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의 모든것
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 식물 정보
고마리의 식물 개요(설명), 원산지 ,분포지역,생태게 역활,식물정보,꽃말,이름유래,용도,약용성분 효능,동의보감과 본초강목의 언급 내용과 해석등을 자세히 알아 봅니다.
고마리(Polygonum hydropiper, Persicaria hydropiper, 여뀌과)식물 개요.
고마리는 여뀌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습지나 냇가, 논두렁 등 물가에서 자라는 잡초성 식물입니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옆으로 눕고,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기도 합니다. 전체적으로 매운 향과 톡 쏘는 맛이 있어 옛날부터 약용과 향신에 사용되었습니다.
늦은 여름철 습지 부근에 하얀 소금을 뿌린듯이 품숲에 꽃이 피는데 아주 작은 꽃 봉오리들이 모여 피는 모습이 상당히 예쁜 꽃으로 보입니다.
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 식물 정보 |
고마리 원산지
고마리는 아시아가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중국·일본을 비롯해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분포합니다.고마리 분포 지역
한국 전역의 습지, 냇가, 논두렁, 밭 주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대만, 러시아(동시베리아), 인도 북부, 인도차이나 북부, 일본, 중국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동시베리아), 인도 북부, 인도차이나 북부
고마리의 생태적 역할
습지 환경에서 토양 침식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곤충(특히 벌과 나비)의 꿀 공급원이 되며, 작은 수생 곤충들의 서식 공간 역할도 합니다.
잡초로서 농업에는 불편을 주지만, 생태적으로는 생물 다양성 유지에 기여합니다.
고마리 식물 정보
학명: Polygonum hydropiper L. (동의어 Persicaria hydropiper)
속명: Polygonum/Persicaria는 ‘많은 마디’를 뜻함.
형태: 높이 30~80cm, 줄기는 붉은빛을 띠며 가지가 갈라짐.
잎: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 표면에 검은 반점이 있음.
꽃: 여름~가을에 흰색~연분홍색의 작은 꽃이 촘촘히 달림.
속명: Polygonum/Persicaria는 ‘많은 마디’를 뜻함.
형태: 높이 30~80cm, 줄기는 붉은빛을 띠며 가지가 갈라짐.
잎: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 표면에 검은 반점이 있음.
꽃: 여름~가을에 흰색~연분홍색의 작은 꽃이 촘촘히 달림.
고마리 생물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군 ⇒ 진정쌍떡잎식물군 ⇒ 석죽목 ⇒ 마디풀과 ⇒ 여뀌속 ⇒ 고마리
학명: Persicaria thunbergii
고마리 꽃말
고마리의 꽃말: ‘애틋한 사랑’, ‘사랑의 맹세’.이는 습지나 물가에 뿌리를 깊이 내리고 잘 뽑히지 않는 생태적 특징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고마리 이름 유래
‘고마리’라는 이름은 매운맛 때문에 “입에 넣으면 고마워도 바로 뱉는다”는 의미라는 설이 있습니다.
또는 “곰이 즐겨 먹는다” 하여 ‘곰마리’에서 변형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학명 hydropiper는 ‘물가의 후추(매운풀)’라는 뜻입니다.
또는 “곰이 즐겨 먹는다” 하여 ‘곰마리’에서 변형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학명 hydropiper는 ‘물가의 후추(매운풀)’라는 뜻입니다.
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 식물 정보 |
고마리 용도
예전에는 매운맛 때문에 양념 대용으로 쓰이기도 했습니다.민간에서는 벌레 퇴치제로 이용했으며, 풀즙을 내어 피부 질환에 바르기도 했습니다.
가축 사료로는 적합하지 않은데, 매운 성분 때문에 소나 말같은 가축들이 먹지 않습니다.
고마리 약용 성분 및 효능
주요 성분: 플라보노이드, 정유 성분, 탄닌, 페놀류.
성질이 매우 맵고 따뜻하여 전통적으로 해독, 소염, 지혈, 이뇨에 쓰였습니다.
민간에서는 뱀에 물렸을 때 찧어 붙이거나,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성질이 매우 맵고 따뜻하여 전통적으로 해독, 소염, 지혈, 이뇨에 쓰였습니다.
민간에서는 뱀에 물렸을 때 찧어 붙이거나,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고마리 동의보감 언급
동의보감의 잡병편에 고마리(‘여뀌’, ‘수여뀌’로도 불림)에 대한 기록이 나옵니다.
원문
蓼(요, 고마리) 性辛熱無毒 治瘡腫癰毒 蛇蟲咬傷 搗敷之
이뇨 작용이 있고, 냉기를 몰아내며, 해독하여 종기를 치료한다고 기록.
蓼(요, 고마리) 性辛熱無毒 治瘡腫癰毒 蛇蟲咬傷 搗敷之
이뇨 작용이 있고, 냉기를 몰아내며, 해독하여 종기를 치료한다고 기록.
해석
고마리(蓼)는 맛이 매우고 성질이 따뜻하며 독이 없다. 종기와 부스럼, 독이 있는 염증,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 데 쓰이며, 찧어서 붙이면 효험이 있다.
고마리의 이명(異名)
학술적 이명
Polygonum thunbergii Siebold & Zucc.
Polygonum sieboldii Miq.
Persicaria sieboldii (Miq.) H. Gross
고마리의 국내에서 불린 이름
고마리풀
개미자리풀(일부 지역 방언)
물고마리(습지 자생종 지칭)
고마리의 한자 표기
高麻里 (고마리, 한자 차용 표기)
苦麻里 (쓴맛을 내는 풀이라는 의미로 기록된 경우 있음)
고마리의 영문명
Creeping smartweed
Thunberg’s smartweed
고마리의 일본명
ミゾソバ (Mizosoba) – “도랑(溝) 메밀”이라는 뜻
민간요법과 한방 약재 이름
약명(藥名): 苦麻菜=고마채, 水蓼=수료
이명: 水荭草=수홍초, 水蓼草=수료초
한방에서의 성질과 효능
성질: 차고(寒), 맛은 쓰다(苦)
귀경: 간(肝), 비(脾), 위(胃)
효능:
해열(熱을 내림)
이뇨(소변 잘 나오게 함)
해독(解毒)
지혈(止血) – 출혈성 질환에 응용
활용 부위: 전초(온포기)
동의보감 원문 (탕액편, 초부 水蓼條)
水蓼, 性寒無毒. 解熱消腫
여기서 말하는 水蓼(수료)가 바로 오늘날의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에 해당합니다.
즉 동의보감에서는 고마리를 약재로 기록하면서 해열,소종(消腫) 함.
→ 해열과 해독, 염증 완화의 효능이 있다고 설명한 것입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 고마리(수료, 水蓼)
본초강目(本草綱目) 원문 (권24, 草部, 蓼類 中 水蓼條)
水蓼,味苦,性寒,無毒。治熱腫惡瘡,利小便,解毒。
번역
수료(水蓼)는 맛이 쓰고(味苦), 성질은 차며(性寒), 독이 없다(無毒).
열로 인한 종기와 악창(惡瘡)을 치료한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利小便), 해독(解毒)한다.
해설
본초강목 에서도 수료(水蓼) = 고마리로 기록되어 있으며,
동의보감과 마찬가지로 해열·소종(消腫)·해독 작용이 강조됨
여기에 이뇨 효능(利小便)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음
즉, 고마리는 한방에서 해열,해독,소종,이뇨 약재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마리 전체 정리
고마리는 우리 주변 습지에서 흔히 보이는 잡초 풀인데, 예부터 해독,지혈,피부 질환 치료에 쓰였던 약초이기도 합니다. 생태적으로는 습지 환경을 지탱하는 풀이고, 매운 향 때문에 ‘물 후추(수후추, water pepper)’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향신료이기도 합니다.
고마리 원산지에 대한 추기
학술적 관점: 과학자가 보는 원산지
고마리를 한국 원산지로 표기하는 곳을 보는데 이는 고유 원산지라기 보다 포괄적 포함된 원산지로 이해 하는것이 타당하며,식물학적,지리학적 권위 자료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점이 더 많이 받아들여집니다
인지도 높은 기록
Kew의 POWO (Plants of the World Online)는 고마리의 원산 분포(native range) 를 “북서 아프리카 (Northwest Africa), 온대 유라시아 (Temperate Eurasia) ~ 서말레이시아 및 중앙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Kew의 POWO (Plants of the World Online)는 고마리의 원산 분포(native range) 를 “북서 아프리카 (Northwest Africa), 온대 유라시아 (Temperate Eurasia) ~ 서말레이시아 및 중앙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한국뿐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을 원산 범위에 포함합니다. POWO
다른 자료에서는 고마리는 “온대 유라시아(Eurasia)” 및 아프리카 일부 지역이 원산지로 간주되며, 이후 여러 지역으로 확산된 식물로 취급합니다. 예: Polygonum hydropiper의 원산지로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를 제시하는 자료들이 있습니다. invasions.si.edu+1
GoBotany 같은 식물원 또는 식물 데이터베이스는 고마리를 “유럽 원산(native to Europe)”으로 보고, 다른 대륙에는 퍼져간 종(introduced 또는 naturalized)으로 분류합니다. Go Botany
이처럼, 과학자·식물지리학자들은 전 세계 여러 지역을 아우르는 넓은 원산 범위를 인정하는 쪽이 더 객관적이라는 입장이 일반적입니다.
#약용식물, #고마리, #ミゾソバ, #Creeping-smartweed #여뀌과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