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구골나무는 물푸레나무과 목서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입니다. 이름은 줄기와 가지의 색깔이 개 뼈다귀를 닮았다는 뜻의 한자어 '구골(狗骨)'에서 유래했습니다. 

구골나무는 추위에 비교적 강하고 이식 스트레스가 적으며, 병해충 발생이 적어 관리하기 용이한 편입니다.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 주요 특징

구골나무 잎: 잎은 마주나며, 두껍고 광택이 나는 난형 또는 타원형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어린 가지의 잎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가시 모양의 톱니가 있지만, 성숙한 나무의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잎 모양의 차이 때문에 학명에 '서로 다른 잎'이라는 뜻의 'heterophyllus'가 포함되었습니다.

구골나무 꽃: 10~11월경 잎겨드랑이에서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작은 꽃이 모여 피며, 달콤하고 강한 향기가 납니다. 꽃에서 나는 향기는 속명 'Osmanthus'가 '향기로운 꽃'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했을 정도로 유명합니다.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수꽃과 암꽃의 구조가 다릅니다.



구골나무 열매: 암나무에 열매가 맺히며, 이듬해 4~5월경에 검붉은색 또는 청색을 띤 검은색으로 익습니다.

구골나무 크기 및 자생지: 높이 2~8m 정도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부 해안 지방에서 자생합니다. 일본과 대만 등이 원산지입니다. 

구골나무 용도

조경수: 아름다운 수형과 향기로운 꽃 덕분에 정원이나 길가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호랑가시나무와 잎 모양이 비슷하여 착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구골나무는 잎이 마주나고 호랑가시나무는 어긋나기로 달려 구별됩니다.

약용: 줄기와 가지의 껍질이 뼈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 특징

구골나무 학명: Osmanthus heterophyllus (물푸레나무과 목서속).

구골나무 이름 유래: 이름의 '구골(狗骨)'은 '개 뼈다귀'라는 뜻인데, 이는 줄기나 가지의 색깔이 개의 마른 뼈 색깔과 비슷하거나 구기자나무의 그것과 비슷해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구골나무 : 호랑가시나무와 잎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될 수 있지만, 구골나무는 잎이 마주나기하며 호랑가시나무는 어긋나기합니다. 또한, 이름의 학명 'heterophyllus'처럼 어린나무의 잎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톱니가 발달하지만, 성목이 될수록 점차 밋밋해지거나 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구골나무 : 가을에 잎겨드랑이에서 작고 하얀 꽃이 무리 지어 피며, 달콤하고 강한 향기가 납니다. 속명 Osmanthus는 그리스어로 '향기(osme)'와 '꽃(anthos)'의 합성어로, 강한 꽃향기를 의미합니다.

구골나무 용도: 상록 활엽 관목으로, 밀집된 성장 특성 덕분에 생울타리나 조경용으로 인기가 많으며, 추위에 강한 편입니다



구골나무 생물 분류

Osmanthus heterophyllus  P.S.Green, 1958

분류
계 식물계(Plantae)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쌍떡잎식물군(Eudicots) ➡ 국화군(Asterids) ➡ 꿀풀목(Lamiales)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목서속(Osmanthus) ➡ 구골나무(O. heterophyllus)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 분류 주의

구골나무는 은목서와 같은 속(屬)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종(種)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골나무: 학명은 Osmanthus heterophyllus이고,
ⵔ 은목서: 학명은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또는 Osmanthus fragrans (은목서는 흰 꽃이 피는 품종, 금목서는 노란 꽃이 피는 품종을 일컬음)입니다. 

두 나무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은목서의 변종인 금목서(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와 구골나무를 합쳐서 넓은 의미의 '목서'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가장 큰 차이점.

구분  구골나무  은목서 (및 금목서)

잎 모양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 톱니가 있음 (어릴 때 특히)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잔 톱니가 있음
꽃 색깔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 흰색 (은목서), 노란색/주황색 (금목서)
개화 시기 10~11월 9~10월 (구골나무보다 조금 빠름)


따라서 구골나무 자체가 은목서는 아니며, 같은 목서 종류로 취급되는 친척뻘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 잎에는 가시가 있다 ?

ⵔ 구골나무 잎에는 가시 모양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이것은 구골나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며, 특히 어린 가지나 나무 아래쪽의 잎일수록 이 톱니가 더 뚜렷하고 날카롭습니다. 나무가 성숙해가면서 위쪽이나 오래된 잎은 톱니가 밋밋해지거나 없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구골나무의 학명은 Osmanthus heterophyllus로 명명되었는데, 여기서 'heterophyllus'는 "서로 다른 잎"이라는 뜻으로, 하나의 나무에서 톱니가 있는 잎과 밋밋한 잎이 함께 나타나는 현상을 반영합니다.

 

구골나무의 원산지는 일본과 대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해안 지방에서 주로 심어 기르거나 자생하고 있지만, 본래 자생지는 일본 중부 및 남부(혼슈, 규슈, 시코쿠, 류큐 제도 포함)와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입니다. 

구골나무 이명

구골나무의 주요 이명(다른 이름). 



ⵔ 개뼈다귀나무: '구골(狗骨)'이라는 한자 이름이 '개 뼈다귀'라는 뜻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 풀이하여 불리는 이름입니다.
ⵔ 뿔잎목서: 구골나무 잎의 가장자리에 있는 날카로운 가시 모양의 톱니(뿔) 때문에 일부에서 이명으로 부르는 이름입니다. 
ⵔ 한자 이름인 구골(枸骨 또는 狗骨)로도 불립니다. 
또한, 구골나무는 잎 모양이 호랑가시나무와 비슷하여 종종 혼동되지만, 분류학적으로는 엄연히 다른 나무입니다. 

ⵔ 천리향(千里香)이나 만리향(萬里香):꽃 향이 원낙 강해서 먼 거리에서도 구골나무 꽃이 핀 것을 알 수있을 만큼 은은하게 날아 오는데서 연유한 이름입니다.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의 용도 및 약용 정보

1. 주요 용도

ⵔ 조경수/관상수: 아름다운 광택이 나는 잎과 향기로운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 꽃이 피는 덕분에 정원수, 공원수, 울타리용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ⵔ 분재 소재: 특유의 수형과 잎 모양 덕분에 분재 소재로도 활용됩니다. 

2. 약용 정보 (한의학)

ⵔ 구골나무의 가지, 잎, 나무껍질은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생약명은 향목균계(香木菌桂)입니다. 

ⵔ 효능: 간(肝)과 신장(腎)을 보하고,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는 보간신(補肝腎), 강요슬(強腰膝) 효능이 있습니다. 또한, 종기나 피부 질환에 바르는 외용제로 사용되거나, 백일해 치료에도 이용됩니다.

ⵔ 복용법: 말린 잎이나 가지를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서 먹기도 합니다. 외용 시에는 적당량을 짓찧어 환부에 붙입니다.

ⵔ 주의사항: 구골나무는 당뇨와 암, 신장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약용보다는 관상수로 재배되며 약용 시에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골나무 개화기와 꽃말

ⵔ 개화기:구골나무의 꽃은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에 핍니다. 
ⵔ 시기: 주로 11월에서 12월 사이에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작은 꽃이 핍니다.
ⵔ 특징: 꽃이 귀한 시기에 피어나며, 달콤하고 강한 향기가 멀리까지 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향기 덕분에 '향기가 천리 또는 만리를 간다'고 하여 예로부터 귀하게 여겨졌습니다. 

ⵔ 꽃말:구골나무의 꽃말은 보호와 용의(用意)입니다. 
용의(用意)는 본래 '준비한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잎의 날카로운 가시 모양 톱니 때문에 조심 또는 주의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동의보감 원문과 해석

동의보감에는 구골나무(Osmanthus heterophyllus)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수록되어 있지 않거나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구골나무의 한자명인 구골(枸骨)은 동의보감 용어사전 등에서 호랑가시나무의 열매를 가리키는 이명으로 언급될 때가 있습니다. 이는 두 나무의 잎 모양이 비슷하여 혼용되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호랑가시나무(구골엽)에 대한 내용은 의서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내용은 구골나무가 아닌 호랑가시나무에 대한 정보일 수 있습니다. 

원문 (추정): (정확한 동의보감 원문 구절은 검색 결과에서 직접적으로 제공되지 않음)

해석: 주로 해수(咳嗽, 기침), 객혈(喀血, 피를 토함), 두훈목현(頭暈目眩, 어지럼증), 요슬산연(腰膝酸軟, 허리와 무릎의 시큰거림), 풍습비통(風濕痺痛, 풍습으로 인한 통증) 등의 치료에 이용됩니다



한의학에서 향목균계(香木菌桂)는 구골나무(Osmanthus heterophyllus)의 가지, 잎, 나무껍질을 이르는 생약명입니다.
동의보감에는 향목균계라는 이름으로 직접적인 원문 구절이 수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른 한의학 서적이나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능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향목균계(香木菌桂)의 효능 및 정보기원: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구골나무의 줄기껍질, 잔가지, 잎을 약재로 사용합니다.

ⵔ 성미 (성질과 맛): 성질은 서늘하고(凉), 맛은 약간 씁니다(微苦).
ⵔ 효능: 주로 다음의 증상에 사용됩니다.보간신(補肝腎): 간(肝)과 신장(腎)의 기능을 보(補)합니다.
ⵔ 강요슬(強腰膝):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합니다.
ⵔ 옹저(癰疽) 및 종독(腫毒) 치료: 각종 종기나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ⵔ 풍습비통(風濕痺痛): 풍(風)과 습(濕)으로 인한 저림이나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ⵔ 백일해: 민간에서 백일해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참고 사항

동의보감 내 혼용: 동의보감에서 구골(枸骨)이라는 용어는 종종 호랑가시나무 열매의 이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구골나무와 호랑가시나무가 혼동되기도 합니다.

ⵔ 사용 시 주의: 약용 식물은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사용해야 하며, 임의로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은 건강에 해가 될 수 있습니다.

구골나무 자체에 대한 널리 알려진 특별한 한국 전설이나 설화는 찾기 어렵지만, 구골나무의 특징이나 이름과 관련된 몇 가지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구골나무,자구골 (樆拘骨),Holly Olive,ヒイラギ 종합정보


1. 이름에 얽힌 이야기 -개 뼈다귀나무

구골나무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바로 이름의 유래입니다.

ⵔ 내용: 구골나무의 한자 이름인 '구골(狗骨)'은 글자 그대로 '개 뼈다귀'라는 뜻입니다. 이는 나무의 줄기나 가지의 색깔과 모습이 오래된 개 뼈다귀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름 자체는 투박하지만, 이 나무에서 나는 꽃향기는 이름과 달리 매우 상큼하고 달콤하여 '명품 나무'로 불리기도 합니다.


2. 일본의 문화적 상징 (귀신 쫓는 나무)

구골나무는 일본에서 '히이라기(ヒイラギ)'라고 불리며 문화적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중 하나입니다.

ⵔ 내용: 일본의 전통적인 겨울 행사 중 하나인 세쓰분(節分) 때 구골나무의 잎과 콩을 사용하여 악귀를 쫓아내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는 구골나무 잎의 날카로운 가시가 악귀나 잡귀가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배경은 구골나무의 꽃말인 '보호'와 '용의(주의/조심)'와도 연결됩니다.

3. 꽃향기에 얽힌 이야기 - 천리향

구골나무는 아니지만, 같은 목서속(Osmanthus) 식물인 금목서나 은목서에는 향기에 얽힌 이야기가 있습니다. 구골나무 역시 향기가 매우 강하여 이와 유사한 이야기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ⵔ 내용: 목서 종류의 꽃향기는 너무 진하고 좋아서 그 향기가 천 리 또는 만 리까지 간다고 하여 천리향(千里香)이나 만리향(萬里香)이라는 별칭으로 불렸습니다.

이처럼 구골나무는 이름의 독특함과 잎의 방어적인 특징, 그리고 향기로운 꽃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구골나무  #구골나무 꽃말 #원산지 #천리향 #구골나무효능 #구골나무약성 #구골나무이명 #구골나무개화시기 #구골나무용도 #늦가을꽃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노랑무당벌레 ,황표충(黃瓢蟲),Yellow lady beetle,キイロテントウ

한국 까마귀(Corvus) – 종류,서식지, 먹이, 습성 정리

고추잠자리(Crocothemis servilia) 종합 정보

동래엉겅퀴'(Cirsium toraiense) 東萊薊 ,식물 종합 정보

길앞잡이 반묘(虎甲),호갑(虎甲) Tiger beetle

꼬리풀 블루,Veronicastrum sibiricum,미수초(尾穗草)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