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좋은 약초 당귀(當歸) ,여성을 위한 성약(聖藥)
당귀(Angelica sinensis, 中國當歸) 총 정리
초가을 산야에 멀리서도 하얀 우산처럼 생긴 꽃이 피어있어 가까이 가 보곤하는데 당귀 곷은 특별한 모습으로 풀숲에 피어있어서 금방 알 수있습니다.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이름 유래
당귀는 한약명으로 많이 알려진 식물로서 먼저 그 이름을 먼저 알아보면 쉽게 이해가 되는 식물입니다.
그리고 당귀는 당귀(Angelica sinensis)인데 중국당귀(中國當歸)를 의미 합니다.한국산 당귀는 구별되게 따로 참당귀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당귀와는 비슷하지만 다른 식물입니다.
그리고 당귀는 당귀(Angelica sinensis)인데 중국당귀(中國當歸)를 의미 합니다.한국산 당귀는 구별되게 따로 참당귀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당귀와는 비슷하지만 다른 식물입니다.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한자 풀이
當(마땅할 당) + 歸(돌아올 귀)
→ “마땅히 돌아온다”는 의미입니다.
한의학적 해석
옛사람들은 당귀가 혈액을 보충하고 자궁·경맥을 조화롭게 하여 여성의 생리와 건강을 정상으로 되돌린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병든 몸이 제자리에 돌아오게 한다”는 뜻에서 當歸라 불렀습니다.
특히 산후에 허약하거나, 월경이 불순한 여성이 당귀를 복용하면 원래 자리(본래 건강)로 돌아온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민간 해석
옛 중국 의서에는, 부부가 불임이었는데 여인이 당귀를 복용하고 임신하여 집안으로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어, “여성을 마땅히 집으로 돌아오게 한다”는 의미도 덧붙여졌습니다.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문헌 기록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는 당귀가 보혈과 조경(調經)의 요약(要藥)으로 언급되어, 이름의 의미와 같습니다.
본초강목에서도 당귀를 “보혈·활혈의 중요한 약, 특히 부인에게 요약”이라고 강조하여, 이름의 뜻을 뒷받침합니다.
※ 정리하면, “당귀”란 이름은 ‘몸과 혈을 바로잡아 원래의 건강한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약초’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 |
당귀(Angelica sinensis, 中國當歸) 총 정리 |
당귀 개요,식물정보,이명,원산지,분포지역,식물용도,꽃말,식물특징,약용성분 효능,한약재 이름,동의보감 원문+해석,본초강목 원문+ 해석, 서양 서식및 영어이름등을 차례로 기술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당귀(Angelica sinensis, 中國當歸)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참당귀는 한국 토종, 당귀는 중국 원산이라는 점을 기억하며.)
(참당귀는 한국 토종, 당귀는 중국 원산이라는 점을 기억하며.)
당귀(當歸, Angelica sinensis) 개요
당귀(當歸, Angelica sinensis)는 미나리과(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입니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뿌리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전통 한의학에서 대표적인 보혈약(補血藥)으로, 여성 질환 치료에 가장 많이 쓰이는 약초 중 하나입니다.당귀(當歸, Angelica sinensis)식물정보
학명: Angelica sinensis (Oliv.) Diels과명: 미나리과(Apiaceae)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약 1~2m
잎: 2~3회 깃꼴겹잎
꽃: 7~8월 개화, 흰색 또는 연한 황색, 산형화서
당귀 Angelica 생물 분류
학명:Angelica gigas Nakai, 1917
분류
식물계(Plantae)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 미나리목(Apiales) ⇨ 미나리과(Apiaceae) ⇨ 당귀속(Angelica) ⇨ 당귀(A. gigas)
![]() |
향기좋은 약초 당귀(當歸) ,여성을 위한 성약(聖藥) |
당귀 Angelica 이명
한자명: 當歸
한국명: 당귀
일본명: トウキ (Tōki)
중국명: 當歸 (Dāngguī)
한약재명: 당귀(當歸根)
분포지역 : 중국 전역의 고산지대에서 주로 재배
한국, 일본에서도 일부 재배되지만, 약효가 뛰어난 것은 중국 당귀로 알려짐
식물 용도 : 약용: 뿌리를 건조해 당귀로 사용
식용: 소량을 국물이나 약선 요리에 첨가
기타: 허브차, 건강보조식품 원료
"치유"
"건강 회복"
향기가 강한 방향성 식물
뿌리가 굵고 황갈색, 절단면은 방사상 무늬가 뚜렷함
서늘한 기후와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람
한국명: 당귀
일본명: トウキ (Tōki)
중국명: 當歸 (Dāngguī)
한약재명: 당귀(當歸根)
당귀 Angelica 원산지
중국 서북부(감숙성, 사천성, 운남성 등 고산지대)분포지역 : 중국 전역의 고산지대에서 주로 재배
한국, 일본에서도 일부 재배되지만, 약효가 뛰어난 것은 중국 당귀로 알려짐
식물 용도 : 약용: 뿌리를 건조해 당귀로 사용
식용: 소량을 국물이나 약선 요리에 첨가
기타: 허브차, 건강보조식품 원료
당귀 Angelica 꽃말
"헌신""치유"
"건강 회복"
당귀 Angelica 식물 특징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곧게 자람향기가 강한 방향성 식물
뿌리가 굵고 황갈색, 절단면은 방사상 무늬가 뚜렷함
서늘한 기후와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람
당귀 Angelica 약용성분 및 효능
주요 성분: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페룰산(ferulic acid), 쿠마린(coumarin), 정유(essential oils)
효능: 보혈(補血), 빈혈 개선,혈액순환 촉진
자궁근 이완 → 월경통 완화, 생리불순 개선,진통, 진경 작용,변비 개선 (장 점막 윤활 작용)
효능: 보혈(補血), 빈혈 개선,혈액순환 촉진
자궁근 이완 → 월경통 완화, 생리불순 개선,진통, 진경 작용,변비 개선 (장 점막 윤활 작용)
![]() |
향기좋은 나물 당귀(當歸) ,여성을 위한 성약(聖藥) |
당귀 Angelica 한약재 이름
當歸(당귀)
약용부위: 뿌리
한의학 분류: 보혈약(補血藥)
활용: 탕제, 환제, 산제 등에 널리 사용
약용부위: 뿌리
한의학 분류: 보혈약(補血藥)
활용: 탕제, 환제, 산제 등에 널리 사용
당귀 Angelica 동의보감 원문 + 해석
원문 (탕액편):
當歸味甘溫, 無毒. 主治心腹邪氣, 除寒熱, 補五臟, 與芎藭相須爲用, 能治婦人血病.
當歸味甘溫, 無毒. 主治心腹邪氣, 除寒熱, 補五臟, 與芎藭相須爲用, 能治婦人血病.
해석:
당귀는 맛이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 심복(心腹)의 사기를 제거하고 한열을 없애며, 오장을 보한다. 천궁(川芎)과 함께 쓰면 효과가 배가되고, 여성의 혈병(혈액 관련 질환)을 치료한다.
당귀 Angelica 본초강목 원문 + 해석
원문
當歸, 補血活血之要藥也. 調經止痛, 潤腸通便, 治諸血證, 尤爲婦人要藥.
當歸, 補血活血之要藥也. 調經止痛, 潤腸通便, 治諸血證, 尤爲婦人要藥.
해석
당귀는 보혈과 활혈의 중요한 약이다. 경혈을 조절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장을 윤택하게 하여 변을 잘 보게 한다. 모든 혈증을 치료하는데, 특히 여성에게 필수적인 약이다.
당귀는 보혈과 활혈의 중요한 약이다. 경혈을 조절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장을 윤택하게 하여 변을 잘 보게 한다. 모든 혈증을 치료하는데, 특히 여성에게 필수적인 약이다.
당귀 Angelica 서양 서식 및 영어 이름
영어명: Dong Quai, Female Ginseng, Chinese Angelica
학명: Angelica sinensis
서식: 중국 고산지대, 냉량한 기후와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람
서양에서의 활용: 건강보조식품, 여성용 허브 보충제, 차(tea) 형태로 유통
학명: Angelica sinensis
서식: 중국 고산지대, 냉량한 기후와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람
서양에서의 활용: 건강보조식품, 여성용 허브 보충제, 차(tea) 형태로 유통
※ 정리하면, 당귀(中國當歸)는 중국 원산의 약재로, 여성 건강의 대표 약초이며 보혈·활혈 작용이 뛰어난 식물입니다.
참당귀는 한국 토종이라 "한국당귀"라 부르고, 자주색 꽃이 특징입니다.
중국 당귀는 전통적으로 “진짜 당귀”로 취급되어 한약재 표준으로 널리 쓰이며, 서양에서는 Dong Quai라는 이름으로 여성 건강 보충제로 유명합니다.
참당귀는 한국 토종이라 "한국당귀"라 부르고, 자주색 꽃이 특징입니다.
중국 당귀는 전통적으로 “진짜 당귀”로 취급되어 한약재 표준으로 널리 쓰이며, 서양에서는 Dong Quai라는 이름으로 여성 건강 보충제로 유명합니다.
![]() |
향기좋은 나물 당귀(當歸) 꽃 ,여성을 위한 성약(聖藥) |
참당귀(韓當歸) vs 당귀(中國當歸) 비교
구분 | 참당귀 (Angelica gigas) | 중국 당귀 (Angelica sinensis) |
---|---|---|
원산지 | 한국 (토종 식물) | 중국 (감숙성, 사천성, 운남성 등) |
학명 | Angelica gigas Nakai |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
이명 | 토당귀, 한국당귀, 眞當歸 | 중국당귀, 당귀, Dong Quai |
분포지역 | 한국 전역 산지, 일본 일부 | 중국 전역, 고산지대 |
형태 | 키 1~2m, 자주색 꽃 | 키 1~2m, 흰색·연황색 꽃 |
뿌리 특징 | 굵고 향 강함, 절단면 방사무늬 | 황갈색, 방향 강함, 절단면 뚜렷 |
약재명 | 당귀(韓當歸) | 당귀(中國當歸) |
성분 |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엔젤레이트, 쿠마린류 | 리구스틸라이드, 페룰산, 정유 성분, 쿠마린류 |
주요 효능 | 보혈, 진통, 혈액순환 개선, 여성 질환 완화 | 보혈, 활혈, 월경조절, 진통, 변비 개선 |
꽃말 | 치유, 건강, 헌신 | 치유, 헌신, 건강 회복 |
한의학 기록 | 동의보감에 “婦人血病 치료” 기록 | 본초강목에 “보혈·활혈의 요약, 부인에게 필수” 기록 |
서양명 | Korean Angelica, Giant Angelica | Dong Quai, Female Ginseng, Chinese Angelica |
활용 | 한약재, 건강식품, 관상용 | 한약재, 건강식품, 허브차, 여성 보충제 |
![]() | |
|
#당귀 #참당귀 #중국당귀 #한국당귀 #당귀효능 #당귀꽃 #참당귀꽃 #당귀동의보감 #당귀본초강목 #동의보감당귀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