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한국·일본 원산으로 울릉도 및 제주도 등 남해안 섬 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바닷가 숲속, 습기가 충분한 반그늘 지역에서 잘 자란다. 키는 30~50 센티미터쯤 되며 줄기 전체에 연한 갈색 솜털이 난다. 잎은 잎자루가 긴데 뿌리에서 모여 납니다. 
길이 4~15 센티미터, 너비 6~30 센티미터로 두껍고 윤이 나며 가장자리는 가끔 이 모양의 톱니가 있으나 대체로 밋밋합니다. 
꽃은 9~10월에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는데 꽃자루들이 산방 모양으로 모여 납니다. 
열매는 수과이고 관모는 흑갈색입니다.

털머위는 한국 남해안, 일본 등이 원산지인 국화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잎은 머위와 비슷하지만 더 두껍고 윤기가 나며, 식물 전체에 연한 갈색 솜털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정보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정보

털머위 주요 특징

털머위 잎: 뿌리에서 긴 잎자루와 함께 모여 나며, 콩팥 모양 또는 심장 모양이고 크고 두껍습니다. 표면에 광택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을 수 있습니다.
털머위 꽃: 9~10월경(늦가을)에 긴 꽃대 끝에서 노란색 두상화(국화꽃 모양)가 산방꽃차례로 모여 핍니다.
털머위 서식지: 주로 울릉도, 제주도, 남부지방의 해안가 숲 속, 바위틈, 습기가 충분한 반그늘 지역에서 잘 자랍니다.
번식: 씨앗이나 포기 나누기를 통해 번식하며, 번식력과 생장력이 좋은 편입니다. 


털머위 용도 및 효능

털머위 관상용: 겨울에도 푸른 잎을 유지하고 늦가을에 노란 꽃을 피워 정원이나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털머위 식용: 어린 잎자루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독성)
털머위 약용: 민간에서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액 순환을 돕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감기, 기관지염, 종기 등에 사용하기도 하지만 독성이 있을 수 있어 섭취 시 신중해야 합니다. 
그늘진 곳이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정원 공간에 심기 좋은 식물입니다.


털머위(학명: Farfugium japonicum, 영어: Leopard Plant)에 대한 자세한 설명

■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
■ 1) 기본 정보

국명: 털머위
학명: Farfugium japonicum
영명: Leopard Plant / Japanese Silverleaf / Ligularia tussilaginea(과거 분류명)
일본명: ツワブキ(tsuwabuki)
과: 국화과(Compositae/Asteraceae)
분포: 한국(남부·제주·해안),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
서식 환경: 해안 절벽, 바위틈, 그늘진 습지, 정원지피용

■ 2) 털머위 이름 유래

잎 뒷면과 줄기 아랫부분에 미세한 털이 있어 ‘털’ + ‘머위’에서 유래.
그러나 실제로는 털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은 개체도 있고, 지역에 따라 변이가 크다.


■ 3) 털머위 형태적 특징

● 털머위 
둥글고 윤기가 있으며 두꺼운 가죽질
잎자루 길고, 직경 10~20cm 정도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다

● 털머위 
개화 시기: 10~12월
색: 노란색(국화꽃 모양)
꽃차례: 산형~총상, 5~10개가 한 줄기에 피어남
늦가을과 초겨울에 피는 드문 국화과 식물

● 털머위 줄기·뿌리
짧은 뿌리줄기
다년생 초본으로 매년 잎이 새롭게 올라옴

■ 4) 털머위 생태·특성
그늘에 잘 견딤 → 음지 조경에 많이 쓰임
해풍·염분 저항성 강함 → 해안 식생에서 흔함
내한성은 약함 → 한겨울 강추위 지역에서는 동해 가능
상록성이며 사계절 관상 가치가 높음


■ 5) 털머위 약용·민간 용도
동의보감이나 전통본초에서는 **머위(款冬)**를 주로 다루며, 털머위는 약용 근거가 거의 없음.
민간 수준에서 다음 용도로 언급된 경우가 있으나 학술 근거는 약함:
잎을 찧어 염증·피부 자극 완화
뿌리줄기 즙을 기침·가래에 사용했다는 지역 기록 일부
※ 머위(Petasites japonicus)와 혼동 금물.
※ ‘털머위’ 자체는 본격 약재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6) 털머위와 머위의 차이

구분 /털머위 /머위
학명 Farfugium japonicum Petasites japonicus
두껍고 윤기↑, 원형 넓고 얇음, 부드러움
꽃 시기 10~12월 3~4월
약용성 낮음 높음(동의보감 포함)
서식지 해안·그늘 습지·계곡

■ 7) 털머위 한자와 이명
털머위 한자: 毛~(털 毛) + 머위의 중국식 표기 없음 → 고유명
→ 국문 식물명으로서 정식 한자 표기는 존재하지 않음.

이명(園藝·지역명 포함)
👉동백머위
👉노랑꽃머위
👉가을머위
👉은반(銀斑) 털머위(무늬종)
👉타이거 털머위(Leopard plant)


털머위(Farfugium japonicum)**와 그 **원예품종인 동백머위(Farfugium japonicum var. giganteum / 또는 원예 cultivar)**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 털머위와 동백머위의 차이
1) 기본 구분
항목 털머위 동백머위
분류 기본 종(Farfugium japonicum) 원예품종(cultivar), 변종/대형종
영어 Leopard Plant Giant Leopard Plant
일본명 ツワブキ オオツワブキ(大ツワブキ)
특징 일반적 크기 매우 큰 잎·대형화
2) 형태적 차이

● (1) 털머위 잎 크기
털머위: 지름 10~20cm 정도, 둥글고 윤기 있음
동백머위(대형종): 지름 30~50cm 이상, 크게는 60cm에 달함
👉 가장 확실한 구분 요소 = 잎 크기

● (2) 털머위 잎 모양·색
털머위: 진녹색, 윤기 있음. 무늬 없는 일반 녹색형이 기본.
동백머위:
잎이 더 두껍고 넓으며 형태가 안정적
일부 품종은 **옅은 무늬 또는 은반(은색 얼룩)**이 들어간다.
※ 단, 은반(銀斑) 품종은 ‘은반털머위’라고 따로 불리지만 실질적으로 동백머위 계통 원예종에 가까움.


● (3) 털머위 키(줄기)
털머위: 약 30~50cm
동백머위: 약 50~80cm, 경우에 따라 1m 가까이 자람
→ 꽃자루도 동백머위가 훨씬 큼
3) 개화 시기와 꽃
둘 다 10~12월 노란 꽃(국화과)
차이는 크기 뿐이며 꽃 형태는 거의 동일
동백머위의 꽃대가 더 높고 굵음

4) 털머위 생육·재배 차이

항목/ 털머위 /동백머위
내한성 보통 약간/ 강함
내습성 높음/ 높음
음지 적응 매우 좋음/ 매우 좋음
조경 활용 그늘 지피, 해안 조경 /대형 잎 포인트 식재, 건물 앞 화단
동백머위는 대형 잎 때문에 열대식물 느낌의 조경 효과가 크며, 정원과 건물 주변에서 포인트로 많이 심는다.

5) 왜 ‘동백머위’라고 부르는가?

동백나무 주변 그늘에서도 잘 자란다는 의미에서 정원·조경에서 붙은 원예명
또는 일본 원예에서 “대형 머위(大ツワブキ)”가 한국으로 들어오며
장식성이 높아 동백나무 아래 많이 심긴 관행 때문에 생긴 명칭
식물학적 정식 이름은 ‘동백머위’가 아니라 대형 털머위 개량종이다.

■ 털머위 핵심 요약  

털머위 = 기본형 / 크기 작다
동백머위 = 원예개량 대형종 / 잎과 꽃대가 매우 크다
형태적·색감은 비슷하지만 크기 차이가 압도적
둘 다 가을~초겨울에 노란 국화꽃이 핌


털머위·동백머위와의 비교

✔ 핵심 결론
동의보감의 머위(款冬) = 머위(Petasites japonicus)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 완전히 다른 식물
동백머위 = 털머위의 대형 원예종

■ 비교표

항목 /동의보감 ‘머위(款冬)’ 털머위 /동백머위(원예종)
한자 款冬 / 款菀 (고유명, 정식 한자 없음) /동일 (털머위 원예종)
학명 Petasites japonicus Farfugium japonicum/ F. japonicum 원예품종
약용 여부 있음 (동의보감 기록) 전통 약용 거의 없음 /약용 없음
꽃 시기 3~4월(먼저 핌) 10~12월/ 10~12월
잎 크기 매우 큼(20~40cm↑) 10~20cm /30~50cm↑
특징 봄에 꽃대 먼저 출현(봄나물·약재) 상록·가을겨울 개화/ 대형 잎 관상종
분포 산지·습지 해안·그늘 /조경용

4) ■ 형태 비교 요약

● 머위(款冬, Petasites japonicus)
잎은 크고 부드러움
꽃은 초봄에 먼저 나오며 흰빛·노란빛
약재 가치가 있음
동의보감의 기록 대상

●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윤기 있고 둥근 잎, 가을~겨울에 노란 꽃
상록성, 그늘 조경용
약재로 거의 쓰이지 않음
동의보감 머위와 완전히 별개

● 동백머위(털머위의 대형 원예종)
털머위보다 잎이 2~3배 큼
열대식물 느낌의 관상용 대형종
약재로 사용하지 않음


5) ■ 정리

✔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머위(款冬)’는 오늘날 식물학의 머위(Petasites japonicus)와 동일하다.
✔ 털머위·동백머위는 동의보감의 약재 머위와 전혀 관련이 없다.
✔ 분류학적으로 종도 다르고 생태·꽃 시기·효능도 모두 다르다.


털머위 원산지

✔ 원산지
한국 남부 및 제주도 해안
일본 전역(특히 해안·산지 그늘)
대만
중국 남부 일부 해안 지역
➡ 즉, 동아시아 해안·음습한 지역이 자연 분포지이며 상록성·내염성(염분에 강함) 때문에 해안 절벽이나 바위틈에서 흔하게 자랍니다.

■ 털머위 꽃말
털머위는 우리나라 전통 꽃말 목록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고,
일본 원예문화에서 파생된 꽃말이 자연스럽게 한국으로 들어온 경우가 많습니다.
✔ 주로 알려진 털머위의 꽃말
"정성"
"부드러운 마음"
"기다림"
"인내"
✔ 꽃말 유래
털머위는 **늦가을~한겨울(10~12월)**까지 추위를 견디며 노란 꽃을 피우기 때문에
“추위를 이겨내는 꽃 → 인내·기다림”이라는 의미가 부여됨.
일본에서 ツワブキ(石蕗) 꽃말이 “謙遜(겸손), 忍耐(인내)”로 쓰이며

이것이 한국 원예문화에도 유입된 것입니다.
■ 털머위 요약

항목 내용
원산지 한국 남부·제주, 일본, 대만, 중국 남부 해안
꽃말 정성, 부드러운 마음, 기다림, 인내


털머위 약용성분

털머위의 주요 약용 성분들은 전통적인 효능과 현대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성분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요 약용 성분


០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Pyrrolizidine Alkaloids, PAs):
센키르킨 (Senkirkine): 털머위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대표적인 성분입니다. 이 성분은 식물이 초식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자연 독소로, 체내에 들어왔을 때 간독성 및 폐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털머위는 식용보다는 관상용이나 엄격한 한의학적 처방 하에 약용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០ 푸라노 세스퀴테르펜 (Furano-sesquiterpenes):
파르푸긴 A (Farfugin A), 파르푸긴 B (Farfugin B): 털머위의 뿌리줄기에서 발견되는 방향성 화합물입니다. 이 성분들은 항염증 및 진통 활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០ 항산화 성분 (Antioxidants):
페놀 (Phenol) 및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특히 뿌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항산화 및 항효소 활성을 나타냅니다.
퀘르세틴 (Quercetin), 클로로겐산 (Chlorogenic acid) 등의 폴리페놀 성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들은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០ 털머위 기타 성분:
이눌린 (Inulin), 리모넨 (Limonene), 보르네올 (Borneol), 사포닌 (Saponin), 탄닌 (Tannin) 등의 다양한 화합물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요약 및 주의사항
털머위는 독성 성분인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고 있어,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고 정확한 용법과 용량을 지켜야 합니다. 특히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털머위 약용 예

털머위는 전통적으로 연봉초(蓮蓬草)라는 이름의 한약재 또는 민간요법 재료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주로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액 순환을 돕는 효능을 활용합니다. 
다음은 털머위의 주요 약용 활용 예시입니다.


1. 달여서 복용하는 경우 (내복)

털머위는 뿌리를 포함한 전초(식물 전체)를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 말려 약재로 사용합니다. 
감기 및 기관지염: 풍열(風熱)로 인한 감기, 기침, 가래, 기관지염, 인후염(목이 붓고 아픈 증상) 등에 열을 내리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달인 물을 복용합니다.
소화기 문제: 설사나 어류로 인한 식중독 증상 완화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임파선염: 임파선이 붓고 아플 때 달인 약재를 복용하여 도움을 받습니다. 

2. 짓찧어 붙이는 경우 (외용) 

생잎이나 뿌리를 짓찧어서 환부에 직접 바르는 민간요법도 있습니다. 
상처 치료: 가시가 박힌 상처에 생잎을 비벼서 붙이면 고름을 빨아내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종기 및 타박상: 피부의 종기나 가벼운 타박상, 삐거나 부은 관절 등에 짓찧은 잎을 붙여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사용됩니다.
치통: 생잎을 갈아서 나온 즙을 탈지면에 적셔 잇몸에 찜질하면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중요 주의사항

털머위는 위와 같은 전통적인 용례가 있지만, 독성 성분(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이 함유되어 있어 간독성 및 폐독성을 유발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절대로 자의적으로 판단하여 섭취하거나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약용으로 사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한의사 또는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용법과 용량을 지켜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털머위 번식

털머위는 씨앗 파종과 포기나누기 두 가지 방법으로 번식시킬 수 있으며, 두 방법 모두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1. 포기나누기 (분주)

가장 쉽고 일반적인 번식 방법입니다. 
시기: 이른 봄에 새순이 올라오기 직전이나, 잎이 누렇게 변하는 늦가을 또는 초겨울에 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방법:
크게 자란 포기를 캐냅니다.
날카로운 칼이나 손으로 뿌리 줄기(근경)를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눕니다.
각 조각에 싹이 될 수 있는 눈(성장 지점)이 1~3개 정도 붙어 있도록 합니다.
나눈 조각들을 충분한 습기가 있는 반그늘진 토양에 다시 심습니다. 

2. 씨앗 파종 (실생)

발아율이 높은 편이므로 씨앗으로도 번식이 잘 됩니다. 
시기:
가을 파종: 가을(보통 12월경)에 채취한 씨앗을 바로 화단이나 화분에 뿌립니다.
봄 파종: 씨앗을 채취 후 밀봉하여 냉장 보관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합니다.
방법:
씨앗을 뿌리기 전에 12시간 정도 물에 불리거나, 지베렐린 용액에 담가두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씨앗을 파종 상자나 화분에 흩어 뿌린 후, 얇게 흙을 덮어줍니다.
흙이 마르지 않도록 촉촉하게 유지하고 반그늘진 곳에 둡니다. 
두 방법 모두 충분한 수분과 반그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성공적인 번식에 중요합니다.아래는 털머위(학명: Farfugium japonicum, 영어: Leopard Plant)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
■ 1) 기본 정보
국명: 털머위
학명: Farfugium japonicum
영명: Leopard Plant / Japanese Silverleaf / Ligularia tussilaginea(과거 분류명)
일본명: ツワブキ(tsuwabuki)
과: 국화과(Compositae/Asteraceae)
분포: 한국(남부·제주·해안),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
서식 환경: 해안 절벽, 바위틈, 그늘진 습지, 정원지피용
■ 2) 이름 유래
잎 뒷면과 줄기 아랫부분에 미세한 털이 있어 ‘털’ + ‘머위’에서 유래.
그러나 실제로는 털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은 개체도 있고, 지역에 따라 변이가 크다.
■ 3) 형태적 특징
● 잎
둥글고 윤기가 있으며 두꺼운 가죽질
잎자루 길고, 직경 10~20cm 정도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다


● 꽃
개화 시기: 10~12월
색: 노란색(국화꽃 모양)
꽃차례: 산형~총상, 5~10개가 한 줄기에 피어남
늦가을과 초겨울에 피는 드문 국화과 식물
● 줄기·뿌리
짧은 뿌리줄기
다년생 초본으로 매년 잎이 새롭게 올라옴
■ 4) 생태·특성
그늘에 잘 견딤 → 음지 조경에 많이 쓰임
해풍·염분 저항성 강함 → 해안 식생에서 흔함
내한성은 약함 → 한겨울 강추위 지역에서는 동해 가능
상록성이며 사계절 관상 가치가 높음
■ 5) 약용·민간 용도
동의보감이나 전통본초에서는 **머위(款冬)**를 주로 다루며, 털머위는 약용 근거가 거의 없음.
민간 수준에서 다음 용도로 언급된 경우가 있으나 학술 근거는 약함:
잎을 찧어 염증·피부 자극 완화
뿌리줄기 즙을 기침·가래에 사용했다는 지역 기록 일부
※ 머위(Petasites japonicus)와 혼동 금물.
※ ‘털머위’ 자체는 본격 약재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6) 털머위와 머위의 차이
구분 털머위 머위
학명 Farfugium japonicum Petasites japonicus
두껍고 윤기↑, 원형 넓고 얇음, 부드러움
꽃 시기 10~12월 3~4월
약용성 낮음 높음(동의보감 포함)
서식지 해안·그늘 습지·계곡
■ 7) 한자·이명
털머위 한자: 毛~(털 毛) + 머위의 중국식 표기 없음 → 고유명
→ 국문 식물명으로서 정식 한자 표기는 존재하지 않음.
이명(園藝·지역명 포함)
동백머위
노랑꽃머위
가을머위
은반(銀斑) 털머위(무늬종)
타이거 털머위(Leopard plant)



털머위(Farfugium japonicum)**와 그 **원예품종인 동백머위(Farfugium japonicum var. giganteum / 또는 원예 cultivar)**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 털머위와 동백머위의 차이
1) 기본 구분
항목 털머위 동백머위
분류 기본 종(Farfugium japonicum) 원예품종(cultivar), 변종/대형종
영어 Leopard Plant Giant Leopard Plant
일본명 ツワブキ オオツワブキ(大ツワブキ)
특징 일반적 크기 매우 큰 잎·대형화

2) 형태적 차이

● (1) 잎 크기
털머위: 지름 10~20cm 정도, 둥글고 윤기 있음
동백머위(대형종): 지름 30~50cm 이상, 크게는 60cm에 달함
👉 가장 확실한 구분 요소 = 잎 크기

● (2) 잎 모양·색
털머위: 진녹색, 윤기 있음. 무늬 없는 일반 녹색형이 기본.
동백머위:
잎이 더 두껍고 넓으며 형태가 안정적
일부 품종은 **옅은 무늬 또는 은반(은색 얼룩)**이 들어간다.
※ 단, 은반(銀斑) 품종은 ‘은반털머위’라고 따로 불리지만 실질적으로 동백머위 계통 원예종에 가까움.

● (3) 키(줄기)
털머위: 약 30~50cm
동백머위: 약 50~80cm, 경우에 따라 1m 가까이 자람
→ 꽃자루도 동백머위가 훨씬 큼
3) 개화 시기와 꽃
둘 다 10~12월 노란 꽃(국화과)
차이는 크기 뿐이며 꽃 형태는 거의 동일
동백머위의 꽃대가 더 높고 굵음
4) 생육·재배 차이
항목 털머위 동백머위
내한성 보통 약간 강함
내습성 높음 높음
음지 적응 매우 좋음 매우 좋음
조경 활용 그늘 지피, 해안 조경 대형 잎 포인트 식재, 건물 앞 화단
동백머위는 대형 잎 때문에 열대식물 느낌의 조경 효과가 크며, 정원과 건물 주변에서 포인트로 많이 심는다.
5) 왜 ‘동백머위’라고 부르는가?
동백나무 주변 그늘에서도 잘 자란다는 의미에서 정원·조경에서 붙은 원예명
또는 일본 원예에서 “대형 머위(大ツワブキ)”가 한국으로 들어오며
장식성이 높아 동백나무 아래 많이 심긴 관행 때문에 생긴 명칭
식물학적 정식 이름은 ‘동백머위’가 아니라 대형 털머위 개량종이다.



■ 핵심 요약
털머위 = 기본형 / 크기 작다
동백머위 = 원예개량 대형종 / 잎과 꽃대가 매우 크다
형태적·색감은 비슷하지만 크기 차이가 압도적
둘 다 가을~초겨울에 노란 국화꽃이 핌


털머위·동백머위와의 비교

✔ 핵심 결론
동의보감의 머위(款冬) = 머위(Petasites japonicus)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 완전히 다른 식물
동백머위 = 털머위의 대형 원예종
■ 비교표
항목 동의보감 ‘머위(款冬)’ 털머위 동백머위(원예종)
한자 款冬 / 款菀 (고유명, 정식 한자 없음) 동일 (털머위 원예종)
학명 Petasites japonicus Farfugium japonicum F. japonicum 원예품종
약용 여부 있음 (동의보감 기록) 전통 약용 거의 없음 약용 없음
꽃 시기 3~4월(먼저 핌) 10~12월 10~12월
잎 크기 매우 큼(20~40cm↑) 10~20cm 30~50cm↑
특징 봄에 꽃대 먼저 출현(봄나물·약재) 상록·가을겨울 개화 대형 잎 관상종
분포 산지·습지 해안·그늘 조경용
4) ■ 형태 비교 요약
● 머위(款冬, Petasites japonicus)
잎은 크고 부드러움
꽃은 초봄에 먼저 나오며 흰빛·노란빛
약재 가치가 있음
동의보감의 기록 대상
●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윤기 있고 둥근 잎, 가을~겨울에 노란 꽃
상록성, 그늘 조경용
약재로 거의 쓰이지 않음
동의보감 머위와 완전히 별개
● 동백머위(털머위의 대형 원예종)
털머위보다 잎이 2~3배 큼
열대식물 느낌의 관상용 대형종
약재로 사용하지 않음
5) ■ 정리
✔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머위(款冬)’는 오늘날 식물학의 머위(Petasites japonicus)와 동일하다.
✔ 털머위·동백머위는 동의보감의 약재 머위와 전혀 관련이 없다.
✔ 분류학적으로 종도 다르고 생태·꽃 시기·효능도 모두 다르다.



털머위 원산지

✔ 원산지
한국 남부 및 제주도 해안
일본 전역(특히 해안·산지 그늘)
대만
중국 남부 일부 해안 지역
➡ 즉, 동아시아 해안·음습한 지역이 자연 분포지이며 상록성·내염성(염분에 강함) 때문에 해안 절벽이나 바위틈에서 흔하게 자랍니다.

■ 털머위 꽃말
털머위는 우리나라 전통 꽃말 목록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고,
일본 원예문화에서 파생된 꽃말이 자연스럽게 한국으로 들어온 경우가 많습니다.
✔ 주로 알려진 털머위의 꽃말
"정성"
"부드러운 마음"
"기다림"
"인내"

✔ 꽃말 유래
털머위는 **늦가을~한겨울(10~12월)**까지 추위를 견디며 노란 꽃을 피우기 때문에
“추위를 이겨내는 꽃 → 인내·기다림”이라는 의미가 부여됨.
일본에서 ツワブキ(石蕗) 꽃말이 “謙遜(겸손), 忍耐(인내)”로 쓰이며
이것이 한국 원예문화에도 유입된 것입니다.

■ 요약
항목 내용
원산지 한국 남부·제주, 일본, 대만, 중국 남부 해안
꽃말 정성, 부드러운 마음, 기다림, 인내



털머위 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목: 국화목
과: 국화과
속: 털머위속
종: 털머위(F. japonicum)
학명:Farfugium japonicum(L.) Kitam. 1939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정보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정보


동의보감 언급 내용

동의보감에는 털머위가 연봉초(蓮蓬草)라는 생약명으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동의보감 및 관련 한의학 문헌에 기록된 털머위(연봉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미 (性味):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달다(甘)는 견해가 있습니다.

효능 및 주치 (效能/主治):
청열해독 (淸熱解毒): 열을 내리고 독소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활혈 (活血): 혈액 순환을 돕습니다.
기관지 질환: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데 사용됩니다.
기타: 풍열로 인한 감기, 인후염, 종기, 타박상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이기도 합니다. 

주의사항:
동의보감에서는 머위(식용 머위)에 대해서는 독이 없다고 하였으나, 털머위는 독성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식용이나 약용 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특히 뿌리 줄기에는 간과 폐에 독성이 있는 피롤리딘(pyrrolidine) 유도체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용법과 용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정보
털머위(毛佛耳草, Farfugium japonicum),Leopard Plant 정보



#털머위 #동백머위 #겨울식물  #
연봉초 #머위 #털머위효능 #털머위정보 #겨울꽃

댓글

Blogrol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노랑무당벌레 ,황표충(黃瓢蟲),Yellow lady beetle,キイロテントウ

한국 까마귀(Corvus) – 종류,서식지, 먹이, 습성 정리

고추잠자리(Crocothemis servilia) 종합 정보

길앞잡이 반묘(虎甲),호갑(虎甲) Tiger beetle

갈색여치 ,Brown Katydid , Tettigoniidae sp.

무당벌레,할리퀸 무당벌레,이색표충,Harlequin ladybird ,ナミテントウ 종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