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 예쁜 씀바귀(고거채)의 모든것

이미지
씀바귀 ,식물 정보,용도,원산지 분포 지역,꽃말,약용 성분 효능 사용 부위,동의보감 언급 원문 해석 ,본초강목 원문 해석,씀바귀 이명, 얽힌 이야기 등  씀바귀.Korean lettuce.고거채(苦苣菜) 총 정리 정리 쓰임바귀(씀바귀, Ixeris dentata) 개요 씀바귀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우리나라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와 잎은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름은 ‘쓴 맛이 나는 바귀(풀)’에서 유래했다고 전합니다. 민들레와 곷이 비슷하지만 민들레보다 다소 늦게 피고 꽃이 가을까지 이어집니다. 씀바귀.Korean lettuce.고거채(苦苣菜) 총 정리 정리 식물 정보 학명: Ixeris dentata (Thunb. ex Thunb.) Nakai 과명: 국화과(Compositae) 형태: 다년생 초본. 뿌리는 굵고 곧게 뻗으며, 잎은 뿌리 근처에서 모여 나며 톱니 모양이 많습니다. 줄기 끝에는 노란색 꽃이 피는데 국화과 특유의 혀꽃 모양입니다. 개화기: 5~6월 열매: 수과(瘦果)로 털이 있어 바람에 의해 퍼집니다. 씀바귀 생물 분류  Toothed Ixeridium 씀바귀  학명 :  Ixeridium dentatum  (Thunb. ex Mori) Tzvelev, 1964 진핵생물역 (Eukaryota) ⇒  식물계 (Plantae)  ⇒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국화군 (Asterids)  ⇒  국화목 (Asterales)  ⇒  국화과 (Asteraceae)  ⇒  치커리아과 (Cichorioideae)  ⇒  치커리족 (Cichorieae)  ⇒  씀바귀속 (Ixeridium)  ⇒  씀바귀 (Ixeridi...

향기좋은 약초 당귀(當歸) ,여성을 위한 성약(聖藥)

이미지
당귀(Angelica sinensis, 中國當歸) 총 정리 초가을 산야에 멀리서도 하얀 우산처럼 생긴 꽃이 피어있어 가까이 가 보곤하는데 당귀 곷은 특별한 모습으로 풀숲에 피어있어서 금방 알 수있습니다. 당귀잎은 봄철에 향기 좋은 산나물 중의하나인데 요새는 재배를 많이 하는 약초이자 나물이지요. 당귀(Angelica sinensis, 中國當歸) 총 정리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이름 유래 당귀는 한약명으로 많이 알려진 식물로서 먼저 그 이름을 먼저 알아보면 쉽게 이해가 되는 식물입니다. 그리고 당귀는 당귀(Angelica sinensis)인데 중국당귀(中國當歸)를 의미 합니다.한국산 당귀는 구별되게 따로 참당귀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당귀와는 비슷하지만 다른 식물입니다.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한자 풀이 當(마땅할 당) + 歸(돌아올 귀) → “마땅히 돌아온다”는 의미입니다. 한의학적 해석 옛사람들은 당귀가 혈액을 보충하고 자궁·경맥을 조화롭게 하여 여성의 생리와 건강을 정상으로 되돌린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병든 몸이 제자리에 돌아오게 한다”는 뜻에서 當歸라 불렀습니다. 특히 산후에 허약하거나, 월경이 불순한 여성이 당귀를 복용하면 원래 자리(본래 건강)로 돌아온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민간 해석 옛 중국 의서에는, 부부가 불임이었는데 여인이 당귀를 복용하고 임신하여 집안으로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어, “여성을 마땅히 집으로 돌아오게 한다” 는 의미도 덧붙여졌습니다. 당귀(Angelica sinensis, 當歸)의 문헌 기록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는 당귀가 보혈과 조경(調經)의 요약(要藥)으로 언급되어, 이름의 의미와 같습니다. 본초강목에서도 당귀를 “보혈·활혈의 중요한 약, 특히 부인에게 요약”이라고 강조하여, 이름의 뜻을 뒷받침합니다. ※  정리하면 , “당귀”란 이름은 ‘몸과 혈을 바로잡아 원래의 건강한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약초’라는 ...

한국 까마귀(Corvus) – 종류,서식지, 먹이, 습성 정리

이미지
한국 까마귀 (慈烏)  – 종류와 서식지 및 습성 정리 까마귀 개요와 한국 까마귀 종류, 서식지, 먹이, 습성, 둥지와 새끼 생육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지능 높은 새 까마귀의 특징을 알아봅니다. 까마귀는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대표적인 조류 중 하나 입니다. 지능이 높고 사회성이 강하며,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 새입니다.  까마귀 과에는 전세계에 약 100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 나라에는 8종이 있으며, 까마귀 속 4종 중에 갈가마귀와 떼까마귀는 겨울 새이고, 큰부리까마귀와 까마귀는 텃새입니다. 까마귀 청소부 까마귀 개요 까마귀는 참새목(패세리폼스, Passeriformes) 까마귀과(Corvidae)에 속하는 조류로, 전 세계적으로 약 40여 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몸 전체가 검은 깃털로 덮여 있으며, 윤기가 도는 깃은 푸른빛 또는 보랏빛을 띠기도 합니다. 소리, 도구 사용, 기억 능력 등에서 매우 뛰어난 지능을 보이는 새로, “새 중의 영장류”라고도 불립니다. 색갈과 까악 까악하는 소리를 기분 나쁘게 생각하여 해조(해를 끼치는 새)로 생각 할 수있지만,실제로는 여러가지 면에서 익조(이로움을 주는새)입니다. 흉조(凶 鳥)  : 민속 신앙에서 불길한 의미로 불리던 이름 영조(靈鳥) : 귀신이나 조상을 알리는 신성한 새라는 뜻으로 불리기도 함. 익조(翊 鳥)  : 까마귀는 잡식성으로 더러운 것이나 동물의 사체 등을 처리해 줘서 인간의 환경을 깨씃이 해 주는 청소부 역할을 함 까마귀 동물 정보 학명: Corvus 속 분류: 조류(새) / 참새목 / 까마귀과 몸길이: 약 40~60cm 체중: 300~1500g 수명: 야생에서 평균 10~15년, 드물게 20년 이상 까마귀의 이명(異名)-다른이름 까마귀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분포하는 새라서, 지역,문화,언어에 따라 다양한 이명(다른 이름)이 있습니다.  오까마귀 (옛 문헌 표현) 검은새 (깃털색에서 유래한 민속적 명칭) 가마리 가막귀 까...

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의 모든것

이미지
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 식물 정보 고마리의 식물 개요(설명), 원산지 ,분포지역,생태게 역활,식물정보,꽃말,이름유래,용도,약용성분 효능,동의보감과 본초강목의 언급 내용과 해석등을 자세히 알아 봅니다. 고마리(Polygonum hydropiper, Persicaria hydropiper, 여뀌과)식물 개요. 고마리는 여뀌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습지나 냇가, 논두렁 등 물가에서 자라는 잡초성 식물입니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옆으로 눕고,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기도 합니다. 전체적으로 매운 향과 톡 쏘는 맛이 있어 옛날부터 약용과 향신에 사용되었습니다. 늦은 여름철 습지 부근에 하얀 소금을 뿌린듯이 품숲에 꽃이 피는데 아주 작은 꽃 봉오리들이 모여 피는 모습이 상당히 예쁜 꽃으로 보입니다. 고마리(蓼요)苦麻里,Creeping smartweed,ミゾソバ 식물 정보 고마리 원산지 고마리는 아시아가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중국·일본을 비롯해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분포합니다. 고마리  분포 지역 한국 전역의 습지, 냇가, 논두렁, 밭 주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대만, 러시아(동시베리아), 인도 북부, 인도차이나 북부, 일본, 중국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동시베리아), 인도 북부, 인도차이나 북부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도 귀화종 혹은 자생종으로 발견됩니다. 고마리의  생태적 역할 습지 환경에서 토양 침식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곤충(특히 벌과 나비)의 꿀 공급원이 되며, 작은 수생 곤충들의 서식 공간 역할도 합니다. 잡초로서 농업에는 불편을 주지만, 생태적으로는 생물 다양성 유지에 기여합니다. 고마리  식물 정보 학명: Polygonum hydropiper L. (동의어 Persicaria hydropiper) 속명: Polygonum/Persicaria는 ‘많은 마디’를 뜻함. 형태: 높이 30~80cm, 줄기는 붉은빛을 띠며 가지가 갈라짐. 잎: 피침형으로 끝이 ...

바람에 흔들리던 키 큰 코스모스, 가을의 추억

이미지
코스모스 피는 계절입니다. '코스코스 한들 한들'노랫말이 떠 오릅니다. 요즘 공원이나 길가에 많이 심는 코스모스는 예전 시골 들판에서 흔히 보던 ‘옛날 코스모스(전통 코스모스)’와는 꽤 차이가 있습니다. 몇 가지 주요 차이를 정리하고 식물 정보도 알아 봅니다. 가을 정취를 느끼며 그리워하는 코스모스는 학명이 Cosmos bipinnatus 로 멕시코가 원산지인 국화과 한 해 살이 풀로서,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잎이 깃 꼴로 깊게 갈라지는 것이 특징인 키 큰 코스모스입니다.   키 큰 예전 코스모스, 가을의 추억 예전 코스모스와 요즘 개량된 키 작은 코스모스 1. 코스모스( Cosmos bipinnatus) 생육 형태 예전 코스모스는 대체로 키가 1.5m 이상 크게 자라서 사람 키만큼 올라가곤 했습니다.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이 장관이었죠. 반면 요즘 많이 보는 개량종 코스모스는 키가 40~80cm 정도로 작게 자라도록 육종되었습니다. 그래서 바람에 잘 쓰러지지 않고, 화단이나 도로변 조경에 적합합니다. 2.  코스모스( Cosmos bipinnatus) 꽃 색감과 모양 전통 코스모스는 주로 연분홍, 진분홍, 흰색, 간혹 자주색 정도의 기본적인 색감이 많았습니다. 요즘 개량종은 노랑, 주황, 적색 계열까지 다양하게 나오고, 꽃잎도 겹꽃(더블)이나 특이한 모양으로 변형된 품종도 많습니다. 색감이 더 화려하고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3.  코스모스( Cosmos bipinnatus) 개화 시기와 지속성 옛날 코스모스는 늦여름~가을에 피고, 기온이 떨어지면 금방 시들곤 했습니다. 요즘 키 작은 개량 코스모스는 개화 시기를 조절한 품종이 많아서 여름부터 가을까지 길게 꽃을 볼 수 있고, 관리도 쉬운 편입니다. 4.  코스모스( Cosmos bipinnatus) 재배 목적 전통 코스모스는 들판이나 논두렁에 자연스럽게 퍼져 가을 정취를 더해주는 꽃이었습니다. 요즘 개량종은 도시 조경, 화단 장식, 공원 연출을 위해 의도적으로 ...

Blogroll