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식물 종합 정보
동래 엉겅퀴는 식물학적으로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라는 이름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합니다. 이 식물은 부산 동래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이 붙여졌으며, 일반 엉겅퀴와 유사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동래엉겅퀴는 꿀이 많아서 벌 나비등이 많이 찾아 옵니다.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특징 및 일반 정보
학명: 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발견지: 과거 부산 동래 지역의 논둑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현재는 도시 개발로 인해 동래 지역에서는 찾기 어려울 수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되기도 합니다.
특징: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잎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습니다. 가을에 붉은색 또는 자주색 꽃이 핍니다.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일반적인 효능
동래엉겅퀴를 포함한 일반적인 엉겅퀴는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습니다.
간 건강: 엉겅퀴의 실리마린 성분은 간세포를 보호하고 재생을 돕는 효과가 있어 간 질환 치료에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혈액 순환 및 지혈: 혈액을 맑게 하고 어혈을 풀어주며, 코피, 자궁 출혈 등 각종 출혈 증상을 멎게 하는 지혈 작용이 있습니다.
염증 및 관절염 완화: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으며, 특히 관절염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기타: 고혈압이나 당뇨, 피부 열로 인한 여드름 완화 등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활용 및 섭취 방법
엉겅퀴는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나물: 봄철 어린잎은 쓴맛을 우려낸 후 나물로 무쳐 먹을 수 있습니다.
발효액/효소: 생즙을 내거나 발효액으로 만들어 물에 희석하여 마시면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차/즙: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달여서 차로 마시거나 즙을 내어 섭취합니다.
조림/국: 가을에 채취한 뿌리는 우엉처럼 조림을 만들거나 된장국에 넣어 먹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엉겅퀴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의사의 진단이나 상담을 통해 개인의 체질에 맞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생물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국화목
국화과
엉겅퀴속
종:동래엉겅퀴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상세
🌸 동래엉겅퀴 (學名: Cirsium rhinoceros Nakai)
한자명: 東萊薊
영문명: Dongnae Thistle
일문명: ドンネアザミ
국명: 동래엉겅퀴
분류: 국화과(Compositae, Asteraceae) 엉겅퀴속 (Cirsium)
형태: 다년생 초본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원산지 및 분포
원산지: 한국 고유종
분포 지역: 주로 부산 동래, 경상남도 일대 등 남부 지방의 산지에서 자생
해발 100~600m의 풀밭, 숲 가장자리, 계곡 주변에서 잘 자람.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형태적 특징
줄기: 높이 약 60~120cm로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짐.
잎: 깊게 갈라지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음.
꽃: 6~8월경 붉은 자주색 또는 자홍색의 두상화(머리모양 꽃)가 피며, 가지 끝에 1개씩 달림.
열매: 수과(瘦果)로 가볍고, 관모(冠毛)가 길어 바람에 날림.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꽃말
‘자존심’, ‘독립’, ‘보호’
→ 엉겅퀴의 가시 돋친 모양에서 유래.
특히 동래엉겅퀴는 자생력이 강하고 꿋꿋하여 **“억센 생명력”**을 상징하기도 함.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동의보감 속 엉겅퀴 관련 기록
‘동래엉겅퀴’는 근연종인 엉겅퀴(薊, Cirsium japonicum)의 효능과 유사합니다.
동의보감 탕액편 草部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薊, 味苦平, 無毒. 止血下血, 消癰腫, 解熱毒.”
해석:
엉겅퀴는 맛이 쓰고 평하며, 독이 없다.
피를 멎게 하고, 피를 토하거나 대변에 피가 섞인 증상을 멎게 하며,
종기를 삭이고, 열독을 풀어준다.
➡ 현대적으로 보면 지혈제, 해열·해독제, 항염 작용이 있는 약초로 평가됩니다.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약용 효능 (민간에서)
잎과 줄기: 달여서 코피·자궁출혈·치질출혈 등에 사용
뿌리: 간 기능 강화, 해독, 소염 작용
즙: 상처 부위에 바르면 염증 완화 효과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이명 (異名)
엉겅퀴(薊), 산엉겅퀴, 조선엉겅퀴, 독엉겅퀴
지역에 따라 “가시엉겅퀴”, “가시나물”로도 불림
학술적으로는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C. setidens 등과 혼동되기도 함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의 요약
구분 내용
학명 Cirsium rhinoceros Nakai
국명 동래엉겅퀴
한자 東萊薊
원산지 대한민국 (부산 동래 일대)
분포 남부 지방 산지
꽃색 자주색, 붉은보라
개화기 6~8월
꽃말 자존심, 보호, 독립
효능 지혈, 해독, 항염, 간 보호
동의보감 “止血消腫解熱毒” (피멎고 염증과 열독을 푼다)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동래엉겅퀴 #엉겅퀴효능 #엉겅퀴동의보감 #엉겅퀴곷말 #엉겅퀴원산지 #동래엉겅퀴원산지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