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카본(Blue Carbon)이 뭐길래? 세계 생태계 탄소 저장고 TOP 5

블루카본(Blue Carbon) 해양 저장고 탁월한 능력 !


블루카본(Blue Carbon)은 연안과 해양 생태계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를 흡수하고 퇴적층에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탄소를 말합니다. 육상의 산림 탄소흡수원 즉 그린카본과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최근 해양에서 이뤄지는 탄소 격리의 탁월한 능력이 밝혀지고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블루카본(Blue Carbon)은 맹그로브 숲, 염생습지, 해초류 등 해양 및 연안 생태계가 흡수하여 저장하는 탄소를 의미합니다. 육상 식물(그린카본)보다 단위 면적당 탄소 흡수 효율이 훨씬 높아,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시대의 중요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블루카본(Blue Carbon),맹그로브숲(Mangrove Forest),염습지(Salt Marsh),잘피밭(Seagrass Meadow),조하대갯벌(Tidal Mudflat),해조류숲(Kelp Forest)
블루카본(Blue Carbon),맹그로브숲(Mangrove Forest),염습지(Salt Marsh),잘피밭(Seagrass Meadow),조하대갯벌(Tidal Mudflat),해조류숲(Kelp Forest)


블루카본(Blue Carbon) 개요

정의: 연안·해양 생태계(갯벌, 염습지, 잘피밭, 맹그로브 숲 등)가 광합성을 통해 흡수한 탄소를 식물체·퇴적토에 수십~수천 년간 저장한 것

의의:지구 전체 탄소 격리의 약 50%를 해양이 담당
블루카본 생태계는 면적은 작지만 단위 면적당 탄소 저장량은 열대우림보다 3~10배 높음
활용: 탄소중립·탄소배출권 시장에서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고 있음
블루카본 저장량이 많은 대표 생태계 TOP 5
(단위 면적당 장기 탄소 저장량 + 주요 분포 지역)


블루카본 저장량이 많은 대표 생태계 TOP 5

(단위 면적당 장기 탄소 저장량, 대체로 많이 연구된 순)


맹그로브 숲 (Mangrove Forest)

🌍 주요 지역: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 방글라데시(순다르반스), 호주 북부, 아프리카 동부(모잠비크, 케냐), 남미(브라질, 콜롬비아)
뿌리 구조가 복잡해 퇴적물에 탄소를 대량 저장
장기 격리 능력: 매우 우수 (수백~수천 년)
저장량: 약 1,000–1,200 tC/ha

염습지 (Salt Marsh)

🌍 주요 지역: 북미 대서양 연안(미국 동부, 캐나다), 유럽(영국, 네덜란드, 독일), 중국·한국·일본 서해안, 호주 남부
온대 지역 갯벌 식물 군락, 밀물·썰물 주기로 유기물 퇴적
장기 격리 능력: 우수 (수백~수천 년)
저장량: 약 800–1,000 tC/ha

잘피밭 (Seagrass Meadow)

🌍 주요 지역: 지중해, 인도네시아·필리핀·호주 연안, 일본, 한국 남해안, 미국 플로리다, 멕시코, 카리브해
바다 속 해초 군락, 식물체와 퇴적층 모두에 탄소 저장
장기 격리 능력: 좋음 (수십~수백 년)
저장량: 약 500–800 tC/ha


조하대 갯벌 (Tidal Mudflat)

🌍 주요 지역: 한국 서해안·남해안, 중국 황해 연안, 네덜란드·독일(바덴해), 영국 동부 해안, 캐나다·미국 대서양 연안
미세조류·세균이 광합성으로 탄소 고정, 퇴적층에 점진적 격리
장기 격리 능력: 중간 (침식 시 탄소 재방출 가능)
저장량: 약 200–400 tC/ha


해조류 숲 (Kelp Forest)

🌍 주요 지역: 북태평양(미국 캘리포니아·알래스카, 캐나다 BC), 일본 혼슈~홋카이도, 한국 동해안(다시마·미역 군락), 칠레·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남부
미역·다시마 같은 대형 갈조류 군락
장기 격리 능력: 낮음 (일부만 심해 침적)
저장량: 약 50–200 tC/ha


블루카본의 주요 특징

탄소 흡수원:

맹그로브 숲, 염생습지(갯벌 포함), 잘피, 해조류 등이 대표적인 블루카본 생태계입니다. 
높은 흡수 효율:
해양 생태계는 육상 산림보다 탄소 흡수 속도가 최대 50배 빠르며, 단위 면적당 흡수 능력도 뛰어납니다. 


탄소 저장 메커니즘: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생물체 내에 저장하거나 갯벌의 퇴적물 등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탄소를 저장합니다. 
블루카본의 중요성

기후위기 대응: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여 기후 변화 대응에 기여합니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
육상 산림에 버금가는 탄소흡수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생태계 기능:

블루카본 생태계 자체도 생물다양성 증진, 연안 보호 등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합니다.관련 연구 및 정책

과학적 연구:

블루카본의 탄소흡수 및 저장 능력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정책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국제적 주목:

국제사회에서도 블루카본의 잠재력에 주목하여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방안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블루카본은 바다와 습지 등 해양 생태계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탄소를 의미하며, 탄소중립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의 자원입니다. 


특기 포인트

맹그로브 숲은 열대,아열대에만 존재 → 한국에는 거의 없음
염습지,조하대 갯벌,잘피밭,해조류 숲 → 한국 연안에도 넓게 분포 → 국내 블루카본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
특히 서해 갯벌과 남해 잘피밭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 블루카본 연구·보존 가치 높음 판정.

블루카본(Blue Carbon),맹그로브숲(Mangrove Forest),염습지(Salt Marsh),잘피밭(Seagrass Meadow),조하대갯벌(Tidal Mudflat),해조류숲(Kelp Forest)
블루카본(Blue Carbon),맹그로브숲(Mangrove Forest),염습지(Salt Marsh),잘피밭(Seagrass Meadow),조하대갯벌(Tidal Mudflat),해조류숲(Kelp Forest)





#블루카본 #탄소저장고 #탄소중립  #블루카본톱5  #탄소흡수원 #BlueCarbon #블루카본저장고 #블루카본해양저장고 #블루카본육상저장고 #맹그로브숲 #MangroveForest #염습지 #Salt Marsh #잘피밭 #SeagrassMeadow #조하대갯벌 #TidalMudflat #해조류숲 #KelpForest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민물가마우지 Great Cormorant

석류(石榴)의 효능, 동의보감에서 배운다.

며느리밥풀,Cow-wheat,紅車軸草,ヤマクワガタ,꽃며느리밥풀

피라칸다,불가시나무,Pyracantha, 火棘 정보

똥외를 아시나요? 똥외 꽃 Dung-Mel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