약 80~150cm
특징: 줄기 끝에서 꼬리처럼 길게 이어지는 꽃차례가 인상적이며, 여름 내내 피어 나비와 벌이 자주 찾습니다.
용도: 정원, 화단, 절화용, 곤충유인 식물로 인기가 높음
꼬리풀 블루 이름 유래
‘꼬리풀’이라는 이름은 꽃이 길게 꼬리처럼 늘어서 피기 때문이에요.영어명 Veronicastrum은 속명 Veronica(패랭이풀속과 유사한 식물)에서 파생되었습니다.
꼬리풀 블루 재배 주의점
햇빛: 양지~반그늘 모두 가능 (햇빛이 많을수록 꽃색이 선명)토양: 배수 좋은 비옥한 흙
관리: 다년생이라 해마다 새순이 올라오며, 겨울엔 뿌리만 남고 휴면
꼬리풀 블루 꽃말
“진실된 사랑”, “믿음”, “헌신”푸른색 꼬리풀은 진실함과 순수한 마음을 상징
꼬리풀(Veronicastrum sibiricum) 의 원산지, 분포 지역, 약용 성분, 동의보감 원문과 해석 정리.
꼬리풀 (Veronicastrum sibiricum)
| 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
1. 꼬리풀 원산지와 분포 지역
원산지: 동아시아분포 지역:
한국: 전국의 산지, 들, 풀밭 등에서 자생
중국: 동북부, 화북, 서남부 등지
일본: 홋카이도~혼슈 전역
러시아: 시베리아 동부까지 분포
생육환경: 햇빛이 잘 드는 초지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
👉 즉,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온대 지역이 자생지입니다.
2. 꼬리풀 약용 성분 및 효능
한약명: 용호초(龍虎草), 백화초(白花草), 곡옥초(曲玉草) 등으로 불림사용 부위: 전초(全草, 즉 지상부 전체)
주요 성분:
이리도이드 배당체(iridoid glycosides) — veronicoside, aucub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 루테올린(luteolin), 아피제닌(apigenin)
페놀성 화합물, 탄닌, 사포닌 등
약리 효능:
해열, 소염, 해독 작용
위장염, 종기, 상처, 간기능 개선
외용 시 진정·항균 효과
👉 전통적으로 열을 내리고(淸熱), 염증과 부종을 가라앉히며, 해독하는 약초로 쓰였습니다.
3. 꼬리풀 동의보감 원문
東醫寶鑑 草部(초부) 中 “龍虎草(용호초)” 條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原文:
龍虎草,一名白花草。治熱毒癰腫,止血生肌。搗汁服之,治熱渴與腸風下血。
原文:
龍虎草,一名白花草。治熱毒癰腫,止血生肌。搗汁服之,治熱渴與腸風下血。
譯文(해석):
용호초는 일명 백화초라고도 한다.
열독(熱毒)으로 인한 종기나 부스럼을 치료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새 살이 돋게 한다.
짓찧어 즙을 마시면 열로 인한 갈증과 장풍(腸風, 즉 장내 출혈)을 다스린다.
용호초는 일명 백화초라고도 한다.
열독(熱毒)으로 인한 종기나 부스럼을 치료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새 살이 돋게 한다.
짓찧어 즙을 마시면 열로 인한 갈증과 장풍(腸風, 즉 장내 출혈)을 다스린다.
| 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
4.꼬리풀 요약 정리
항목⇒ 내용
한글명⇒꼬리풀
한글명⇒꼬리풀
학명⇒ Veronicastrum sibiricum
한약명⇒용호초(龍虎草), 백화초(白花草)
원산지⇒동아시아 (한국·중국·일본·시베리아)
분포⇒ 한반도 전역 산지와 들
약용 부위⇒전초(全草)
주요 성분⇒iridoid glycosides, flavonoids, tannins 등
효능⇒ 해열, 해독, 소염, 지혈, 상처 회복
동의보감 기록⇒“熱毒癰腫, 止血生肌, 治熱渴與腸風下血”
꼬리풀(Veronicastrum sibiricum) 의 다양한 이명(異名, 다른 이름들) .
한의학적 이름, 민간명, 지역명, 학명 변종명 등을 모두 포함했습니다.
꼬리풀의 이명 정리
한글명↠꼬리풀↠꽃이 꼬리처럼 길게 이어져 붙은 이름한자명↠尾穗草(미수초)↠‘꼬리처럼 이삭이 달린 풀’이라는 뜻
한약명↠龍虎草(용호초)↠동의보감에 수록된 이름. 종기, 해열, 해독에 사용
白花草(백화초) 흰 꽃이 피는 꼬리풀을 지칭
曲玉草(곡옥초) 줄기 모양이 구불구불하여 붙은 이름
曲玉草(곡옥초) 줄기 모양이 구불구불하여 붙은 이름
민간명 / 지역명
개꼬리풀↠꼬리풀과 유사한 잡종 또는 들판 자생형
가는꼬리풀↠잎과 줄기가 가늘고 긴 변종 (Veronicastrum sibiricum var. japonicum)
일본명↠クガイソウ (Kugaisō)↠일본에서 꼬리풀을 부르는 이름. ‘九蓋草’로 표기되기도 함
영문명↠Siberian Culver’s Root, Veronicastrum ‘시베리아의 컬버스루트’ — 약용 꼬리풀류를 뜻함
학명↠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기본종 (한국 자생종)
이전 학명(동의이명)↠Veronica sibirica L.↠과거 분류 체계에서 사용되던 이름
| 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
꼬리풀 이름 유래 간단 설명
꼬리풀: 꽃이 긴 이삭 모양으로 피어 ‘꼬리’처럼 보여서 붙은 이름용호초(龍虎草): 예로부터 열독(熱毒)과 종기를 다스린다고 하여 “용과 호랑이의 기운을 가진 풀”이라는 상징적 의미
백화초(白花草): 흰 꽃이 피는 품종
곡옥초(曲玉草): 구불구불한 줄기의 모양에서 유래
Kugaisō(九蓋草): ‘아홉 겹의 덮개’라는 뜻으로, 잎이 층층이 돌려 나는 모양에서 유래
#꼬리풀 #블루 #꼬리풀효능 #꼬리풀동의보감 #꼬리풀원산지 #미수초 #Veronicastrum-sibiricum #질경이과 #가을꽃 #가을야생화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