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라칸다,불가시나무,Pyracantha, 火棘 정보
요새 길가 울타리나 공원수를 보면 열매가 바글바글 엄청나게 열려서 노랗게 익어가는 나무가있는데 이 열매가 익으면 아주 발간 색깔로 예쁘게 보입니다. 피라칸다인데 피라칸다(Pyracantha)는 정원수나 울타리 용으로 많이 심는 관목입니다. 아래에 식물 정보를 정리합니다.
피라칸다(Pyracantha) 개요
원산지: 유럽·서아시아·중국
특징:상록성 또는 반상록성 관목으로, 줄기에 날카로운 가시가 많고 열매가 불처럼 붉게 익기 때문에 Firethorn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원 울타리, 공원 조경, 관상수로 많이 심습니다.
![]() |
피라칸다,불가시나무,Pyracantha, 火棘 |
피라칸다 (Pyracantha) 식물 정보
학명 Pyracantha spp. (장미과 Rosaceae)
생물 분류계: 식물계 ➡ 관다발식물 ➡ 속씨식물 ➡ 진정쌍떡잎식물 ➡ 장미목 ➡ 장미과 ➡ 피라칸타속 ➡ 피라칸타
학명 : Pyracantha angustifolia
주로 재배되는 종: Pyracantha coccinea (스칼렛 파이어쏜)
한국 이름
피라칸다 ,피라칸사,불가시나무,가시덩굴
영어 이름: Firethorn (불가시나무, 가시덩굴)
피라칸다(Pyracantha) 이명 정리
학명 및 분류속명: Pyracantha
대표종:
Pyracantha coccinea (스칼렛 피라칸다)
Pyracantha angustifolia (좁은잎 피라칸다)
Pyracantha crenatoserrata (중국 피라칸다)
원예·유통 이름
피라칸사 – 원예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변형 이름 (특히 1970~80년대 국내 조경 교재)피라칸서스 – 영어 발음에 더 가까운 표기 (pyracantha → 파이러캔서)
사철산사 – 일본명 직역을 그대로 쓴 경우
공식 국명: 피라칸다
변형 이명: 피라칸사, 피라칸서스, 사철산사
한자명: 火棘 (화극)
영명: Firethorn
피라칸다(Pyracantha)형태적 특징
키: 2~4m 정도 자라는 직립형 관목
잎: 난형(타원형), 가장자리가 약간 톱니 모양
꽃: 5~6월에 흰색 작은 꽃이 산형꽃차례로 다수 핌
열매: 9~12월 붉은색·주황색·노란색 열매가 많이 달려 관상 가치가 높음
내한성: 강함.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아 상록 울타리로 적합
피라칸다(Pyracantha) 생육 환경
햇빛: 양지 → 햇빛을 좋아해야 꽃과 열매가 많이 달림
관리: 가지치기를 잘하면 울타리 모양 유지 가능
내병성: 비교적 강하지만 통풍이 안 되면 깍지벌레, 진딧물 피해 가능
피라칸다(Pyracantha) 용도
공원·정원 관상용 (열매 관상 가치)
새들의 먹이 제공 (겨울철에도 열매 유지)
![]() |
피라칸다,불가시나무,Pyracantha, 火棘 |
피라칸다(Pyracantha) 약용·기타 정보
열매는 조류가 먹지만 사람은 생으로 잘 먹지 않음 (떫고 약간 독성 있음)
일부 전통에서 열매를 말려 관상용 리스, 크리스마스 장식 등에 활용
피라칸다(Pyracantha) 분포지역
현재 전 세계 온대지역에서 조경용으로 널리 식재
원하시면 열매 사진이나 울타리로 심었을 때의 모습, 또는 가지치기 방법까지 시각 자료로 만들어 드릴까요? (16:9 이미지 가능)
피라칸다(Pyracantha) 한국 도입시기
아파트 단지, 학교 담장, 공원 경계식물로 많이 심어졌으며 1980년대에는 전국적으로 흔한 울타리 식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피라칸다 종별 비교
1️⃣ 스칼렛 피라칸다 (Pyracantha coccinea)
원산지: 유럽·서아시아
특징: 가장 오래 알려지고 널리 재배되는 대표종. 키 약 3m까지 자라며 내한성이 강해 한국 전역에서 잘 자람.
열매: 선명한 붉은색
한국 식재 현황: 전국적으로 울타리, 학교 담장, 공원 조경용으로 가장 많이 심는 종
원산지: 중국 중남부
특징: 잎이 비교적 크고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이 뚜렷함. 열매가 풍성하게 달려 관상 가치가 높음.
열매: 붉거나 주황색
한국 식재 현황: 일부 조경수원에서 판매하지만 스칼렛 종보다 흔하지 않음
원산지: 중국 서남부
특징: 잎이 가늘고 길어 이름처럼 ‘좁은잎’. 내한성이 상대적으로 약해 추운 지방에는 잘 심지 않음.
열매: 주황~황색
한국 식재 현황: 남부 지역, 온난한 곳에서 제한적으로 식재
특징: 원예 품종으로 개발된 노란 열매 피라칸다. 겨울철에도 열매가 오래 남아 포인트 조경용으로 인기 있음.
열매: 밝은 노란색
한국 식재 현황: 최근 아파트 단지, 공원 등에서 포인트 식재로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
특징: 관상용으로 개량된 품종. 열매가 주황빛으로 매우 화려함.
열매: 선명한 주황색
한국 식재 현황: 주로 정원이나 조경 디자인에서 소량 포인트로 활용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가장 흔히 보는 울타리 피라칸다는 스칼렛 피라칸다이고, 노란·주황 품종은 최근 들어 포인트 식재나 관상용으로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 |
피라칸다,불가시나무,Pyracantha, 火棘 |
한국 이름 (어원)
한국 이름: 피라칸다 (피라칸사라고도 부름)
이름은 학명 Pyracantha에서 온 음역어입니다.
Pyra- → 불(火, Fire) -acantha → 가시(Thorn)
합쳐서 "불 같은 가시"라는 뜻
영어 이름 Firethorn을 그대로 한자어로 번역하면 화가시(火刺) 정도로 쓸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잘 쓰이지 않고 음차 이름 "피라칸다"가 일반적으로 정착했습니다.
일부 정원수 전문 서적에서는 “피라칸사(피라칸사)”로 부르기도 하지만, 국립수목원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피라칸다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한국 이름: 학명 음차 ‘피라칸다’ (국가표준식물목록 공식명), 변형으로 ‘피라칸사’도 사용
약용성분 ,약용부위,효능
피라칸다는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지만, 해외(중국·유럽)에서는 일부 약용 기록이 있습니다.
피라칸다(Pyracantha) 약용 정보
약용 부위: 열매 – 가장 많이 활용
잎·뿌리 – 일부 민간에서 사용 기록 있음 (드물고 현대에 거의 쓰이지 않음)
주요 성분
플라보노이드 (quercetin, rutin 등) → 항산화 작용
사포닌 → 면역 조절, 이뇨작용 가능
유기산 (사과산, 구연산) → 소화 도움
비타민 C → 면역 강화
폴리페놀류 → 항염·항균 작용
약용 효능 (전통적·민간 기록)
소화 개선 – 위를 따뜻하게 하고 식체(음식이 안 내려감)를 풀어줌
기침 완화 – 가벼운 해수(咳嗽) 진정
이뇨·해독 – 열매 달임물을 이뇨제로 사용
혈액순환 촉진 – 혈액 정체(어혈) 개선
항균 작용 – 외상 세척용으로 사용된 기록 있음
⚠️ 주의점
민간요법에서는 반드시 열매를 완전히 익힌 후 건조하거나 달여서 사용
임산부, 어린이, 위장 약한 사람은 복용 자제
참고 문헌
본초강목(本草綱目拾遺)》: 피라칸다 열매는 "消食, 理氣, 解熱" (소화 촉진, 기 순환, 열 제거)
즉, 피라칸다는 식용·약용이 가능하지만 어디까지나 보조적이고, 현대 의학에서는 거의 활용하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는 약재로 거의 쓰이지 않고 관상 가치가 주목적입니다.
![]() |
피라칸다,불가시나무,Pyracantha, 火棘 |
피라칸다와 조류 먹이 관계를 알아 봅니다.
열매 시기: 가을~겨울
특징: 작고 단단한 열매가 가지에 빽빽하게 달리고, 눈·서리에도 잘 떨어지지 않음 → 겨울철에도 남아 있음
먹는 새들:참새류, 직박구리, 딱새, 멧비둘기, 멧새, 박새, 때까치 등
겨울에 먹이가 부족할 때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
일부 철새들도 먹고 지나감
겨울철 조류 먹이식물로 활용 → 도심, 공원, 학교 주변에 심어두면 새들이 찾아옴
가시가 많아 작은 새들이 몸을 숨기고 쉬기 좋은 장소가 됨 (포식자 회피용)
조경 설계에서 야생조류 유인 식재로 권장됨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