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5월 풀밭에서 흔히보는 자주달개비가 늦은 가을인데 언덕 아래 옹기종기 피었습니다.
한국에서 늦은 봄 풀밭에서 자라지만 가을에도 볼 수있다는 것은 이 풀꽃에 대한 기록을 바꿔야 겠단 생각이 듭니다.
자주달개비는 닭의장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데,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기도 합니다.
'짧은 즐거움'이라는 꽃말처럼 오전에 잠깐 피었다가 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짧은 즐거움'이라는 꽃말처럼 오전에 잠깐 피었다가 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
자주달개비는 분류상 속씨식물⇨ 외떡잎식물⇨ 닭의장풀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글의 구성상 자세한 기록을 하겠지만, 이명으로 양달개비, 양닭의씻개, 자로초 라고도 부르며 학명은 Tradescantia reflexa입니다.
“자주달개비”는 이름처럼 흔히 진 청색이나 자주색 꽃을 피우는 달개비(속명 Tradescantia) 식물을 말합니다.
학술적으로는 "5~8월.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핀다"라고 기록 되어 있습니다.
형태상 꽃잎은 안쪽 3갈래, 바깥쪽 3갈래이며, 안쪽 꽃잎이 조금 더 넓고 큽니다.
수술은 6개, 수술대에 털이 많이 납니다.
흔히 보는 달개비보다 꽃 색깔이 진하기 때문에 자주달개비라고 하는 것입니다.
꽃은 주로 이른 아침 활짝 피었다가 오후에 시드는데 , 그래서 아침 일찍 부지런히 다니는 사람들이 볼 수있는 꽃입니다.
학술적으로는 "5~8월.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핀다"라고 기록 되어 있습니다.
형태상 꽃잎은 안쪽 3갈래, 바깥쪽 3갈래이며, 안쪽 꽃잎이 조금 더 넓고 큽니다.
수술은 6개, 수술대에 털이 많이 납니다.
흔히 보는 달개비보다 꽃 색깔이 진하기 때문에 자주달개비라고 하는 것입니다.
꽃은 주로 이른 아침 활짝 피었다가 오후에 시드는데 , 그래서 아침 일찍 부지런히 다니는 사람들이 볼 수있는 꽃입니다.
자주달개비의 주요 형태
외형: 키는 약 40~80cm까지 자라며, 곧게 서는 줄기에 길고 좁은 잎이 어긋나게 붙어 있습니다.
꽃: 6~7월경 줄기나 가지 끝에 보라색 꽃이 피며, 3장의 꽃잎과 노란 수술 6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사능 지표 식물: 방사능에 노출되면 꽃잎의 색이 분홍색으로 변하는 특성 때문에 방사능 지표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원자력 발전소 주변에 심기도 합니다.
유의 사항: 식물의 수액이 피부에 닿으면 발진이나 물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자주달개비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름이 비슷하고 모양도 비슷해서 자세히 봐야 구분 됩니다.
꽃: 6~7월경 줄기나 가지 끝에 보라색 꽃이 피며, 3장의 꽃잎과 노란 수술 6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사능 지표 식물: 방사능에 노출되면 꽃잎의 색이 분홍색으로 변하는 특성 때문에 방사능 지표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원자력 발전소 주변에 심기도 합니다.
유의 사항: 식물의 수액이 피부에 닿으면 발진이나 물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
자주달개비와 유사 식물
자주달개비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름이 비슷하고 모양도 비슷해서 자세히 봐야 구분 됩니다.
자주달개비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름이 비슷하고 모양도 비슷해서 자세히 봐야 구분 됩니다. 1. 얼룩자주달개비 (Tradescantia zebrina): 잎에 은빛 줄무늬와 보랏빛 무늬가 특징인 품종으로 실내 관엽식물로 인기가 높습니다.
2.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 야생에서 볼 수 있는 닭의장풀과의 식물로, 혼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 야생에서 볼 수 있는 닭의장풀과의 식물로, 혼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주달개비 키우기
조광량: 중간 정도의 밝은 빛을 좋아하며, 특히 무늬종은 빛이 부족하면 무늬가 흐려질 수 있습니다.
생육 온도: 20~38°C의 따뜻한 온도를 선호하는 열대 식물이므로, 겨울철에는 추위에 약해 실내에서 키워야 합니다.
자주달개비 물 주기: 과습을 싫어하므로 흙 표면이 말랐을 때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에는 물 주는 횟수를 줄여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자주달개비 번식: 꺾꽂이로 쉽게 번식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줄기를 잘라 물이나 습한 흙에 꽂아두면 뿌리가 내립니다.
자주달개비 꽃말
1. 짧은 즐거움 〇
2. 외로운 추억
3. 사랑할 수 없음
| 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
자주달개비 상세 정리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 / Tradescantia virginiana 등)국명: 자주달개비
학명: Tradescantia virginiana L. (또는 Tradescantia reflexa Raf.)
영명: Virginia spiderwort / Purple heart / Spider lily
과명: 닭의장풀과 (Commelinaceae)
속명: 달개비속 (Tradescantia)
자주달개비 형태적 특징
꽃 색: 자주색~보라색(때로는 푸른빛), 3장의 꽃잎.
꽃 피는 시기: 5월~7월 (초여름).
줄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약 30~60cm.
잎: 길고 선형(풀잎처럼), 줄기를 감싸며 마주남.
특징: 아침에 피고 오후에 시드는 단명화(短命花)이지만, 계속 새로운 꽃이 피어 장기간 꽃을 볼 수 있음.
자주달개비 분포와 서식
원산지: 북아메리카 동부 (미국, 캐나다).
한국: 관상용으로 심거나, 일부 지역에서 야생화처럼 자생.
서식지: 양지바른 풀밭, 화단, 도로변 등.
자주달개비 꽃말
꽃말:
“부끄러움”
“기억”
원산지: 북아메리카 동부 (미국, 캐나다).
한국: 관상용으로 심거나, 일부 지역에서 야생화처럼 자생.
서식지: 양지바른 풀밭, 화단, 도로변 등.
자주달개비 꽃말
꽃말:
“부끄러움”
“기억”
"덧없는 사랑":하루만 피는 꽃의 생명력에서 유래
“잠깐의 행복” 〇
→ (하루만 피는 꽃의 성질에서 유래함)
“잠깐의 행복” 〇
→ (하루만 피는 꽃의 성질에서 유래함)
자주달개비는 하루만 피는 꽃의 성질 때문에 덧없음과 순수한 감정을 상징합니다.
영어권
Ephemeral Love (덧없는 사랑),
Remembrance (기억):짧게 피고 지는 특성에서
일본
はかない恋 (덧없는 사랑):아침에 피고 오후에 지는 하루살이꽃의 성격 반영
| 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
자주달개비 약용 및 이용
약용: 일부 Tradescantia 속 식물은 민간에서 상처 치유나 염증 완화에 사용되기도 함.
기능: 항염, 해열, 진통 효과 보고 있음 (다만 자주달개비 자체는 약용보다는 관상용 중심).
자주달개비 이용:
관상용 화초(특히 자주색 잎 품종 ‘퍼플하트’ T. pallida ‘Purpurea’)
음지에서도 잘 자라 실내 식물로도 인기가 많음.
관상용 화초(특히 자주색 잎 품종 ‘퍼플하트’ T. pallida ‘Purpurea’)
음지에서도 잘 자라 실내 식물로도 인기가 많음.
자주달개비 동의보감에는?
동의보감에는 “달개비(鴨跖草, Commelina communis)”가 약재로 등장하지만,
자주달개비는 Tradescantia 속으로 다른 식물입니다.
→ 따라서 자주달개비는 동의보감에 직접 언급되지는 않음.
동의보감에는 “달개비(鴨跖草, Commelina communis)”가 약재로 등장하지만,
자주달개비는 Tradescantia 속으로 다른 식물입니다.
→ 따라서 자주달개비는 동의보감에 직접 언급되지는 않음.
자주달개비(Tradescantia virginiana 등)의 지표식물(Indicator Plant) 로 서의 의미
자주달개비와 지표식물의 관계
1. 지표식물이란?
지표식물(Indicator plant) 은 특정 환경 조건(토양, 수분, 오염, 기후 등) 을 반영해 주는 식물입니다.즉, 그 식물이 자란다는 것 자체가 그 지역의 환경 상태를 알려주는 생태학적 지표가 되는 경우입니다.
2. 자주달개비의 생태적 특성
습도: 약간 습한 토양에서 잘 자람햇빛: 반음지~양지 모두 견딤
토양: 비옥하고 배수가 좋은 곳 선호
오염 내성: 대기 오염과 중금속에도 비교적 강함
온도: 냉온대~온대 기후에서 생육 양호
3. 자주달개비의 지표식물적 활용
자주달개비는 ‘도시 대기오염 및 방사선 지표식물’ 로 과학 실험이나 환경 모니터링용 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
(1) 방사선 지표식물
Tradescantia 속 식물은 유전적 변이(염색체 이상)를 쉽게 일으켜 관찰하기 쉬움.일본, 미국 등에서는 방사선 오염 지역의 감시용 식물로 사용됨.
실험명: “Tradescantia 미크로뉴클러스 테스트 (Tradescantia micronucleus test)”
기능: 공기 중 방사선량이 증가하면 꽃가루세포의 염색체 이상률이 증가함.
→ 따라서, 방사선 피폭의 생물학적 지표식물로 매우 유명합니다.
(2) 대기오염 지표식물
도시의 공기 오염(특히 질소산화물, 중금속, 오존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세포 변형률이 변합니다.이 특성 때문에 환경오염 측정용 시험식물로 널리 활용됩니다.
(3) 토양 및 수분 지표
자주달개비가 잘 자라는 지역은 토양이 비교적 비옥하고 습윤,배수가 너무 나쁘지 않은 환경임을 시사합니다.
→ 따라서 “비옥하고 수분이 적절한 토양의 지표식물”이 되기도 합니다.
4. 자주달개비 개념 요약
기후/환경 ⇒ 온대, 습윤한 환경 선호
토양 조건 ⇒ 비옥하고 수분이 적절한 토양 지표
토양 조건 ⇒ 비옥하고 수분이 적절한 토양 지표
방사선 지표 ⇒ 세포 돌연변이 반응을 이용한 방사선 오염 감시
대기오염 지표 ⇒ 공기 중 오염물질 감지용 실험 식물
자주달개비 참고 연구
Ma, T. H. (1983). Tradescantia stamen hair mutation bioassay for environmental mutagen detection.
Ichikawa, S. (1981). Use of Tradescantia for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radiation and mutagens.
Ma, T. H. (1983). Tradescantia stamen hair mutation bioassay for environmental mutagen detection.
Ichikawa, S. (1981). Use of Tradescantia for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radiation and mutagens.
자주달개비(Tradescantia virginiana 등)의 원산지, 이명, 꽃말 최종 정리.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virginiana L.)
자주달개비 원산지 ⇒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
(미국 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 캐롤라이나 등지의 습한 초원과 숲가)
한국에서는 관상용 도입종으로 정원, 화단, 학교 화단 등에 흔히 심기도 하지만, 풀밭에 자연 상태로 볼 수있습니다.
자주달개비 원산지 ⇒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
(미국 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 캐롤라이나 등지의 습한 초원과 숲가)
한국에서는 관상용 도입종으로 정원, 화단, 학교 화단 등에 흔히 심기도 하지만, 풀밭에 자연 상태로 볼 수있습니다.
자주달개비 이명 (異名 / 다른 이름)
국명
자주달개비⇒ 자주색 꽃이 피는 달개비라는 뜻
속명 기반
버지니아달개비 (Tradescantia virginiana)⇒원산지 이름을 딴 이름
버지니아달개비 (Tradescantia virginiana)⇒원산지 이름을 딴 이름
품종명
퍼플하트 (Tradescantia pallida ‘Purpurea’)⇒잎과 줄기가 자주색인 관엽 품종
퍼플하트 (Tradescantia pallida ‘Purpurea’)⇒잎과 줄기가 자주색인 관엽 품종
기타 속명
스파이더워트 (Spiderwort)⇒영어권 통용 이름 ⇒ "거미풀"처럼 실같은 꽃술에서 유래
스파이더워트 (Spiderwort)⇒영어권 통용 이름 ⇒ "거미풀"처럼 실같은 꽃술에서 유래
자주달개비 종류 참고:
"달개비"는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과 혼동되기 쉬우나,
자주달개비는 닭의장풀과는 다른 속(Tradescantia속) 입니다.
자주달개비 정리 요약
항목 내용
이름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virginiana L.)
과명 닭의장풀과 (Commelinaceae)
원산지 북아메리카 동부
꽃 색 자주색 ~ 보라색
꽃말 부끄러움, 기억, 덧없는 사랑
이명 버지니아달개비, 퍼플하트, 스파이더워트
| 달개비(Tradescantia),자주달개비 (Tradescantia reflexa),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
자주달개비(Tradescantia virginiana)와 닭의장풀(달개비, Commelina communis)
두 식물은 꽃색과 생김새가 비슷해 헷갈리기 쉽지만, 속(屬)이 다르고 생태적 성질도 구분됩니다.
자주달개비와 닭의장풀의 구별
1. 자주달개비(Tradescantia virginiana)와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속칭 ‘달개비’는 모두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식물로서 꽃도 보라색 계열로 피기 때문에 헷갈립니다.
하지만, 이 둘은 학술적 분류의 속(屬)이 다르며, 형태와 생활사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자주달개비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다년초)이고 키도 30~60cm 정도 자라며 곧게 선 줄기에 3장의 꽃잎이 달린 자주색 꽃을 피웁니다.
꽃은 아침 또는 오전에 피고 오후에 시드는 단명화(短命花)입니다.
꽃대에서 계속 새로운 꽃이 피어나므로 오랫동안 꽃 핀것을 보게 됩니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비교적 건조에도 강하고 잎과 줄기가 굵으며 털이 적습니다.
하지만, 이 둘은 학술적 분류의 속(屬)이 다르며, 형태와 생활사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자주달개비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다년초)이고 키도 30~60cm 정도 자라며 곧게 선 줄기에 3장의 꽃잎이 달린 자주색 꽃을 피웁니다.
꽃은 아침 또는 오전에 피고 오후에 시드는 단명화(短命花)입니다.
꽃대에서 계속 새로운 꽃이 피어나므로 오랫동안 꽃 핀것을 보게 됩니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비교적 건조에도 강하고 잎과 줄기가 굵으며 털이 적습니다.
2. 닭의장풀은 한국·동아시아 원산의 한해살이풀(일년초)로, 논두렁이나 길가 등 습한 곳에 자생하는 풀꽃입니다.
꽃은 파란색 또는 연보라색의 3장 꽃잎을 가지며, 위쪽의 두 장이 크고 아래 한 장은 작아 비대칭적인 형태를 이룹니다.
잎은 얇고 줄기를 감싸며, 전체적으로 물기가 많고 연약한 조직입니다.
꽃은 파란색 또는 연보라색의 3장 꽃잎을 가지며, 위쪽의 두 장이 크고 아래 한 장은 작아 비대칭적인 형태를 이룹니다.
잎은 얇고 줄기를 감싸며, 전체적으로 물기가 많고 연약한 조직입니다.
닭의장풀은 약용식물(鴨跖草)로서 동의보감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해열·해독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 약재로 사용되었습니다.
자주달개비(Tradescantia virginiana),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달개비)
자주달개비는 북미산 관상용 다년초,
닭의장풀은 동양 자생의 약용 일년초.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달개비)
자주달개비는 북미산 관상용 다년초,
닭의장풀은 동양 자생의 약용 일년초.
꽃의 형태는 비슷함,
자주달개비의 꽃은 균형 잡힌 삼각형 형태,
닭의장풀의 꽃은 위쪽이 두드러진 비대칭형.
자주달개비의 꽃은 균형 잡힌 삼각형 형태,
닭의장풀의 꽃은 위쪽이 두드러진 비대칭형.
#닭의장풀 #달개비 #자주달개비, #자주달개비꽃말 #자주달개비원산지 #달개비원산지 #달개비효능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