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망개나무 열매는 실제로 청미래덩굴의 열매를 일컫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상도 등 일부 지역에서 청미래덩굴을 '망개나무'라고 부르기 때문에 이러한 혼동이 생겼습니다.

진짜 망개나무(학명: Berchemia berchemiifolia)와는 다른 식물이며, 망개떡을 싸는 잎 또한 청미래덩굴의 잎입니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학명 Smilax china L.)은 우리나라 전통에서 오래전부터 알려진 덩굴성 약용식물로, 지역과 문헌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밍개나무의 학명,한자명,속명,방언,약재명을 모두 먼저 정리 한 후 포스팅을 해야 헷갈리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여 이름부터 청미래덩굴(靑薇來藤)로 정리합니다. 

Smilax china 는 Smilax 속의 덩굴식물 종 입니다. 원산지는 중국 , 한국 , 대만 , 일본 ( 류큐 및 보닌 섬 포함 ), 필리핀 , 베트남 , 태국 , 미얀마 및 인도 입니다 .



청미래덩굴(靑薇來藤) 청미래덩굴의 다른 이름 정리


학명(學名) Smilax china L. 백합과(또는 청미래덩굴과, Smilacaceae)에 속함

🈶 한자명(漢字名) 靑薇來藤, 菝葜(발길), 白菝葜, 土茯苓(약재명) 《동의보감》 등 고문헌에서 다양하게 기록

청미래덩굴(靑薇來藤)의 약재명
토복령(土茯苓)이라하는데 이는 뿌리를 약재로 말하는것입니다.
뿌리를 약용 — 해독·이뇨·근골통 치료


👉 국명(우리말 이름)
청미래덩굴 ‘푸른 미래(덩굴)’라는 뜻 — 덩굴이 늘 푸르고 번식력이 강함

👉 또 다른 국명
방언- 명감나무, 명감덩굴, 용수염, 도꼬마리덩굴, 참청가리라고 불립니다.
이중에서 망개나무라는 이름은 실제 망개나무가 있기 때문에 ※유사종과 혼용됨으로 주의 해야 합니다.
참고로 경남 의령의 망개떡은 유명한데, 이 또한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참쌀떡을 싸서 만드는것이 특징입니다.청미래덩굴의 약성으로 인해서 한여름에도 상하지 않는것이 특징이고요.운항과의 망개나무 잎이 아닌것을 밝힙니다.
 
실제 이름 망개나무(운향과 Berchemia berchemiaefolia)와 혼동 할 수밖에 없는데 열매가 비슷한 붉은 구슬 모양이라서 혼동되는듯 합니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의 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백합목- 청미래덩굴과
속: 청미래덩굴속
종: 청미래덩굴
학명: Smilax china

동의보감 등 고서에서의 청미래덩굴(靑薇來藤) 명칭

토복령(土茯苓) : 약재명 (뿌리)
다른이름:백발길(白菝葜), 산서근(山薯根) 

“其藤細而有刺,葉似葛而厚,其花白而有香,其實如珊瑚珠成串.”

→ 덩굴은 가늘고 가시가 있으며, 잎은 칡과 비슷하되 두껍고, 꽃은 희고 향기로우며, 열매는 붉은 산호구슬처럼 송이로 달린다.  

망개나무 열매(청미래덩굴 열매)의 특징

외형: 8월경에 빨갛게 익으며 둥근 모양입니다.
맛: 약간의 떫은맛이 있지만 익은 열매는 식용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꽃말: 망개의 꽃말은 '희망, 청춘'입니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의 효능

청미래덩굴의 뿌리인 토복령과 함께 열매도 다양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해독 및 염증 완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삭이는 작용을 합니다.
👉 혈액순환 개선: 피를 맑게 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돕습니다.
👉 이뇨 작용: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 항암 및 항비만: 항암, 항비만 등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청미래덩굴 먹는 법

식용: 익은 열매를 그대로 먹거나 차, 술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차: 잎을 말려 차로 우려 마시거나 뿌리인 토복령을 끓여 마시기도 합니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 열매의 특징

형태: 둥근 장과(漿果, berry) 형태
크기: 지름 약 0.8~1.2cm 정도의 작은 구슬 모양
색깔 변화:여름(7~8월)에는 초록색
가을(9~10월) 이후 붉은색 → 짙은 자주색(혹은 흑자색) 으로 변함
표면: 매끈하고 윤기가 있음
위치: 덩굴줄기 잎겨드랑이에서 2~5개 정도가 산형(umbrella-like) 으로 달림



청미래덩굴 열매의 맛과 성분

맛: 약간 떫고 단맛, 익으면 단맛이 강해짐
식용 여부: 완숙된 열매는 먹을 수 있으나, 덜 익은 열매는 약간 독성이 있어 생식은 피해야 함
성분: 사포닌(saponin),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 함유 — 항산화 및 염증 완화 효능


 

청미래덩굴 열매의 약용으로서의 한의학 관점

청미래덩굴은 전체(뿌리·줄기·열매 모두)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열매는 특히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다고 알려짐

해독작용
이뇨작용
신장 기능 강화
피부 트러블 완화


동의보감에는 주로 뿌리(토복령, 土茯苓)가 약재로 언급되지만,열매 또한 “독을 풀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解毒利水)”는 효능이 기록되어 있음.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 열매의 생태 및 시기

열매 시기: 9~11월경 붉게 익음
조류나 야생동물의 먹이로 쓰이기도 함
덩굴이 오래된 곳에서는 겨울까지도 검붉은 열매가 남아 장식적으로 아름다움



청미래덩굴 열매의 시각적 묘사

산행을 하다 보면 초가을부터 겨울가지 숲속에서 억센 가시덩굴에 매달린 붉은 구슬 같은 열매가있습니다.
햇빛이 나면 멀리서도 보일수있도록 반짝이는데 겨울 즘에 보면 자주빛으로 점점 변해가다 까맣게 익는데 이것이 청미래덩굴 열매의 전형적인 모습을 말로 표현 한 것입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 자체보다는 주로 그 뿌리, 즉 약재명 토복령(土茯苓) 을 중시하며 많은 기록을 하고있습니다.



열매(果實)에 대한 언급도 간접적으로 등장합니다. 
아래에 원문과 함께 정리합니다.

동의보감 중 청미래덩굴(토복령) 관련 내용

원문】
東醫寶鑑탕액편(湯液篇) 산초부(土部) 토복령條
土茯苓,味甘淡,無毒。治濕熱痺,利筋骨,解諸毒,去下焦熱。久服輕身益氣。
又曰:主風痺筋攣,通利關節,止痛。能解諸藥毒、酒毒、水銀、雄黃、丹砂等毒。
一名山薯根,一名白菝葜。其藤細而有刺,葉似葛而厚,其花白而有香,其實如珊瑚珠成串。

해석
토복령(土茯苓) — 맛은 달고 담담하며 독이 없다.
습열(濕熱)로 인한 비증(痺症, 관절통)을 다스리고,

근골(筋骨)을 이롭게 하며,
온갖 독(諸毒)을 푸는 효능이 있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운이 더해진다.

또 말하기를, 풍비(風痺)와 근육 경련을 풀고 관절을 통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수은, 웅황(雄黃), 단사(丹砂) 등 독약의 해독에 뛰어나다.

다른 이름으로 산서근(山薯根), 백발길(白菝葜) 이라 하며,
그 덩굴은 가늘고 가시가 있으며, 잎은 칡과 비슷하되 두껍고,
꽃은 희고 향기롭고,
열매는 붉은 산호 구슬처럼 송이로 달린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요약 정리

열매 묘사: “其實如珊瑚珠成串”
→ 그 열매가 산호 구슬처럼 붉게 송이로 달린다
약성: 달고 담담하며 독이 없음
효능:해독(解毒),습열 제거,근골 강화,관절통 완화

열매 자체도 해독 작용이 있다고 전해지며,
민간에서는 피부병, 음주 후 해독, 신장계 질환 보조 용도로 사용되었음




참고 요약문

한약명 : 토복령(土茯苓)
식물명 :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열매 묘사 :  붉은 산호 구슬처럼 송이로 맺힘
주요 효능  : 해독, 관절통 완화, 습열 제거, 근골 강화
복용 주의  : 덜 익은 열매 생식은 피할 것 (미세한 독성)

참고: ‘청미래’ 이름의 유래

‘청(靑)’ → 줄기와 잎이 사시사철 푸름
‘미래(薇來)’ → 한자 ‘薇(미)’는 덩굴풀을 뜻하며, ‘來(래)’는 끌어당긴다는 의미로, 덩굴이 뻗어감을 상징함

즉, “푸른 덩굴이 사방으로 뻗어 나가는 식물”이라는 뜻으로 해석됨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청미래덩굴(靑薇來藤, Smilax china L.)망개나무 열매


약용명 정리 요약

대표 이름: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주요 한자명: 靑薇來藤, 白菝葜, 土茯苓
약재명: 토복령(土茯苓)
민간명: 명감나무, 용수염, 참청가리 등


#청미래덩굴 #맹감덩굴 #망개나무 #명감나무 #산서근 #토복령 #해독제 #청미래덩굴효능 #명감나무, #명감덩굴, #용수염, #도꼬마리덩굴, #참청가리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장기(將棋)의 기원과 변천, 두뇌 건강상 유익한 점

한국 까마귀(Corvus) – 종류,서식지, 먹이, 습성 정리

전세계 출생율 톱 50국과 1인당 출산수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전세계 방산 수출 톱 20과 그 내용

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