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가을철 산야에 흔하게 볼수있는 쑥부쟁이 꽃은 장소에 따라서 정말 예쁜 꽃입니다.
산행하다 보면 등산길 주변에 곡 사람을 기다리기라도 하는 것처럼 길가 눈에 잘 띄는 곳에 옹기종기 모여 핍니다.

또 들길을 가다보면 언덕 가장자리 길가에 한포기씩 군집으로 피어 있는 꽃인데 비슷한 생김새 대문에 정확 이름 부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숙부쟁이 꽃인데도 산길에 피는 곷과 들길에 피는 꽃의 생김새나 키 높이가 약간씩 다르기도 합니다.

산 길에 피느 꽃은 대부분 난장이 키높이이고 들길에 피는 쑥부쟁이는 키가 상당히 크게 자라는 것을 볼 수있습니다.
  
쑥부쟁이는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한국의 가을을 대표하는 꽃 중의 하ㅏ나이지요.

흔히 '들국화'라고 불리는 꽃들의 한 종류입니다.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 주요 특징

생육 환경: 햇빛이 잘 들고 습기가 약간 있는 산과 들, 밭둑이나 길가 등에서 흔히 자랍니다.
크기와 형태: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는 보통 30~100cm 정도입니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번식이 잘 됩니다.

쑥부쟁이잎: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버들잎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습니다.

쑥부쟁이꽃: 7월에서 10월 사이에 연한 보라색 또는 자줏빛 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립니다. 꽃의 중앙 부분은 노란색입니다. 서리에도 강해 늦가을까지 꽃을 볼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 꽃말: '그리움', '기다림'입니다. 


쑥부쟁이 활용 및 효능

쑥부쟁이 식용: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 약용: 비타민과 칼륨, 인 등 다양한 성분이 풍부하며, 차가운 성질을 지녀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감기나 기관지염 등에도 활용됩니다. 


쑥부쟁이 구별

쑥부쟁이는 비슷한 시기에 피는 벌개미취, 구절초와 자주 혼동됩니다. 쑥부쟁이는 잎에 톱니가 있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는 한국의 들이나 산기슭,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쑥부쟁이 기본 정보

학명: Aster koraiensis Nakai
속: 참취속 (Aster)
과: 국화과 (Asteraceae)
영문명: Korean Aster
꽃 피는 시기: 8월 ~ 11월
분포: 한국 전역 (특히 남부 지방), 일본, 중국 일부 지역


쑥부쟁이 형태적 특징

높이: 약 50~100cm
줄기: 곧게 서며, 윗부분이 가지를 칩니다.
잎: 어긋나며 피침형(창 모양),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중심부는 노란색,주변 꽃잎은 연보라색~자주색.국화처럼 보이지만 더 여리고 들꽃 느낌이 강합니다.
열매: 수과(瘦果), 작고 회갈색.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 생태 및 서식

양지바른 산기슭, 도로변, 밭둑, 초지 등에서 잘 자람.
건조와 추위에도 강한 편이라 토종 야생화 조경용으로 많이 쓰임.


쑥부쟁이 꽃말

“그리움”, “감사”, “이루지 못한 사랑”
→ 늦가을까지 피어 있는 모습 때문에, 지속적인 사랑과 그리움을 상징함.


쑥부쟁이와 비슷한 식물 구분

쑥부쟁이: 연보라색,8~11월,들에서 흔함
개쑥부쟁이:흰색~연보라색,9~11월,잎이 좁고 털이 적음
구절초:흰색,9~10월,향기가 강하고 약용으로 사용

쑥부쟁이 약용 및 민속적 이용

전초를 건조해 달여 마시면
감기, 기침, 해열, 해독 등에 쓰였음.
민간에서는 부인병, 위장병, 강장제로도 사용.
동의보감에는 “쑥부쟁이는 열을 내리고 기를 순하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음.


쑥부쟁이 기타 
최근에는 토종 야생화 정원, 절개지 복원 식물로 인기가 높음.
가을 국화축제 때 ‘야생 국화’ 대표종으로 자주 전시됨.


쑥부쟁이(Aster koraiensis)의 이명(異名)과 이름의 유래.

쑥부쟁이의 이명(異名, 다른 이름)

쑥부쟁이는 지역이나 문헌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습니다.
쑥부쟁이 학명:Aster koraiensis Nakai,한국의 참취’라는 뜻으로, 1918년 식물학자 나카이(Nakai Takenoshin)가 명명
한자명:艾菊(애국), 蒿菊(호국),‘쑥(艾)’과 ‘국화(菊)’의 합성 — 쑥 비슷한 향과 국화 모양의 꽃을 뜻함
표준 이명:산국(山菊) ,산에서 피는 국화라는 뜻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와 혼용됨
쑥부쟁이 학명:

표준 이명:산국(山菊) 산에서 피는 국화라는 뜻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와 혼용됨
쑥부쟁이 방언(지역명):산쑥부쟁이, 산구절초, 들국화, 청국화 각 지방에서 부르는 토착 이름들
쑥부쟁이 일본명:コリアキク (Koria-kiku)‘한국국화’라는 뜻 — 한국 고유종임을 뜻함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 이름의 유래

① ‘쑥부쟁이’의 어원
‘쑥’ + ‘부쟁이’의 합성어입니다.
쑥: 향이 쑥과 비슷하고, 잎 모양이 약간 닮았기 때문.
부쟁이: 옛말에서 “국화과 들꽃”을 가리키는 말로, *“푸쟁이” → “부쟁이”*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예: 벌부쟁이, 개부쟁이, 구절초 등 이름에서도 공통으로 쓰임.


📖 어원적 해석

“쑥 향이 나는 들국화” → 쑥부쟁이
즉, **‘쑥처럼 생긴 부쟁이(들국화)’**라는 의미입니다.

② 이름의 상징적 의미
가을 끝까지 피어 있어 끈기, 그리움, 인내를 상징.
예부터 시와 노래에 자주 등장하며, “들국화”의 대표격으로 쓰임.
옛 시구: “들길 끝에 쑥부쟁이 피어 있네, 그리운 이의 마음처럼.”

③ ‘부쟁이’ 계열 식물 이름 예시

개쑥부쟁이: 쑥부쟁이보다 작고 흔한 변종
벌부쟁이: 벌이 좋아하는 부쟁이
갯부쟁이: 해안가(갯가)에 자라는 부쟁이
물부쟁이: 습지에서 자라는 부쟁이

이처럼 ‘부쟁이’는 국화과 들꽃을 총칭하는 고유 토착어로,
쑥부쟁이는 그 중에서도 쑥 향이 나는 대표적 종입니다.


쑥부쟁이(Aster koraiensis Nakai)의 원산지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의 원산지

원산지: 대한민국 (한국 고유종, 한반도 특산식물)
분포 지역: 한반도 전역 — 특히 남부와 중부의 산기슭, 들, 길가 등에서 자생
해외 분포: 일본, 중국 동북부에 일부 도입 재배된 사례는 있으나, 자생지는 한국뿐


 쑥부쟁이 자세한 설명

쑥부쟁이는 1918년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Nakai Takenoshin)이
한반도에서 채집한 표본을 토대로 신종으로 보고하면서
학명을 Aster koraiensis (“한국의 국화”)로 명명했습니다.
학명 속의 **“koraiensis”**는
라틴어로 **“Korea에서 온”**이라는 뜻입니다.
→ 즉, 학명 자체가 한국이 원산지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자연 상태에서 자생하는 지역은 한반도 전역,
특히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지역의 산지 초원, 밭둑, 길가 등.

쑥부쟁이 생태적 특징 (원산지 환경)

기후: 온대성 기후 (냉온한 계절 변화에 강함)
토양: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 산성 또는 중성 토양
광조건: 양지식물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람)


쑥부쟁이 요약 정리

쑥부쟁이는 대한민국이 원산지인 한반도 특산의 토종 야생 국화과 식물입니다.
학명 자체에 “한국(Korea)”이 포함되어 있을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야생 들국화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쑥부쟁이에 대한 동의보감(東醫寶鑑 원문과 그 해설.

쑥부쟁이는 동의보감 본문에서는 “산국(山菊)” 또는 “포국(浦菊)” 등의 이름으로 등장합니다.쑥부쟁이와 산국은 같은 국화과 식물로, 약효와 용법이 거의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동의보감 원문 (탕액편 草部, 산국條)

山菊(산국)
性凉味甘微苦 無毒
治頭痛 目赤 腫痛 解熱 散風毒
久服益氣養血 延年益壽
《本草綱目》


원문 해석
한자 원문 한글 풀이
성량미감미고 무독(性凉味甘微苦 無毒)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달며 약간 쓰고, 독이 없다.
치두통 목적 종통(治頭痛 目赤 腫痛) 머리 아픔, 눈의 충혈과 부종을 다스린다.
해열 산풍독(解熱 散風毒) 열을 내리고, 몸속의 바람 독(風毒)을 풀어준다.
구복익기양혈 연년익수(久服益氣養血 延年益壽) 오래 복용하면 기를 돋우고 피를 보하며, 오래 살게 한다.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 해설 요약

성질:서늘함(凉性) — 열성 체질이나 염증 완화에 좋음
맛:달고 약간 쓴맛 — 해독과 진정 작용
독성:없음 (無毒)
주된 효능:해열, 해독, 두통·눈의 염증 완화, 풍열(風熱)로 인한 질환 완화
장기 복용 효과:기력 보강, 혈액 순환, 노화 지연 효과


쑥부쟁이(산국)의 한의학적 효능 해설

해열 및 해독 작용
→ 몸에 열이 많거나, 감기 후 열이 안 떨어질 때 사용.
→ 국화류의 대표적인 효능으로, 소염 진정 효과가 있다.
눈의 충혈, 두통 완화
→ 풍열(風熱)로 인한 눈 붓기나 통증, 두통에 처방됨.
피로회복·보혈
→ 장기 복용 시 기혈을 보충하고 면역력 증진에 도움.
항산화·노화방지
→ 최근 연구에서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
항산화 및 노화 억제 작용이 과학적으로도 입증됨.


동의보감 속 관련 구절 비교 (참고)

산국(山菊):본초강목 / 동의보감:열을 내리고 눈과 머리의 열을 다스림
구절초(九節草):동의보감 / 잡병편 혈을 돌리고 통증을 완화
국화(菊花):본초강목 / 동의보감:눈 밝게, 해열, 해독, 노화방지

쑥부쟁이는 산국·국화와 약리 작용이 거의 같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들국화약(野菊花藥)’의 범주로 취급되어 왔습니다.


🪷 정리

동의보감 해설 요약
이름: 산국(=쑥부쟁이)
성질: 서늘함
맛: 달고 약간 씀
독성: 없음
효능: 해열, 해독, 두통·눈병 완화, 기혈보강, 장수

쑥부쟁이(Aster koraiensis)의 한자 / 영어 / 일본어 표기를 모두 정리.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쑥부쟁이(Aster koraiensis),艾菊,コリアキク 식물 정보


기본 정보

국명(한글):쑥부쟁이 한국 토종 들국화의 하나
한자명(漢字名):艾菊(애국) / 山菊(산국)>>‘쑥(艾)’ 향과 국화(菊)의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인 이름
영문명(English name):Korean Aster 또는 Aster koraiensis>>학명 또는 일반명. ‘한국의 국화’라는 의미
학명(Scientific name):Aster koraiensis Nakai>>1918년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 “Korea(한국)”에서 유래
일본명(日本名):コリアキク>>Koria-kiku)또는 チョウセンシオン(Chōsen-shion)>>각각 ‘한국국화’, ‘조선시온’이라는 뜻. 한국 원산 식물임을 의미



쑥부쟁이의 각 이름의 의미 해설

① 한자명

艾菊(애국)
→ 艾(쑥) + 菊(국화)
→ 쑥처럼 향이 있고, 국화처럼 생겼다는 뜻

山菊(산국)
→ 산에서 자라는 국화, 즉 들국화의 의미
→ 『동의보감』 등 한의서에서 약재 이름으로 사용됨

② 영문명 (English)

Korean Aster
→ 직역하면 “한국의 국화”
→ Aster는 ‘별 모양의 꽃’이라는 뜻으로, 국화과 식물의 공통 영어명

학명: Aster koraiensis
Aster = 국화속(참취속)

koraiensis = Korea(한국) + -ensis(…에서 온)
👉 즉, “한국에서 온 국화속 식물”

③ 일본명 (Japanese)

コリアキク (Koria-kiku)
한국(Korea) + 국화(菊, kiku)
문자 그대로 ‘한국국화’
チョウセンシオン (Chōsen-shion)
조선(朝鮮) + 시온(紫苑, Aster속 식물명)

‘조선의 시온(들국화)’이라는 뜻 — 일본에서는 ‘Aster koraiensis’를 이 이름으로 부름

쑥부쟁이 정리 요약표
언어>>표기>>의미
한국어>>쑥부쟁이>>쑥 향이 나는 들국화
한자>>艾菊 / 山菊>>쑥국화 / 산국화
영어>>Korean Aster / Aster koraiensis>>한국에서 자생하는 국화
일본어>>コリアキク / チョウセンシオン>>한국국화 / 조선들국화

상징: 오래 피는 꽃 → 오래 사는 약 (延年益壽)




#쑥부쟁이 #쑥부쟁이원산지 @쑥부쟁이꽃말 #쑥부쟁이효능 #쑥부쟁이구분 #쑥부쟁이동의보감 #쑥부쟁이한자  #산국 #들국화 #가을야생화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장기(將棋)의 기원과 변천, 두뇌 건강상 유익한 점

한국 까마귀(Corvus) – 종류,서식지, 먹이, 습성 정리

전세계 출생율 톱 50국과 1인당 출산수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전세계 방산 수출 톱 20과 그 내용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