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완벽 정리
남천(南天)의 개요
남천(南天)은 빨간 작은 열매가 조랑조랑 많이 달려서 겨울동안 지나고 봄까지 그 영롱한 색깔을 지닌 독특한 나무입니다.봄에는 하한 곷을 피우고 가을엔 특히 붉은 단풍을 보이며 가을부터 봄까지 붉은 열매를 달고있어 정원수나 울타리 식물로 많이 재배되는 흔한 약용,관상수입니다.
히말라야 지역에서 동아시아로 이어지고 바다건너 일본에 까지 광범위한 지역이 원산지이며 반상록(semi-evergreen) 떨기나무입니다. 가을에 붉은 단풍과 겨우내 붉은 열매가 달려서 아름다워 남부 지방에서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수로 심어 흔히 볼 수있는 식물입니다.
모르는 사람들은 외국산 비슷한 열매가 달리는 나무와 혼동 하기도 하지만 남천만의 따스하고 소박한 모습이 따로있어 한국인의 정서와 가까운 식물입니다.
![]()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남천(南天, 영어: nandina, sacred bamboo 또는 heavenly bamboo)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인데 이 수종 남천속의 유일한 종입니다. 이명으로 남천촉, 남천죽이라고도 흔히 불립니다.
남천(南天)에 대한 항목별정보.
남천(南天) 정보 요약1. 남천(南天)의 이름 표기
| 구분 | 표기 | 비고 |
| 한자 | 南天 (남녘 남, 하늘 천) | 보통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불립니다. |
| 영어 | Nandina, Heavenly Bamboo | '천상의 대나무'라는 뜻입니다. |
| 일어 | ナンテン (Nanten) | |
| 중국어 | 南天竹 (Nántiānzhú) |
2. 남천(南天)의 식물 개요
원산지: 인도, 중국, 일본분포지역: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심습니다.
식물 개요: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남천속(Nandina)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입니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잎은 깃털 모양으로 3번 갈라지는 복엽(겹잎)이고, 겨울에는 붉게 단풍이 듭니다. 여름에 흰색 꽃이 피고, 겨울에 붉은색 열매가 달립니다.
이름 유래:
'남천죽(南天竹)'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줄기가 대나무와 비슷하며 남쪽 나라에서 왔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3. 남천(南天)의꽃말
꽃말: '좋은 소식', '전화위복(轉禍爲福)' (재앙이 바뀌어 복이 된다), '깊은 사랑' 등이 있습니다.
동의보감 원문(일부 발췌):
南天竹子(남천죽자) 性溫 味苦 無毒. 治久咳. 煎服.
해설:
성(性): 성질은 따뜻하고(溫)
미(味): 맛은 쓰며(苦)
독(毒): 독이 없다(無毒)
주치(主治): 오래된 기침(久咳)을 다스린다
용법: 달여서 복용한다(煎服).
참고: 남천의 열매는 소량 복용 시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인 알칼로이드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전문적인 처방 없이 임의로 복용하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4. 용도 및 약용 정보
| 구분 | 내용 |
| 용도 | 관상용(조경), 약용 |
| 약용 성분 | 베르베린(Berberine), 난지닌(Nandinine), 도메스틴(Domestine)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 |
| 효능 | 해열, 진해(기침 멎음), 천식, 백일해, 위장염, 감기, 눈병(결막염) 등 |
| 약재명 | 남천죽(南天竹), 남천죽자(南天竹子) (열매), 남천죽근(南天竹根) (뿌리) |
| 이명(異名) | 적죽(赤竹), 천죽(天竹), 남천실(南天實) 등 |
5. 동의보감 원문 및 해설
남천(南天)은 《동의보감》에서 주로 남천죽(南天竹)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며, 주로 열매(南天竹子)의 효능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동의보감 원문(일부 발췌):
南天竹子(남천죽자) 性溫 味苦 無毒. 治久咳. 煎服.
해설:
성(性): 성질은 따뜻하고(溫)
미(味): 맛은 쓰며(苦)
독(毒): 독이 없다(無毒)
주치(主治): 오래된 기침(久咳)을 다스린다
용법: 달여서 복용한다(煎服).
참고: 남천의 열매는 소량 복용 시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인 알칼로이드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전문적인 처방 없이 임의로 복용하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남천의 주요 특징 (Nandina domestica)
남천은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어 관상용으로 매우 사랑받는 상록 관목입니다.1. 형태 및 구조적 특징
구분 특징 상세 설명수형 및 줄기 곧게 자라는 관목 줄기가 밑에서 여러 대가 모여나 곧게 자라며, 대나무와 비슷하여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불립니다. 높이는 보통 1~3m 정도입니다.잎의 형태 독특한 겹잎 (3회 깃꼴겹잎) 잎자루가 세 번이나 갈라지는 복잡한 구조의 겹잎(우상복엽)입니다. 작은 잎들은 타원형이며 가죽처럼 단단하고 광택이 있습니다.
남천의 생물 분류
계: 식물계 ⇨ 속씨식물군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나리아재비목 ⇨ 매자나무과 ⇨ 남천속 .
종: 남천
학명 : Nandina domestica Thunb. 1784
2. 계절별 관상 특징 (하이라이트)
계절 관상 특징 설명봄/여름 싱그러운 녹색 잎 따뜻한 계절에는 푸른 잎이 무성하며, 초여름에 흰 꽃이 핍니다.가을/겨울 붉은 단풍과 열매 (가장 큰 특징) 기온이 낮아지면 잎이 붉은색(홍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매우 아름답습니다. 또한, 10월경에 붉게 익는 콩알만 한 둥근 열매가 겨우내 떨어지지 않고 달려 있어 겨울 정원의 포인트가 됩니다.
![]()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3. 생태적 특징 및 재배 특성
분포 및 생육: 중국, 인도, 일본 원산이며,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흔히 정원수로 심습니다. 추위에 다소 약하여 중부 지방에서는 반상록성으로 자라거나 일부 지역에서는 낙엽을 지기도 합니다.생존력: 내음성이 강하여 그늘에서도 잘 자라고, 공해에도 강한 편이어서 도심지의 조경수로도 적합합니다.
토양: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토양을 선호하며, 건조한 땅에서도 비교적 잘 견디는 편입니다.
독성: 남천의 열매, 잎, 줄기 등 모든 부분에는 **알칼로이드 성분(베르베린 등)**이 함유되어 있어 독성이 있습니다. 특히 열매는 독성이 강하므로 임의로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4. 문화적/상징적 특징
꽃말: '전화위복(轉禍爲福)' (재앙이 바뀌어 복이 된다), '좋은 소식', '깊은 사랑' 등이 있습니다.길조: 일본에서는 귀신을 쫓고 행운을 불러들이는 나무로 여겨져 화장실 옆이나 귀신이 출입하는 방향에 심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약용: 열매(남천실)와 잎, 줄기 등을 한방에서 기침(진해), 천식, 해열 등에 약재로 사용합니다.
이러한 특징들 덕분에 남천은 정원수, 생울타리, 실내 분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남천과 관련된 문학 및 이야기
1. 문학 작품
김춘수 시인의 시집 《남천(南天)》:한국의 대표적인 현대 시인인 김춘수(金春洙)는 자신의 시집 제목을 아예 《남천》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시집에 실린 동명의 시 〈남천〉을 비롯하여 여러 작품에서 남천의 이미지가 사용되었으며, 특히 겨울에도 붉은 열매를 매달고 있는 남천의 모습은 시적 상징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합니다.
가곡 〈겨울 남천〉:
임상섭 시인의 시에 송상준 작곡가가 곡을 붙인 가곡 〈겨울 남천〉이 있습니다.이 가곡은 겨울의 따스한 햇볕 아래 붉은 보석처럼 매달린 남천 열매를 묘사하며 정겹고 그림 같은 산촌 풍경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기타 문학:
남천은 그 아름다운 모습 때문에 많은 시인들이 시의 소재로 사용해왔습니다. 특히 눈 속에서도 붉은 열매를 지키는 모습은 꿋꿋함, 희망, 그리고 변치 않는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자주 표현됩니다.![]()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2. 민간 이야기 및 풍습 (상징성)
전화위복(轉禍爲福)의 상징:남천의 한자 이름인 **남천죽(南天竹)**은 일본어로 '난텐(ナンテン)'이라고 읽힙니다. 이 발음이 '난(難)을 텐(転)한다', 즉 재앙을 물리친다는 의미의 일본어 '난텐(難轉)'과 발음이 비슷하여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상징성 때문에 남천을 집안에 심거나 화병에 꽂아두면 나쁜 일을 막고 좋은 일이 찾아온다고 믿는 풍습이 동아시아 문화권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액막이 용도:
일본에서는 과거에 화장실 근처에 남천을 심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는 화장실이 악귀가 드나들기 쉬운 곳이라 여겨, 액운을 막고 복을 부르는 남천의 힘을 빌려 재앙을 물리치려 했던 주술적인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붉은 열매의 상징:
겨울철에 유난히 돋보이는 붉은 열매는 예로부터 생명력, 정열, 그리고 새해의 희망을 상징했습니다. 새해를 맞이할 때 남천 열매를 장식하는 것은 한 해 동안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이처럼 남천은 그 이름과 형태가 지닌 독특한 상징성 덕분에 문학과 민간 풍습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가곡 <겨울 남천> 가사
작사: 임상섭 | 작곡: 송상준겨울 남천
찬 바람 빈 산이 쓸쓸한데 골짜기 해묵은 산새들의 고독한 둥우리 사이로
이 겨울 남천은 붉은 열매 잔뜩 안고 서 있네.
산 마을 햇볕 고운 담장 밑 눈부신 새 잎으로 피어나서 여름 날 흰 꽃이 지고 나면
산 마을 햇볕 고운 담장 밑 눈부신 새 잎으로 피어나서 여름 날 흰 꽃이 지고 나면
이 겨울 남천은 붉은 열매 잔뜩 안고 서 있네.
가을이 소리 없이 깊어 가면 산길에 버려진 옛사랑의 찬란한 환희가 열매 되어
가을이 소리 없이 깊어 가면 산길에 버려진 옛사랑의 찬란한 환희가 열매 되어
이 겨울 남천은 붉은 열매 잔뜩 안고 서 있네.
찬란한 환희가 열매 되어 이 겨울 남천은 붉은 열매 잔뜩 안고 서 있네.
찬란한 환희가 열매 되어 이 겨울 남천은 붉은 열매 잔뜩 안고 서 있네.
![]()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김춘수 <남천(南天)> 전문
김춘수 시인의 시집 제목이기도 한 시 <남천(南天)>의 전문(全文)을 찾아봤습니다.
<남천>은 1977년 발간된 동명의 시집에 수록된 작품으로, 시인이 추구하던 '무의미시(無意味詩)'의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시 중 하나입니다.
🖋️ 남천(南天)
남천(南天)은
나의
마음 속에서 솟아 오른다
이러한
불가능한 일을 누가
나에게 시켰는가.
나무도 없고
꽃도 없고
바람도 없는
그 곳에
내가
다시 남천(南天)을 심는다.
시의 특징 및 해석을 마음 가는대로
이 시는 김춘수 시인의 후기 시 세계를 보는듯 합니다.![]()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이 시는 실제 식물 남천의 이미지를 빌려왔지만, 그 이미지를 넘어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시인의 내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
|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
#남천 #가곡-남천 #시-남천 #김춘수남천 #남천효능 #남천동의보감 #남천이명 #남천원산지 #남천꽃말 #남천식물개요 #남천생물분류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