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초향(排草香),방아꽃,Agastache 의 식뭃 정보
남부 지역에서 방아라고 불리는 배초향(排草香)의 식물 정보
배초향(排草香),방아꽃, 방아 개요,생물분류,원산지,분포지역,꽃말,이름유래,이명+한방약재명,용도,약용성분 부위 효능,동의보감 원문+내용,현대의학 언급등을 아래에 편집 기록합니다.
“방아꽃 / 방아”라는 이름으로 통용되는 식물, 즉 일반적으로 배초향(排草香, 학명 Agastache rugosa) 또는 유사한 꿀풀과 식물을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다만 “방아꽃”이라는 이름이 지역적으로 또는 문헌마다 약간씩 다른 식물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약용식물인 동시에 향신료로서 사용되는 식용 허브식물과 동일 속 식물에 국한 합니다.
“방아꽃 / 방아”라는 이름으로 통용되는 식물, 즉 일반적으로 배초향(排草香, 학명 Agastache rugosa) 또는 유사한 꿀풀과 식물을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다만 “방아꽃”이라는 이름이 지역적으로 또는 문헌마다 약간씩 다른 식물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약용식물인 동시에 향신료로서 사용되는 식용 허브식물과 동일 속 식물에 국한 합니다.
1. 배초향(排草香),방아 개요
배초향은 강한 향기를 지니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기후권에서 오래전부터 향식물 및 약용식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남부 지방에서는 잎을 방아잎(방아)이라 부르며, 매운탕이나 생선찌개 등에 향을 더하고 비린내를 잡기 위한 향신채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약용명으로는 일반적으로 곽향(藿香, Gwakhyang) 이라는 명칭이 사용됩니다.
남부 지방에서는 잎을 방아잎(방아)이라 부르며, 매운탕이나 생선찌개 등에 향을 더하고 비린내를 잡기 위한 향신채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약용명으로는 일반적으로 곽향(藿香, Gwakhyang) 이라는 명칭이 사용됩니다.
2. 배초향(排草香),방아 생물분류 (Taxonomy)
계: 식물계 (Plantae)문: 속씨식물군 (Angiosperms)
강: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목: 꿀풀목 (Lamiaceae 계통)
과: 꿀풀과 (Lamiaceae, 또는 이전 명칭으로는 Labiatae)
속: 배초향속 (Agastache)
종: Agastache rugosa (Fisch. & C.A. Mey.) Kuntze
배초향 (Agastache)
학명 : Agastache rugosa
![]() |
배초향(排草香),방아꽃 |
3. 배초향(排草香),방아 원산지 및 분포지역
배초향은 한국(토종) 원산지로 여겨지며,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도 널리 분포합니다.자연분포지는 주로 온대~난온대성 기후대이며, 햇빛이 잘 드는 풀밭, 들, 산기슭 등에서 자랍니다.
한국 내에서는 남부지방을 비롯한 전 지역에서 재배 또는 야생으로 자라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4. 배초향(排草香),방아 꽃말
배초향(방아꽃)의 꽃말은 향수, 추억, 고독입니다.
이는 배초향의 독특하고 강한 향기가 불러일으키는 감성과 연결되어, 어린 시절의 기억이나 그리움 등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보입니다.
향수(鄕愁): 배초향의 산뜻하고 강렬한 향기가 과거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향수(鄕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추억(追憶): 잎과 줄기를 음식에 사용하며 곽향(藿香)이라 불리는 이 식물은, 그 향이 독특하여 사람들에게 특별한 기억으로 남아 추억을 불러일으킵니다.
고독(孤獨): 짙은 향기가 홀로 피어있는 모습이나, 강한 향으로 다른 풀 냄새를 압도하는 특성에서 비롯되어 '고독'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배초향의 독특하고 강한 향기가 불러일으키는 감성과 연결되어, 어린 시절의 기억이나 그리움 등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보입니다.
향수(鄕愁): 배초향의 산뜻하고 강렬한 향기가 과거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향수(鄕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추억(追憶): 잎과 줄기를 음식에 사용하며 곽향(藿香)이라 불리는 이 식물은, 그 향이 독특하여 사람들에게 특별한 기억으로 남아 추억을 불러일으킵니다.
고독(孤獨): 짙은 향기가 홀로 피어있는 모습이나, 강한 향으로 다른 풀 냄새를 압도하는 특성에서 비롯되어 '고독'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5. 배초향(排草香),방아 이름 유래
한자명 “排草香(배초향)”은 듯을 풀어보면 ‘풀의 향기를 밀어낸다’는 뜻으로, 그 향이 강해 다른 풀의 향을 밀어내는 듯하다는 의미에서 지어졌다고 보는것입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 본래 ‘芳荷(방하, 향기 나는 하엽)’라는 이름이 있었고, 경상도 사투리의 발음 변화 및 모음 탈락 때문에 ‘방아’로 변했다는 이야기는 설득력이 있습니다.
지금도 뎡상도 사람들의 작은 텃밭에는 한족에 이 방아를 심는 것을 볼 수있습니다.
지역별 방언명으로는 방아, 방아잎, 방앳잎, 중개풀, 방애잎 등이 있습니다.
이명 (동명): 방아, 방아잎, 방앳잎, 방아풀, 중개풀 등
한방 약재명: 곽향(藿香, Gwakhyang)
한방 약재명: 곽향(藿香, Gwakhyang)
7. 배초향(排草香),방아 용도
(1) 식용 및 향신료
남부 지방에서는 잎을 향신채로 사용하여 매운탕, 추어탕, 생선찌개 등에 넣어 비린내를 제거하거나 향을 더하는 데 쓰입니다.
방아 차(茶)로도 이용 되는데, 꽃이나 잎을 말려 차로 우려 마시기도 합니다.
(2) 배초향(排草香),방아 약용
남부 지방에서는 잎을 향신채로 사용하여 매운탕, 추어탕, 생선찌개 등에 넣어 비린내를 제거하거나 향을 더하는 데 쓰입니다.
방아 차(茶)로도 이용 되는데, 꽃이나 잎을 말려 차로 우려 마시기도 합니다.
(2) 배초향(排草香),방아 약용
소화불량, 구토, 설사, 복통, 감기 초기 증상 등 위장 또는 열·습 관련 증상 완화에 전통적으로 사용됩니다.
방향·해독·진통·소종(종기나 부종 등을 풀어주는 작용) 등의 효능이 전통 문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방향·해독·진통·소종(종기나 부종 등을 풀어주는 작용) 등의 효능이 전통 문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1) 사용 부위
배초향(排草香),방아는 전초 (잎·줄기·꽃 전체) 가 약용으로 사용됩니다.
(2) 약용 성분
다음은 최근 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생리활성 성분들입니다:
※플라보노이드 계열: acacetin, luteolin 등 항염증, 위 점막 보호, 항산화 작용 Agastache rugosa가 위염 모델에서 보호 효과를 보였고, acacetin, luteolin 등이 핵심 활성을 가짐
배초향(排草香),방아는 전초 (잎·줄기·꽃 전체) 가 약용으로 사용됩니다.
(2) 약용 성분
다음은 최근 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생리활성 성분들입니다:
※플라보노이드 계열: acacetin, luteolin 등 항염증, 위 점막 보호, 항산화 작용 Agastache rugosa가 위염 모델에서 보호 효과를 보였고, acacetin, luteolin 등이 핵심 활성을 가짐
※페놀성 화합물: rosmarinic acid 등 강한 항산화 작용 배초향의 폴리페놀 프로파일 연구에서 확인됨
※정유 성분 (Monoterpenes,Phenylpropanoids): estragole, menthone, pulegone, limonene 등 향료, 항균, 방향 작용 한국 내 여러 개체에서 정유 조성 다양성이 관찰됨
※정유 성분 (Monoterpenes,Phenylpropanoids): estragole, menthone, pulegone, limonene 등 향료, 항균, 방향 작용 한국 내 여러 개체에서 정유 조성 다양성이 관찰됨
기타 생리활성 물질 항균, 항염, 항산화, 위 점막 보호 등 Agastache rugosa 추출물이 LPS 유도 염증 억제 작용을 보인다는 보고 있음
![]() |
배초향(排草香),방아꽃,Agastache 의 식뭃 정보 |
(3) 배초향(排草香),방아 효능
위장 보호 , 위염 완화: Agastache rugosa 추출물은 실험동물 모델에서 위 점막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보였고,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을 통해 여러 경로(PI3K/Akt, NF-κB 등)가 관여됨이 제안됨
항염증 작용: 염증 유발 자극(LPS 등)에 대해서도 항염증 작용을 보였다는 연구가 있으며, iNOS, NF-κB 등의 염증 표지자 조절 작용이 보고됨
항산화 작용: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덕분에 활성산소 제거 작용이 우수하다는 연구들이 있음
항균, 항미생물 작용: 정유 성분을 통한 항균 특성이 일부 연구에서 확인됨 (특히 향균, 곰팡이 억제 등에 유효성 있음)
항염증 작용: 염증 유발 자극(LPS 등)에 대해서도 항염증 작용을 보였다는 연구가 있으며, iNOS, NF-κB 등의 염증 표지자 조절 작용이 보고됨
항산화 작용: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덕분에 활성산소 제거 작용이 우수하다는 연구들이 있음
항균, 항미생물 작용: 정유 성분을 통한 항균 특성이 일부 연구에서 확인됨 (특히 향균, 곰팡이 억제 등에 유효성 있음)
9. 배초향(排草香),방아의 동의보감 원문 및 해석
직접적으로 곽향(藿香 배초향)에 대한 완전한 본문을 옮긴 것은 저작권 또는 번역문 확보의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표적인 약효 설명 부분을 요약 및 인용하는 방식으로 소개합니다.
동의보감에는 곽향(藿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언급이 전해집니다:
“性溫、味辛、無毒。和脾胃、理氣。主消化不飽、嘔逆、瀉痢、暑濕煩渴、霍亂吐瀉。”
(해석)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독은 없으며, 비위(脾胃)를 조화시키고 기운을 다스린다. 소화 불능, 구토, 설사, 더위 습기 탁기(暑濕)로 인한 번조와 갈증, 혹란(霍亂: 급성 위장 질환)과 토사 설사 등에 주로 사용한다고 기록.
또한 곽향은 습기(濕)를 제거하고 열(暑)을 풀어주는 효능, 오한 발열 초기의 감기 증상 개선, 중초(위장 부위) 기능 보조 등에 사용된다는 기록이 있슴.
또 동의보감 내 다름 처방전에서 곽향이 포함된 방약이 소개되어 있지만, 개별 처방 전체 본문을 여기서 모두 전하기는 제한이 있어 이 정도로 합니다.
![]() |
배초향(排草香),방아꽃,Agastache 의 식뭃 정보 |
10. 현대 의학 및 과학적 연구 언급
앞서 언급된 Nam et al. 등 연구에서 Agastache rugosa 추출물이 위 점막 보호 효과를 보인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한방의 효능에서와 같은 항염증, 항산화, 항균 활성 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는 연구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또한 2023년에는 배초향의 6대 폴리페놀 화합물(rosmarinic acid, acacetin, tilianin 등)의 인체 내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을 분석한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일부 화합물은 인체 혈장 내에서 검출된 바 있습니다. -RSC 출판
유전체 수준에서도 최근 배초향의 염기 서열(크로모좀 수준 어셈블리)이 완성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로써 대사 경로, 품종 개선, 약리 연구 기반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Nature
정유 조성 연구에서도 한국 내 여러 개체에서 정유 성분의 변이가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는 품종 선별이나 산업적 활용에 참고가 되고 있습니다. -MDPI
댓글
댓글 쓰기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