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가을 산해을 하다 보면 풀숲에 유난히 파랗게 빛나는 꽃이 있습니다.
가까이 가 보면 용담꽃이지요. 오늘은 용담과 용담꽃에 대한 자세한 식물 정보를 알아봅니다.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또는 Gentiana spp.)은 가을에 피는 대표적인 야생화 중 하나로, 짙은 푸른빛의 아름다운 색으로 유명합니다. 아래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기본 정보

국명: 용담 / 용담꽃
학명: Gentiana scabra
영문명: Japanese Gentian, Scabrous Gentian
과명: 용담과 (Gentianaceae)

꽃말: 슬픔, 정의, 사랑의 깊이, 진실된 마음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생태와 특징

꽃 피는 시기: 8월 ~ 10월 (가을꽃)
꽃색: 짙은 남색, 보라색, 청자색
꽃 모양: 나팔처럼 길쭉하고 끝이 약간 갈라진 형태
높이: 약 20~60cm
서식지: 산지의 양지바른 초원이나 들판, 산기슭
분포: 한국 전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 지역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 국화군 ⇨ 용담목 ⇨ 용담과 ⇨ 용담속 ⇨ 용담
아종: 용담
학명:Gentiana scabra for. scabra Bunge, 1835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한약적 가치

한약명: 용담(龍膽)
약용부위: 뿌리
효능:해열, 소염, 해독 작용 ,간 기능 개선,황달, 열독, 염증 완화
맛과 성질: 매우 쓰며, 차가운 성질을 가짐

동의보감에서는 “간의 열을 내리고 습열을 제거한다”라 기록되어 있습니다.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문화적 상징

일본에서는 ‘리린소(リンドウ, 竜胆)’라 부르며, 고귀함과 진실된 사랑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한국에서도 가을의 푸른빛을 대표하는 꽃으로, 들꽃 사진이나 시의 소재로 자주 등장합니다.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과 비슷한 종류
과남풀 (Gentiana manshurica): 용담과 비슷하지만 꽃이 조금 더 크고 짙은 보라색
가는잎용담, 큰용담 등 여러 변종이 있음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원산지와 꽃말,이명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원산지
동아시아 원산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지역이 자생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지의 초원, 산기슭, 들판의 양지바른 곳에 자생합니다.
특히 강원도, 지리산, 백두산 일대에 많이 분포합니다.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꽃말

나라 별 꽃말의미 
한국 : 슬픔, 정의, 진실된 마음, 사랑의 깊이 푸른 꽃색처럼 깊고 진중한 마음을 상징
일본 :고귀함(高貴), 진심(誠実) 일본에서도 전통 문양으로 사랑받음
서양:Justice (정의), Sweet memories (달콤한 추억) Gentian은 청렴함의 상징으로 여겨짐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이명 (異名, 다른 이름)

한자명  ⇨龍膽, 龍膽草 ⇨ ‘용의 쓸개처럼 쓰다’는 뜻에서 유래 (매우 쓴 약초라는 의미)
한약명  ⇨용담(龍膽)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할 때의 이름
학명  ⇨Gentiana scabra
속명  ⇨Gentiana는  ⇨고대 일리리아 왕 ‘Gentius’에서 유래
별칭  ⇨쓴풀, 용담초, 용담화, 청용담 지역별로 다르게 불림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이름 유래

“용담(龍膽)”은 ‘용의 담즙(쓸개)’처럼 쓰다는 뜻에서 왔습니다.
→ 실제로 뿌리를 씹으면 매우 쓰며, 예로부터 해열·해독약으로 사용했습니다.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약용성분 효능, 동의보감 원문+해석

용담(龍膽, 용담꽃의 뿌리)의 약용 성분,  효능,  동의보감 원문과 현대어 해석을 자세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약용 부위

사용 부위: 뿌리 (乾根, 용담근 龍膽根)
맛과 성질: 매우 쓰고(苦), 차며(寒), 독은 없음
 

2.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주요 약리 성분

성분명분류효능Gentiopicroside (젠티오피크로사이드) 세코이리도이드 배당체 항염, 해열, 간보호 작용
Swertiamarin (스웨르티아마린) 배당체 간기능 개선, 해독, 항산화
Gentisin (겐티신) 플라보노이드 항염증, 항균 작용
Amarogentin (아마로겐틴) 고미성분 (쓴맛) 소화 촉진, 담즙 분비 촉진
Mangiferin 폴리페놀류 항산화, 항바이러스 작용


3.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효능 및 적용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효능설명
간의 열을 내림 간의 울화(鬱火)와 습열(濕熱)을 해소

해열·소염·해독 ⇨ 염증과 발열성 질환 완화
황달·간염·습열성 질환 완화 ⇨ 간 기능 강화, 황달 제거
이뇨작용 ⇨ 체내 노폐물 배출 도움
소화촉진 ⇨ 쓴맛 성분이 위액 분비를 촉진
피부질환 완화 ⇨ 습진, 종기, 피부 가려움증 완화

4.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원문

탕액편(湯液篇) 草部 中 용담條
龍膽, 味苦寒無毒. 治肝膽火熱, 驅邪熱, 除骨蒸, 消黃疸, 利濕熱, 破惡瘡腫毒.
日華子本草曰: 除筋骨間熱, 熄風殺蟲.


5.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현대어 해석

용담(龍膽)은 맛이 쓰고 차며 독이 없다.
간과 쓸개의 열을 내리고, 사열(邪熱)을 몰아내며, 골증(骨蒸, 속열로 인한 발열)을 제거한다.
황달을 없애고, 습열(濕熱)을 없애며, 종기나 부스럼 같은 악창(惡瘡腫毒)을 낫게 한다.
일화자본초에서는 “근육과 뼈 사이의 열을 제거하고, 풍열(風熱)을 가라앉히며, 벌레를 죽인다”고 하였다.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6.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복용 시 주의

체질: 냉한 사람(손발이 찬 사람)은 복용을 피해야 함
과다 복용 시: 설사, 복통, 위통 가능
복용 형태: 탕제(煎服), 환제(丸劑), 또는 한방 복합 처방(용담사간탕 등)에 사용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처방 레시피와 해설

이제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Yongdam Sagantang) 처방의
한의학적 구성(레시피), 

1.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처방 기본 정보

출전(출처) ⇨《의학정전(醫學正傳)》, 《방약합편(方藥合編)》
한글음 ⇨ 용담사간탕, 용담사간탕(용담사간탕)
분류⇨ 청열(淸熱)·사화(瀉火)·제습(除濕)제
주요 효능⇨ 간담(肝膽)의 실열(實熱)을 내리고, 습열(濕熱)을 제거함
적응증 ⇨두통, 눈의 충혈, 이명, 입이 마름, 소변이 붉고 가렵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등

2.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의 구성 약재 (기본 10~11味)

용담초 龍膽草 (Gentiana scabra) ⇨주약(君藥) ⇨간담의 열을 내리고 습열 제거
치자 梔子 (Gardenia jasminoides) ⇨신약(臣藥)⇨ 열을 내리고 번조(煩躁) 완화, 이뇨
황금 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신약⇨ 간담열 사함, 항염작용
목통 木通 (Akebia quinata) 좌약(佐藥) ⇨이뇨, 하초(下焦) ⇨습열 제거
택사 澤瀉 (Alisma plantago-aquatica) ⇨좌약⇨ 수습(濕) 배출, 소변이 붉거나 탁한 증상 개선
생지황 生地黃 (Rehmannia glutinosa) ⇨좌약 ⇨열을 식히고 음(陰)을 보호
당귀 當歸 (Angelica sinensis) ⇨좌약 ⇨혈액 보충, 간혈(肝血) 조화
차전자 車前子 (Plantago asiatica) ⇨좌약 ⇨이뇨, 습열 제거
시호 柴胡 (Bupleurum falcatum) ⇨좌약 ⇨간기(肝氣) 순조롭게, 울화 해소
감초 甘草 (Glycyrrhiza uralensis) ⇨사약(使藥) ⇨조화·해독·통합 역할

※ 일부 처방에는 산치자(山梔子) 대신 황련(黃連) 또는 목통이 가감되기도 합니다.
(지역·체질에 따라 약간의 변형 존재)


3.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효능 요약

작용설명
사간담열(瀉肝膽熱) 간담의 울열(鬱熱)을 내림 — 머리, 눈, 귀의 열증 완화
청리습열(淸利濕熱) 습열을 배출하여 소변이 시원해짐
해독소염(解毒消炎) 염증, 두통, 이명, 구강건조, 눈 충혈 완화
조화기혈(調和氣血) 시호·당귀가 간기(氣) 순환을 도와 부작용 방지


4.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적응증 (임상 응용)

증상한의학적 설명
간담실열(肝膽實熱) 두통, 눈 충혈, 입이 마름, 귀울림, 얼굴이 붉음
하초습열(下焦濕熱) 소변이 붉거나 탁함, 요도통, 음부 가려움, 방광염
울화·분노로 인한 간열상승 화가 많고, 머리와 얼굴에 열 오름, 어지럼증
피부질환 습진, 종기, 여드름 등 열·습이 원인인 피부염 완화


5.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현대 약리 해석

항염증 작용 Gentisin, Baicalin, Gardenoside 등이 염증 억제
간 보호 작용 Gentiopicroside, Swertiamarin이 간세포 손상 억제
이뇨 및 해독 효과 택사·목통·차전자가 신장 배설 촉진
진정 및 해열 효과 간열성 두통, 불면, 분노 해소에 도움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용담,꽃(龍膽꽃, Gentiana scabra )의 자세한 식물정보


6.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복용 시 주의

체질: 냉하거나 허약한 사람(특히 음허 체질)은 주의
복용 기간: 일반적으로 3~7일 단기 복용 (장복 시 위장 장애 가능)
금기: 임신 중, 설사 경향이 있는 경우는 피해야 함

7.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처방 요약 정리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간담의 불필요한 열과 습기를 내리고, 소변을 맑게 하며,
열독(熱毒)으로 인한 염증성 증상(눈·귀·소변·피부 등)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청열제.




#용담사간탕 #용담 #용담꽃 #용담료능 #용담꽃말 #용담원산지 #산에피는파란야생화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장기(將棋)의 기원과 변천, 두뇌 건강상 유익한 점

한국 까마귀(Corvus) – 종류,서식지, 먹이, 습성 정리

전세계 출생율 톱 50국과 1인당 출산수

전세계 방산 수출 톱 20과 그 내용

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