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취,산미취(山薇蒭),Creeping wormwood,ハイヨモギ 탐구
개미취,산미취(山薇蒭),Creeping wormwood,ハイヨモギ 탐구
가을 산해을 하다보면 낮은 언덕이나 구릉지에서 예날 코스모스 보다 더 예쁜 연한 자주색의 꽃봉오리 큰 국화처럼 생긴 곷을 흔히 봅니다. 개미취 종류도 여러가지 있지만 한국 산야에서 주로 보는 개미취는 키가 크고 곷봉오리가 큰 종류를 쉽게 볼 수있습니다.
개미취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산지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키가 크고(1~2m) 가을에 연한 자주색 또는 하늘색 꽃이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
개미취의 주요 특징
개미취의 이름의 유래:꽃대에 개미처럼 작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어린순을 취나물로 식용할 수 있어 '개미'와 '취(나물)'가 합쳐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개미취의 형태:
줄기는 곧게 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뿌리잎은 꽃 필 무렵 마르며, 줄기잎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개미취의 개화:
8~10월경에 줄기 끝과 가지에 작은 머리 모양 꽃이 산방화서로 무리 지어 핍니다.
서식지: 주로 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습한 곳, 계곡 주변의 풀밭 등에서 자랍니다.
서식지: 주로 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습한 곳, 계곡 주변의 풀밭 등에서 자랍니다.
개미취의 용도 및 효능
개미취의 식용: 어린순은 나물(취나물)로 식용하며 특유의 향과 맛이 있습니다.
개미취의 식용: 어린순은 나물(취나물)로 식용하며 특유의 향과 맛이 있습니다.
개미취의 약용:
가을에 뿌리 및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자원(紫菀)'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합니다. 온폐(溫肺), 하기(下氣), 소담(消痰), 지해(止咳)의 효능이 있어 기침, 가래,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개미취의 관상용:
개미취의 관상용:
가을철 보랏빛 꽃이 아름다워 정원이나 공원에 심기도 합니다.
개미취의 꽃말
개미취의 꽃말은 우정과 사랑, 추억입니다.
개미취(Artemisia stolonifera Maxim.)
개미취의 꽃말은 우정과 사랑, 추억입니다.
개미취(Artemisia stolonifera Maxim.)
개미취의 분류
국명: 개미취
학명: Artemisia stolonifera Maxim.
과명: 국화과(Asteraceae)
속명: 쑥속(Artemisia)
국명: 개미취
학명: Artemisia stolonifera Maxim.
과명: 국화과(Asteraceae)
속명: 쑥속(Artemisia)
| 개미취,산미취(山薇蒭),Creeping wormwood,ハイヨモギ |
개미취의 이명 (다른 이름)
산미취(山薇蒭)들미취
야미취
영어명: Creeping wormwood
일본명: ハイヨモギ (Hai-yomogi)
개미취의 원산지 및 분포
원산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부 등 동북아시아 원산분포 지역: 한국 전국의 산기슭, 들, 하천가, 논둑 등 습한 곳에서 자생
개미취의 형태적 특징
다년생 초본식물높이 약 40~100cm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달걀형 또는 피침형으로,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8~10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연한 갈색의 작은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촘촘히 달린다.
뿌리줄기에서 지하경(匍匐枝, stolon)을 내어 번식 → 이름 ‘개미취(匍匐性)’ 유래.
개미취의 이름 유래
‘미취(薇蒭)’는 국화과 식물 ‘미취(산국)’을 뜻함.‘개미취’는 미취보다 작고 야생적이라 ‘개(開)’ 또는 ‘작은’의 의미로 붙은 이름.
개미취의 약용 성분
주요 성분: 정유(essential oil), 플라보노이드(fl avonoids), 탄닌(tannin), 비터라토닌(bitter substances)
휘발성 방향 성분이 많으며, 쑥속 식물 특유의 항염·항균 성분 함유.
개미취의 약용 효능
효능 설명해열(解熱) 몸의 열을 내리고 염증 완화
소염(消炎) 염증성 질환 완화 (피부·소화기계)
이뇨(利尿) 체내 노폐물 배출 도움
거풍(祛風) 관절통, 신경통 완화
건위(健胃)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 촉진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 차로 마시거나, 상처 부위에 찧어 붙이는 용도로 사용.
개미취의 동의보감 속 기록
동의보감·탕액편에서는 직접적인 “개미취” 언급은 없지만,미취(薇蒭)로 기록된 부분이 있으며,이는 개미취와 유사한 국화과 식물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됨.
“미취, 성한(性寒)하며 독이 없고, 열을 내리고 창독을 해소한다.”
→ 즉, 개미취 또한 해열·해독용으로 응용 가능.
| 개미취,산미취(山薇蒭),Creeping wormwood,ハイヨモギ |
개미취의 꽃말
“평화”, “가을의 향기”(쑥속 식물들이 주는 향기와 들판의 고요함을 상징)
개미취와 비슷한 식물과의 구별
식물명 구별 포인트미취 산지에서 자라며 키가 더 크고 향이 진함
들미취 개미취보다 잎이 넓고 꽃송이가 큼
개미취 줄기에서 땅속으로 뻗는 stolon(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번식함
개미취의 고전 기록
개미취(Artemisia stolonifera)는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직접 “개미취”라는 이름으로는 등장하지 않지만,그 근연식물인 **“미취(薇蒭)”**가 명확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미취” 항목이 바로 개미취를 포함한 미취류(쑥속 국화과 식물) 전체를 가리킵니다.
개미취의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湯液篇) 중 “미취(薇蒭)” 원문
原文 (한문)
薇蒭 性寒 無毒。
治熱毒腫瘡。
又治熱氣煩渴。
解瘡毒,止痛。
本草綱目
개미취의 한문 해석
성질은 차고(性寒),
독이 없으며(無毒),
열독(熱毒)으로 생긴
성질은 차고(性寒),
독이 없으며(無毒),
열독(熱毒)으로 생긴
종창(腫瘍)을 치료하고,열로 인한 번갈(煩渴, 열 때문에 갈증이 나는 증상)을 없애며,
창독(瘡毒, 종기나 염증의 독기)을 해소하고,통증을 멎게 한다(止痛).
창독(瘡毒, 종기나 염증의 독기)을 해소하고,통증을 멎게 한다(止痛).
개미취의 해설 및 현대적 의미
항목 내용성질 ‘한(寒)’하므로 몸의 열을 내려줌
약성 해열, 해독, 진통 작용
적응증 종기, 염증, 열로 인한 갈증, 피부질환
응용 외상, 습열(濕熱)성 염증, 피로 해소 등에 응용 가능
주의점 몸이 냉한 체질은 과용 금지 (위장 냉증, 냉성 체질 등)
개미취의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추가 언급
동의보감이 인용한 본초강목에서도 같은 구절이 나옵니다.薇蒭,味苦,性寒,無毒。
主治熱氣煩渴,腫瘍瘡毒。
“미취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며, 독이 없다.
열로 인한 번갈과 종기, 부스럼의 독을 다스린다.”
| 개미취,산미취(山薇蒭),Creeping wormwood,ハイヨモギ |
개미취의 약용 정리
개미취 = 미취류 중 하나로,동의보감에서는 해열·해독·소염 작용을 가진 약초로 기록.
✅ 열을 내려주고,
✅ 피부의 염증과 종기,
✅ 열성 갈증이나 부기를 다스리는 효능.
#개미취 #벌개미취 #가을꽃 #가을야생화 #개미취꽃말 #개미취원산지 #개미취동의보감 #개미취효능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