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계의 F-22,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콘충계의 포식자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Robber fly comprehensive information

아래 사진 속 곤충은 파리매(Robber fly)이며 ,두 개체가 짝짓기 중인 모습입니다.
파리매는 파리목 파리매과의 곤충을 총칭하며, 영어로는 '강도 파리(robber fly)' 또는 '암살자 파리(assassin fly)'라고도 불립니다.

곤충계의 F-22,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파리매(Robber fly) 주요 특징 및 생태:포식자: 

파리, 벌, 잠자리, 풍뎅이 등 다양한 곤충을 사냥하는 강력한 포식성 곤충입니다.
사냥 방식: 뛰어난 비행 능력과 시력을 바탕으로 공중에서 먹이를 낚아채듯 사냥하며, 마비시키는 독과 소화액을 주입하여 체액을 빨아먹습니다.

파리매(Robber fly) 짝짓기: 

이미지에서처럼 암컷과 수컷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 채로 짝짓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짝짓기 시 수컷이 암컷에게 먹이를 선물하기도 합니다.

파리매(Robber fly) 외형: 

종에 따라 크기와 색깔이 다양하며, 보통 몸에 털이 많고 다리가 깁니다.

사람과의 관계: 

사람을 먼저 공격하지는 않지만, 만약 잡거나 건드렸을 때 물리면 매우 아플 수 있습니다.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파리매(Robber fly)의 한살이

파리매는 완전 탈바꿈(완전 변태)을 하는 곤충입니다.
알 → 애벌레(유충) → 번데기 → 어른벌레(성충)의 네 단계를 거칩니다. 전체 한살이는 종과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3년 정도 걸리며, 이 중 대부분의 기간을 애벌레 상태로 땅속이나 썩은 나무 속에서 보냅니다.

각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Egg):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종류에 따라 땅속, 식물 줄기, 썩은 나무 틈새 등 다양한 장소에 알을 낳습니다.알 덩어리 위에 보호 덮개를 씌우는 종도 있습니다.

애벌레 (Larva)
애벌레는 길고 가느다란 벌레 모양이며, 다리가 없습니다.
성충과 마찬가지로 포식성이거나 다른 곤충의 알, 애벌레, 또는 유기물을 먹고 삽니다.
땅속이나 썩은 나무 속에서 서식하며, 여러 번 탈피하면서 성장합니다.
보통 이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납니다.

번데기 (Pupa)
충분히 성장한 애벌레는 땅속에서 번데기가 됩니다.
번데기 시기를 거치며 몸의 구조가 성충으로 완전히 바뀝니다.

어른벌레 (Adult)
날씨가 따뜻해지면 번데기가 땅 표면으로 이동하여 허물을 벗고 날개 달린 어른벌레로 우화합니다.
어른벌레는 주로 늦은 봄부터 여름철에 활동하며, 다른 곤충을 사냥하며 짝짓기를 통해 다음 세대를 이어갑니다.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파리매(Robber fly)의 수명

파리매의 전체 수명 주기는 종과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년에서 3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기간의 대부분은 땅속이나 썩은 나무 등에서 애벌레(유충) 단계로 보냅니다.
어른벌레(성충)가 된 후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성충으로 우화한 파리매는 주로 따뜻한 계절(봄부터 가을)에 활동하며, 짝짓기와 산란을 마친 후 수명이 다합니다. 성충의 정확한 수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종별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며칠에서 몇 주 정도 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파리매(Robber fly)의 번식

파리매의 번식 과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짝짓기: 

수컷 파리매는 암컷을 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입니다. 일부 종에서는 수컷이 먹이를 사냥하여 암컷에게 '결혼 선물'로 제공하는 구애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암컷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고 짝짓기 중 자신이 잡아먹히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짝짓기는 보통 암컷과 수컷이 꼬리 부분이 서로 맞닿은 'V'자 형태로 연결된 채 이루어지며, 이 상태로도 비행이 가능합니다.

파리매(Robber fly)의산란: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종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알을 낳습니다.땅 위에서 사냥하는 종들은 주로 흙이나 모래 속에 알을 낳습니다.
식물 위에서 사냥하는 종들은 식물의 줄기, 꽃, 또는 썩은 나무의 틈새 등에 알을 낳습니다.
많은 종들이 알을 덩어리로 낳고 그 위에 분필 같은 보호막을 씌워 보호합니다.
발달: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땅속이나 썩은 유기물 속에서 성장합니다. 애벌레 역시 포식성이며 다른 곤충의 알이나 애벌레를 잡아먹고 삽니다.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보낸 후 번데기가 되고, 이후 성충으로 우화하여 번식 주기를 반복합니다.


파리매(Robber fly) 짝짖기 시간

파리매의 짝짓기 시간은 종마다 매우 다양하며, 정확한 시간을 특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파리매는 복잡한 구애 행동 없이 수컷이 암컷을 덮치는 방식으로 짝짓기가 시작되며, 교미는 암수가 꼬리를 맞댄 채로 이루어집니다. 

이 상태로 먹이를 먹거나 날아다니기도 합니다.일부 연구에서는 몇 초 만에 짝짓기가 끝나는 경우도 보고되었습니다.

다른 관찰 결과에 따르면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짝짓기를 지속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 관찰자는 짝짓기 중인 파리매 한 쌍을 발견하고 1시간 후에 다시 같은 장소 근처에서 발견했는데, 여전히 짝짓기 중이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암컷은 한 번의 짝짓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수컷과 교미하여 수정된 알을 낳는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번식 활동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파리매의 짝짓기 시간은 매우 짧을 수도, 길 수도 있으며, 종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파리매(Robber fly)는 익충인가 해중인가?

파리매는 보는 관점에 따라 익충일 수도, 해충일 수도 있는 중립적인 곤충입니다. 생태계의 복잡성 때문에 단순히 '익충' 또는 '해충'으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익충으로 분류되는 이유:해충 구제: 

파리매는 파리, 풍뎅이, 메뚜기, 노린재, 나방 등 다양한 해충을 잡아먹습니다. 농업 현장에서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의 천적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생태계 균형 유지: 

다른 포식자들과 마찬가지로 생태계 내에서 곤충 개체 수를 조절하여 균형을 맞추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충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이유:유익한 곤충 포식: 파리매는 먹이를 가리지 않는 일반 포식자이기 때문에, 꿀벌이나 다른 유용한 수분 매개 곤충들도 사냥할 수 있습니다. 양봉업자들에게는 꿀벌을 잡아먹는 해충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고통스러운 물림: 

사람을 먼저 공격하지는 않지만, 만약 실수로 만지거나 잡았을 때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물 수 있으며, 이 물림은 벌에 쏘인 것처럼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파리매는 다양한 곤충을 포식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야생 포식자입니다. 인간의 기준에서 이로운 역할을 할 때도 있고 해로운 역할을 할 때도 있어, 상황에 따라 다르게 평가됩니다.



파리매(Robber fly) 독성 물빌 약용 효능

파리매는 먹이를 사냥할 때 사용하는 신경독성 독(venom)을 가지고 있으며, 이 독은 연구 목적으로 사용될 잠재적인 약용 효능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에게 물렸을 때는 고통스러운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독성 및 물림 (Bite)신경독: 

파리매는 먹이를 빠르게 마비시키기 위해 신경독소를 주입합니다. 이 독소는 곤충뿐만 아니라 쥐와 같은 작은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소화액: 독과 함께 소화액(효소)을 먹이 몸속에 주입하여 내부 조직을 액화시킨 다음 체액을 빨아먹습니다.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파리매는 사람을 먼저 공격하지 않지만, 만약 잡거나 건드렸을 때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물 수 있습니다.물리면 벌에 쏘인 것처럼 매우 고통스럽고 따끔합니다.
물린 부위가 붓고 열이 나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며칠 내에 증상이 사라지지만,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약용 효능 (Medicinal Use)잠재적 가치: 

파리매의 독에는 다른 곤충에서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펩타이드와 단백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구 개발: 이러한 독 성분은 뛰어난 약리학적 효능과 선택성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치료제나 농약 개발을 위한 잠재적 원료(lead molecules)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요약하자면, 파리매는 사냥을 위한 독을 가지고 있으며, 이 독은 학술적 연구를 통해 미래의 의약품 등으로 개발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고통스러운 물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파리매(Robber fly) 자세한 생물분류

파리매는 다음과 같은 생물 분류 체계를 따릅니다.
파리매는 파리목(Diptera)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7,000종이 넘는 큰 과(Family)인 파리매과(Asilidae)를 구성합니다. 

계 (Kingdom): 동물계 (Animalia)
문 (Phylum): 절지동물문 (Arthropoda)
강 (Class): 곤충강 (Insecta)
목 (Order): 파리목 (Diptera)
아목 (Suborder): 등에아목 (Brachycera)
하목 (Infraorder): 파리매하목 (Asilomorpha)
상과 (Superfamily): 파리매상과 (Asiloidea)
과 (Family): 파리매과 (Asilidae)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종(Species) 중 하나인 왕파리매의 자세한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속 (Genus): 왕파리매속 (Cophinopoda)
종 (Species): Cophinopoda chinensis (왕파리매)
또한, 일반적으로 "파리매"라고 불리는 종의 학명은 다음과 같습니다.속 (Genus): 파리매속 (Promachus)
종 (Species): Promachus yesonicus (파리매)


파리매(Robber fly) 원산지

파리매는 특정 지역이 원산지라기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넓게 분포하는 곤충입니다.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됩니다.

전 세계적 분포: 파리매과(Asilidae)에 속하는 종은 전 세계적으로 7,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매우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됩니다.

선호 서식지: 주로 개방되고 건조하며 햇볕이 잘 드는 환경을 선호합니다. 사막, 사바나, 스텝 지역에서 종의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숲에서는 가장자리나 강둑 근처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시아 분포: 아시아 남부의 큰 섬들을 포함하여 아시아 전역에 풍부하게 분포합니다.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왕파리매(Cophinopoda chinensis)나 파리매(Promachus yesonicus) 역시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서식합니다.

결론적으로, 파리매는 특정 국가나 지역이 원산지라기보다는 전 세계의 다양한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보편적인 곤충입니다.


파리매(Robber fly) 사냥감 최대크기


파리매는 매우 사나운 포식자 곤충으로, 자신의 몸 크기와 비슷하거나 심지어 더 큰 곤충까지도 사냥할 수 있습니다.
파리매의 사냥감 최대 크기는 파리매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곤충들이 주요 사냥감이며, 이들 중에는 파리매보다 덩치가 큰 경우도 많습니다.다양한 파리 및 등에

벌 및 말벌: 꿀벌부터 힘센 말벌까지 다양한 벌 종류를 사냥합니다.
딱정벌레 및 풍뎅이: 단단한 등껍질을 가진 풍뎅이도 파리매의 사냥 대상입니다.

잠자리: 민첩한 잠자리나 실잠자리도 사냥하며, 때로는 교미 중인 잠자리를 공격하기도 합니다.

매미: 크기가 큰 매미 역시 사냥감 목록에 포함됩니다.
나방 및 나비

사마귀: 곤충계의 최상위 포식자인 사마귀와도 대등하게 맞서 싸우거나 선제공격으로 제압할 수 있습니다.

파리매는 사냥감이 자신보다 현저히 작지 않은 경우, 대부분은 뒤에서 기습 공격하여 빠르게 독침을 꽂아 마비시킵니다.

힘이 센 먹이의 경우, 침을 찔러 넣어도 마취가 제대로 되지 않아 사냥감이 파리매를 몸에 붙인 채 날아다니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파리매는 자신의 몸길이(약 23~30mm)를 넘어서는 곤충들, 예를 들어 말벌이나 매미, 심지어 사마귀까지도 사냥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포식자입니다.


파리매(Robber fly) 비행 속도

파리매는 뛰어난 비행 능력으로 유명하지만, 그 정확한 최고 비행 속도는 종마다 다르며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속도 자체보다는 복잡하고 정교한 비행 기술과 사냥 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알려진 사실:뛰어난 민첩성과 기동성: 파리매는 직선 속도보다는 공중에서 순간적으로 방향을 바꾸고 먹이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낚아채는 뛰어난 민첩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냥 능력: 시속 56km(35mph)로 날아다니는 잠자리까지도 사냥할 수 있는 것을 보면, 순간 가속도나 추적 속도는 상당한 수준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F-22 랩터'에 비유: 그 민첩함과 사냥 기술이 매우 뛰어나서, 일부 전문가들은 파리매의 비행 능력을 미 공군의 최첨단 전투기인 F-22 랩터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빠른 반응 속도: 6mm 길이의 작은 파리매 종은 0.5초도 안 되는 시간에 0.5미터 이상 떨어진 먹이를 발견하고 잡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집파리의 최고 속도가 시속 약 7km 정도인 것에 비하면 파리매는 월등히 빠르고 민첩합니다. 하지만 기네스북에 기록된 가장 빠른 곤충(호주 잠자리 Austrophlebia costalis, 최고 시속 58km)과 비교했을 때, 파리매의 순간적인 최고 속도가 얼마나 되는지는 명확히 측정된 공식 기록이 없습니다.



파리매(Robber fly) 천적

파리매는 곤충계의 강력한 포식자이지만, 그들 역시 자연 생태계의 먹이 사슬 안에 존재하며 여러 천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리매의 주요 천적:조류 (새): 많은 종류의 새들이 파리매를 잡아먹습니다. 파리매는 비행 속도가 빠르지만, 새들의 뛰어난 시력과 사냥 기술에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호주의 무지개벌잡이새(Rainbow Bee-eater) 같은 종은 파리매를 전문적으로 사냥합니다.

양서류 및 파충류: 개구리, 두꺼비, 도마뱀, 장지뱀 등도 파리매를 잡아먹습니다.

다른 절지동물:거미: 거미줄에 걸린 파리매는 거미의 먹이가 됩니다.

사마귀: 사마귀는 기습에 능하며, 파리매와 비슷한 전투력을 가진 강력한 포식자입니다.

말벌: 장수말벌과 같은 대형 말벌은 파리매를 사냥하기도 합니다. 파리매가 기습에 실패하고 육탄전으로 이어지면 오히려 말벌에게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미: 성충은 개미에게 쉽게 당하지 않지만, 땅속에 있는 애벌레나 번데기는 개미 떼의 습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동족 포식 (식충): 때때로 더 크고 강한 파리매가 동족의 작은 파리매를 사냥하거나, 짝짓기 중인 다른 파리매를 공격하는 동족상잔의 모습도 관찰됩니다.
파리매는 성충뿐만 아니라 알, 애벌레, 번데기 단계에서도 땅속 무당벌레 애벌레, 노래기, 지네, 심지어 두더지 같은 동물들에게 먹히기도 합니다.


파리매(Robber fly) 의 다른 이름들은 ?


파리매(Robber fly)의 다른 이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학술적·영어권 이름

Robber fly (가장 일반적인 영어 이름)
Assassin fly (공격적 사냥 행동을 반영한 이름)
Bee killer (벌을 사냥하는 종이 많아서 붙은 별칭)
Asilid fly (과명 Asilidae에서 유래)


✔ 학명(과명)
Asilidae (파리목(Diptera) 파리과 중 하나)


✔ 한국에서 사용되는 다른 표현
강한 파리 또는 사냥파리 (사냥 습성 때문에 간혹 설명적으로 부르는 말)
맹금파리 (猛禽+파리 →猛禽처럼 공격적이라는 의미, 일부 도감에서 사용)

✔ 일본·중국 등 아시아권 이름
일본: サシグモバエ(刺蜘蛛蠅) 또는 ムシヒキアブ(虫追蝿)



중국: 盗蝇(도영), 虻科昆虫(파리매과 곤충)

파리매의 전체 수명 주기는 종과 환경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년에서 3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기간의 대부분은 땅속이나 썩은 나무 등에서 애벌레(유충) 단계로 보냅니다.
어른벌레(성충)가 된 후의 수명은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성충으로 우화한 파리매는 주로 따뜻한 계절(봄부터 가을)에 활동하며, 짝짓기와 산란을 마친 후 수명이 다합니다. 성충의 정확한 수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종별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며칠에서 몇 주 정도 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육식곤충 파리매(Robber fly)의 종합 정보


#파리매 #サシグモバエ  #虻科昆虫 #육식성곤충 #Robber-fly  #파리매짝짖기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남의 영양소 빨아먹고 사는 기생식물 새삼,Dodde,菟丝子,ネナシカズラ 의 모든것

한국 까마귀(Corvus) – 종류,서식지, 먹이, 습성 정리

벌새같은 검은꼬리 박각시 나방,숙주 및 한살이,생태 ,곤충분류,서식지,유해성

무당거미 (Trichonephila clavata)의 종합 정보

빨간 열매가 예쁜 피라칸타,Pyracantha 알아 보기

겨울 정원의 붉은 보석, 남천(南天)! ,특징/꽃말/약효/문학까지 완벽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